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공항시장 2화 전쟁과 생존의 장터 | Hello, Goodbye, Airport Market Episode 2 A marketplace of war and survival
이 영상은 이하 링크들의 장비로 제작되었습니다.
DJI 오즈모 포켓 3 크리에이터 콤보 ✨
https://link.coupang.com/a/cBqvZO
샌디스크 익스트림 메모리카드 마이크로칩 ✨
https://link.coupang.com/a/cBqwIC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전쟁은 삶을 무너뜨렸지만, 시장은 삶을 다시 세웠습니다.
1950년 한국전쟁, 폐허가 된 김포공항과 그 주변.
피난민과 군인, 미군과 상인들이 뒤엉켜 만든
가장 원초적인 생존의 공간—공항시장.
이 에피소드에서는
전후 복구 작업에 동원된 수백 명의 한국인 노동자,
미군이 흘린 달러와 물자가 만들어낸 '달러 경제',
텍사스촌과 유흥주점,
그리고 피난민들의 장터가 어떻게 공항시장을 키워냈는지를 따라갑니다.
전쟁 속에서도 불이 꺼지지 않았던 시장,
그곳은 물건보다 삶을 거래하던 공간이었습니다.
-
Hello, Goodbye, Airport Market Episode 2 A marketplace of war and survival
War destroyed life, but the market rebuilt it.
1950, the Korean War, the ruins of Gimpo Airport and its surroundings.
The most primitive space of survival created by refugees, soldiers, American soldiers, and merchants—the Airport Market.
This episode follows
the hundreds of Korean workers mobilized for postwar reconstruction work,
the 'dollar economy' created by the dollars and supplies spilled by the American soldiers,
the Texas Village and the red-light district,
and the refugees' marketplace, how they developed the Airport Market.
The market, whose lights never went out even during the war,
was a space where lives were traded rather than goods.
-
자료출처
Kimpo area, South Korea. C. 1954-1. Korean civilians shopping for clothing and other dry goods in an outdoor market near the RAAF base. (The Australian War Memorial)
1952년 10월 김포시장의 인근 미군부대에서 나온 오렌지를 팔고 있는 과일 노점상 (한국저작권위원회)
1951년 김포비행장 주변의 미군 천막 막사들 (한국저작권위원회)
1952년 9월 김포공항 주둔 미 제67대대본부 (한국저작권위원회)
1952년 김포공항의 미 해병대원들 (한국저작권위원회)
1959년 8월 1일 한국전쟁 당시 폭격 피해를 간직하고 있는 김포 K-14 비행장 관리동 모습 (한국저작권위원회)
1951년 7월 김포 K-14 비행장 미군 막사 재건 중인 모습 (한국저작권위원회)
1951년 6월 한국전쟁 당시 포격 피해를 간직하고 있는 김포 K-14 비행장 관리동 모습 (한국저작권위원회)
1951년 5월 김포 K-14 비행장의 포격 피해를 입은 퀸셋막사 (한국저작권위원회)
1951년 6월 김포 K-14 비행장의 한국전쟁 흔적들이 정비된 모습 (한국저작권위원회)
1951년 3월 김포 K-14 비행장의 미 C-46 수송기에서 군수품을 하역하는 모습 (한국저작권위원회)
1952년 7월 김포비행장 군인 막사와 뒤로 인천 계양산이 보인다 (한국저작권위원회)
1952년 12월 김포비행장 군인식당 (한국저작권위원회)
1953년 1월 김포비행장 소속 미군 숙소촌 내부_1 (한국저작권위원회)
1953년 서울 영등포 외곽 자연부락의 아이들 (한국저작권위원회)
1951년 서울 외곽 모습_1 (한국저작권위원회)
1956년 김포비행장의 미8군 제2군단 소속 경비행기 (한국저작권위원회)
1959년 8월 1일 김포 K-14 비행장 입구 (한국저작권위원회)
1959년 김포공군 비행장_1 (한국저작권위원회)
1952년 9월 김포공항 주둔 미 제67대대본부 (한국저작권위원회)
1960년 김포공군비행장_2 (한국저작권위원회)
1954년 서울 외곽지역에 난민촌 건설 중인 모습_1 (한국저작권위원회)
1954년 서울 외곽지역에 난민촌 건설 중인 모습_2 (한국저작권위원회)
한국전쟁/서울 (한국학중앙연구원)
민백-48317_한국전쟁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전쟁/북한군 (한국학중앙연구원)
강서구지 (1993)
서울 동의 역사 강서구 (서울역사편찬원)
공항의 공간과 시간 - 김포공항 편 (국립항공박물관)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National Archives
The Australian War Memorial
Photographer Cpl Atlee E Lemasters
koreanwarlegacy (https://koreanwarlegacy.org)
다시서점
Видео 안녕, 공항시장 2화 전쟁과 생존의 장터 | Hello, Goodbye, Airport Market Episode 2 A marketplace of war and survival канала Walks Gangseo
DJI 오즈모 포켓 3 크리에이터 콤보 ✨
https://link.coupang.com/a/cBqvZO
샌디스크 익스트림 메모리카드 마이크로칩 ✨
https://link.coupang.com/a/cBqwIC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전쟁은 삶을 무너뜨렸지만, 시장은 삶을 다시 세웠습니다.
1950년 한국전쟁, 폐허가 된 김포공항과 그 주변.
피난민과 군인, 미군과 상인들이 뒤엉켜 만든
가장 원초적인 생존의 공간—공항시장.
이 에피소드에서는
전후 복구 작업에 동원된 수백 명의 한국인 노동자,
미군이 흘린 달러와 물자가 만들어낸 '달러 경제',
텍사스촌과 유흥주점,
그리고 피난민들의 장터가 어떻게 공항시장을 키워냈는지를 따라갑니다.
전쟁 속에서도 불이 꺼지지 않았던 시장,
그곳은 물건보다 삶을 거래하던 공간이었습니다.
-
Hello, Goodbye, Airport Market Episode 2 A marketplace of war and survival
War destroyed life, but the market rebuilt it.
1950, the Korean War, the ruins of Gimpo Airport and its surroundings.
The most primitive space of survival created by refugees, soldiers, American soldiers, and merchants—the Airport Market.
This episode follows
the hundreds of Korean workers mobilized for postwar reconstruction work,
the 'dollar economy' created by the dollars and supplies spilled by the American soldiers,
the Texas Village and the red-light district,
and the refugees' marketplace, how they developed the Airport Market.
The market, whose lights never went out even during the war,
was a space where lives were traded rather than goods.
-
자료출처
Kimpo area, South Korea. C. 1954-1. Korean civilians shopping for clothing and other dry goods in an outdoor market near the RAAF base. (The Australian War Memorial)
1952년 10월 김포시장의 인근 미군부대에서 나온 오렌지를 팔고 있는 과일 노점상 (한국저작권위원회)
1951년 김포비행장 주변의 미군 천막 막사들 (한국저작권위원회)
1952년 9월 김포공항 주둔 미 제67대대본부 (한국저작권위원회)
1952년 김포공항의 미 해병대원들 (한국저작권위원회)
1959년 8월 1일 한국전쟁 당시 폭격 피해를 간직하고 있는 김포 K-14 비행장 관리동 모습 (한국저작권위원회)
1951년 7월 김포 K-14 비행장 미군 막사 재건 중인 모습 (한국저작권위원회)
1951년 6월 한국전쟁 당시 포격 피해를 간직하고 있는 김포 K-14 비행장 관리동 모습 (한국저작권위원회)
1951년 5월 김포 K-14 비행장의 포격 피해를 입은 퀸셋막사 (한국저작권위원회)
1951년 6월 김포 K-14 비행장의 한국전쟁 흔적들이 정비된 모습 (한국저작권위원회)
1951년 3월 김포 K-14 비행장의 미 C-46 수송기에서 군수품을 하역하는 모습 (한국저작권위원회)
1952년 7월 김포비행장 군인 막사와 뒤로 인천 계양산이 보인다 (한국저작권위원회)
1952년 12월 김포비행장 군인식당 (한국저작권위원회)
1953년 1월 김포비행장 소속 미군 숙소촌 내부_1 (한국저작권위원회)
1953년 서울 영등포 외곽 자연부락의 아이들 (한국저작권위원회)
1951년 서울 외곽 모습_1 (한국저작권위원회)
1956년 김포비행장의 미8군 제2군단 소속 경비행기 (한국저작권위원회)
1959년 8월 1일 김포 K-14 비행장 입구 (한국저작권위원회)
1959년 김포공군 비행장_1 (한국저작권위원회)
1952년 9월 김포공항 주둔 미 제67대대본부 (한국저작권위원회)
1960년 김포공군비행장_2 (한국저작권위원회)
1954년 서울 외곽지역에 난민촌 건설 중인 모습_1 (한국저작권위원회)
1954년 서울 외곽지역에 난민촌 건설 중인 모습_2 (한국저작권위원회)
한국전쟁/서울 (한국학중앙연구원)
민백-48317_한국전쟁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전쟁/북한군 (한국학중앙연구원)
강서구지 (1993)
서울 동의 역사 강서구 (서울역사편찬원)
공항의 공간과 시간 - 김포공항 편 (국립항공박물관)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National Archives
The Australian War Memorial
Photographer Cpl Atlee E Lemasters
koreanwarlegacy (https://koreanwarlegacy.org)
다시서점
Видео 안녕, 공항시장 2화 전쟁과 생존의 장터 | Hello, Goodbye, Airport Market Episode 2 A marketplace of war and survival канала Walks Gangseo
WALKSGANGSEO 강서구여행 서울로컬 서울여행 HiddenSeoul LocalTravel SeoulGuide 강서구 서울역사 SeoulLocal 강서구역사 김포공항 KoreanHistory 동네여행 강서구일상 LocalPeople SeoulNeighborhood UrbanStory 서울로컬라이프 VisitSeoul SeoulHiddenGems TravelKorea KoreaLocalGuide SeoulNeighborhoods KoreanCulture KoreaTravelTips GangseoSeoul 공항시장 공항시장역 공항시장재개발 공항시장재건축 K14 KIMPOAIRBASE 비행장터 다큐멘터리 김포비행장 강서구이야기 전쟁과시장 koreawar 625 한국전쟁 로컬다큐 재개발 재건축 방화뉴타운 시장역사 재래시장 도시변천사 로컬여행 다큐 서울시장투어 LocalMarket SeoulTravel GimpoAirport AirportMarket 전후복구 도시역사 재개발이야기 근현대사
Комментарии отсутствуют
Информация о видео
3 июня 2025 г. 4:00:44
00:08:14
Другие видео канал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