Загрузка страницы

외국인 관광객 99% 감소...한류 관광 메카의 현실 / YTN

[앵커]
YTN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자영업자들이 마주한 현실을 연속보도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관광지를 들여다봤습니다.

외국인 관광객이 사실상 전무하다 보니 대표적인 한류 여행지엔 빈 상가가 넘쳐나고 있습니다.

김다연, 홍성욱 기자가 차례로 보도합니다.

[기자]
내외국인 할 것 없이 많이 찾는 곳 가운데 하나인 경복궁입니다.

이번 상반기 방문자는 62만여 명.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5%나 줄었습니다.

창경궁과 창덕궁은 60% 이상 줄었고 덕수궁도 60% 가까이 찾는 발길이 끊겼습니다.

감소세가 상당히 컸죠.

이번에는 부산으로 가보겠습니다.

골목 곳곳에 예술작품이 설치된 감천문화마을.

지난해 처음으로 연간 관광객이 3백만 명을 돌파하기도 했죠.

하지만 올해는 지난 8월까지 73만 명만 방문했습니다.

매년 100만 명 넘는 외국인이 찾는 남이섬.

지난해 8월까지는 150만 명이 몰려들었지만, 올해 같은 기간에는 55만 명에 그쳤습니다.

국내 여행이 재개되면 가장 가고 싶은 곳 1위로 꼽혔던 제주도.

다른 곳과 별반 사정이 다르지 않습니다.

성산 일출봉 입장객 수는 지난해보다 73% 줄었습니다.

지난여름 휴가철 제주지역을 찾은 내국인이 늘어 잠깐 회복세를 보였지만 여전히 지난해보다 낮은 수치입니다.

지난 3월부터 넉 달 동안 한국에 들어온 외국인 관광객은 5만2천여 명.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9%나 떨어졌습니다.

그렇다면 한류 메카 1번지 명동의 상황은 어떨까요?

홍성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이곳은 한류의 메카 서울 명동입니다.

이곳 역시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상가는 대부분 문을 닫았고, 사람들의 발길이 끊겨 거리에는 적막감이 감돕니다.

셔터를 내린 상점이 즐비하고, 어김없이 임대안내문이 붙었습니다.

8개월 만에 다시 문을 연 상인은 청소만 하고 하루 장사를 포기했습니다.

[명동 상인 : 오늘 나와서 보고 (장사)하려고 했는데 도저히 답이 안 나오네." (문 닫은 지는 얼마나 됐어요?) "8개월 됐다니까, 2월부터.]

주변을 둘러보니 상황은 더 심각합니다.

맞붙은 4층짜리 상가건물 두 동에, 영업하는 곳은 수선집과 부동산 사무소 단 두 곳만 남았습니다.

노점상도 사라졌습니다.

평일 저녁인데 단 한 곳만 영업 중입니다.

[명동 노점상인 : 장사 안되니까 아무도 안 나와요. 저도 7개월 만에 나왔어요. 3, 4, 5, 6, 7, 8, 9월 쉬다가 코로나가 조금 상황이 나아진 거 같아서 나왔거든요.]

유명 맛집들은 좀 다를까 가봤더니 테이블마다 텅 비었습니다.

[명동 음식점 상인 : 한 팀도 못 받을 때 있고, 한 팀, 두 팀 하루에. 아예 없어요. 다 닫았죠. 이제 못 버틸 거예요. 올해 넘으면. 그만둬야지." (18년 동안 하셨는데요?) "못해요. 아니 집도 팔았는데 뭘.]

평균 천만 원이 넘는 월 임대료가 밀려 보증금이 얼마 남지 않은 상인이 적지 않습니다.

[홍혜숙 / 명동 상인 : 빚이 자꾸(느는데) 어떻게든 만회해보려는 거지. 괜찮아지려나 괜찮아지려나. 지금 가게 문 닫는다고 해서 월세를 안 받는 것도 아니고.]

서울시가 운영하는 명동 지하쇼핑센터.

지나는 사람은 없고, 문 닫은 가게마다 임대료를 내려달라는 호소문이 붙었습니다.

이미 임대료를 50% 감면했지만, 유동인구와 매출이 90% 이상 감소하면서 전체 200여 개 상점 가운데 절반 가까이 휴업상태입니다.

[이창무 / 안경점 운영 : 일말의 희망을 갖고 아예 폐업은 아니지만 지금 가게 문을 닫아 놓고 다른 데 가서 아르바이트해서 여기 임대료를 내고...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010220524038627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Видео 외국인 관광객 99% 감소...한류 관광 메카의 현실 / YTN канала YTN news
Показать
Комментарии отсутствуют
Введите заголовок:

Введите адрес ссылки:

Введите адрес видео с YouTube:

Зарегистрируйтесь или войдите с
Информация о видео
22 октября 2020 г. 1:38:35
00:04:09
Другие видео канала
올 2분기 상점 2만여 곳 폐업...'망했습니다' 현수막까지 등장 / YTN올 2분기 상점 2만여 곳 폐업...'망했습니다' 현수막까지 등장 / YTN김진의 돌직구 쇼 (2020. 10. 23) / 尹, 새벽 1시까지 작심 비판·독감 백신 후 사망자 급증김진의 돌직구 쇼 (2020. 10. 23) / 尹, 새벽 1시까지 작심 비판·독감 백신 후 사망자 급증침묵의 장기 간이 나빠지기 시작하는 초기에 나타나는 증상들. 간이 보내는 SOS신호를 놓치지 말아라.침묵의 장기 간이 나빠지기 시작하는 초기에 나타나는 증상들. 간이 보내는 SOS신호를 놓치지 말아라.19개월 딸 두고 장기기증하고 떠난 경찰..."함께 있는 것 같아요" / YTN19개월 딸 두고 장기기증하고 떠난 경찰..."함께 있는 것 같아요" / YTN[YTN LIVE] 대한민국 24시간 뉴스채널 YTN[YTN LIVE] 대한민국 24시간 뉴스채널 YTN'코로나 비상' 프랑스·이탈리아 야간 통행금지 확대 / YTN'코로나 비상' 프랑스·이탈리아 야간 통행금지 확대 / YTN고분자화학의 새 역사를 쓰다 - 박문정 고분자화학자 [브라보 K-사이언티스트] / YTN 사이언스고분자화학의 새 역사를 쓰다 - 박문정 고분자화학자 [브라보 K-사이언티스트] / YTN 사이언스[뉴스앤이슈] '거취 압박' 윤석열, 국감서 작심 발언..."중상모략, 가장 점잖은 표현" / YTN[뉴스앤이슈] '거취 압박' 윤석열, 국감서 작심 발언..."중상모략, 가장 점잖은 표현" / YTN[이슈톡] 두바이 버려진 차들 '슈퍼카 무덤' 영상 공개 (2020.10.23/뉴스투데이/MBC)[이슈톡] 두바이 버려진 차들 '슈퍼카 무덤' 영상 공개 (2020.10.23/뉴스투데이/MBC)“헤어나올 길 없어”…도심 상권 줄줄이 폐업 / KBS뉴스(News)“헤어나올 길 없어”…도심 상권 줄줄이 폐업 / KBS뉴스(News)중부고속도로 4중 추돌 사고...2명 사망·18명 부상 / YTN중부고속도로 4중 추돌 사고...2명 사망·18명 부상 / YTN윤석열의 향한 김남국의 포효 "표창장 재판을 보라. 이게 검찰이 정치한 것이다"윤석열의 향한 김남국의 포효 "표창장 재판을 보라. 이게 검찰이 정치한 것이다"외국인 관광객 99% 감소...한류 관광 메카의 현실 / YTN외국인 관광객 99% 감소...한류 관광 메카의 현실 / YTN소병철 "누가 누구를 국감 하는지..." 윤석열 총장 태도 지적 (국정감사 현장영상) / YTN소병철 "누가 누구를 국감 하는지..." 윤석열 총장 태도 지적 (국정감사 현장영상) / YTN[더뉴스-더인터뷰] 대검찰청 국정감사 정면 충돌...윤석열 '작심 비판' / YTN[더뉴스-더인터뷰] 대검찰청 국정감사 정면 충돌...윤석열 '작심 비판' / YTN"집값 고점은 2023년…이후 조정장 온다" 홍춘욱 박사의 大전망"집값 고점은 2023년…이후 조정장 온다" 홍춘욱 박사의 大전망[뉴있저] 윤석열 '발언·태도' 논란...오늘 국감 현장 분위기는? / YTN[뉴있저] 윤석열 '발언·태도' 논란...오늘 국감 현장 분위기는? / YTN독감백신 접종 후 사망 28명…"국민께 죄송" (2020.10.23/뉴스투데이/MBC)독감백신 접종 후 사망 28명…"국민께 죄송" (2020.10.23/뉴스투데이/MBC)장제원 "추미애 장관보다 수십 배 예의 바르게 답변 중" (국정감사 현장영상) / YTN장제원 "추미애 장관보다 수십 배 예의 바르게 답변 중" (국정감사 현장영상) / YTN180도 달라진 여야…윤석열 “과거엔 안 그러셨잖아요” | 뉴스A 라이브180도 달라진 여야…윤석열 “과거엔 안 그러셨잖아요” | 뉴스A 라이브
Яндекс.Метрик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