Загрузка...

인대와 건(힘줄) 다쳤다고요? 지금 바로 시청하세요

저작권자ⓒPAIN LAB 모든 콘텐츠, 이미지, 로고 및 문구의 저작권은 PAIN LAB에게 있습니다.
출처표기 하에 배포 및 전재 가능합니다.
(로고를 함께 삽입, 활용해야 하며, 그 외 내용 등 편집 가공 불가)

안녕하세요 페인랩 입니다 :)

타박상이나 큰 충격을 받게 되어 x-ray를 찍어본 경험이 있으신가요?
많은 경우에 뼈에는 이상이 없는데 통증이 오랫동안 지속이 됩니다.
뭐가 문제일까요?

대부분은 뼈와 뼈를 이어주는 인대와 근육과 뼈를 부착해주는 건(힘줄)이 손상된 경우입니다.
원래 인대나 건의 조직들은 고밀도의 조직띠이면서 관절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이 쪽 부위는 근육과는 다르게 해당 조직들의 혈관 분포가 적습니다.
딱 봐도 근육은 붉은색이고 인대는 대부분 흰색입니다.

강한 부하를 견뎌야 하는 인대나 건에 혈관의 분포가 많다면 충격을 받거나 힘을 쓸 때마다 혈관이 다 터지겠죠? 이처럼 혈관분포가 적다보니 한 번 손상을 받으면 회복이 많이 느릴 수 있습니다.

손상을 받고 빨리 낫는다는 건 혈관의 분포가 많고 혈액공급이 활발하다는 거고 그래야 회복이 빠릅니다. 근육은 혈관이 많아 회복이 빠르죠.
우리가 나이 들면 혈액순환도 잘 안되며서 회복력이 떨어지는 것도 같은 이치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일단 할 수 있는 방법이 뭐냐구요?

첫 번째! 당연하지만 휴식입니다. 다치셨으면 푹 쉬면서 이 쉽게 낫지 않는 부위들을 더 손상되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8주에서 10주 정도의 회복기가 필요합니다.

두 번째는 손상된 인대나 건 조직에 혈액을 보내주는 방법입니다.
제일 효율적인건 침치료로 접근하는 건인대 자극술로, 인대, 건쪽에 상처를 내고 직접 그쪽으로 혈액을 보내주어 염증회복반응을 유도하는거죠.

만약 회복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운동을 하거나 몸을 쓰면 우리의 몸은 그 조직을 급한대로 섬유화시켜 흉터조직으로 메꾸는 경향을 보입니다. 섬유화가 많이 진행되면 관절 자체의 가동성이 떨어지면서 주변조직의 압력을 높여 조금만 무리하면 금방 통증이 나올 수 있죠. 이런 경우는 섬유화된 유착을 깨주는 도침치료까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페인랩 이였습니다

Видео 인대와 건(힘줄) 다쳤다고요? 지금 바로 시청하세요 канала PAIN LAB
Страницу в закладки Мои закладки
Все заметки Новая заметка Страницу в заметки

На информационно-развлекательном портале SALDA.WS применяются cookie-файлы. Нажимая кнопку Принять, вы подтверждаете свое согласие на их использование.

Об использовании CookiesПринят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