Загрузка страницы

주현미 - 마포종점 (1968)

노래 이야기

1968년 발표된 은방울자매의 '마포종점'은 당시 변두리였던 마포까지 사람들이 찾아오게 할 만큼 유명한 노래였습니다. 굳이 이 노래에 대한 설명을 구구절절 적어 내려가는 것보다 이 노래를 듣는 여러분들의 추억을 하나둘 꺼내는 것이 오히려 더 유익할지도 모르겠습니다.

2016년 타계하신 이 노래의 작사가 정두수 선생님께서 생전에 남기신 인터뷰 내용을 통해 '마포종점'과 관련한 슬픈 이야기가 전해 들을 수 있었습니다. 노래가 쓰여질때 쯤 마포는 갈대가 무성한 변두리 동네였다고 합니다. 전차 때문에 교통이 편리해 서민들이 많이 거주하는 곳이었는데, 정두수 선생님의 단골 설렁탕집에서 우연히 전해 들은 이야기가 노래의 소재가 되었다고 하네요.

가난한 대학생들 중에는 방세가 싼 마포의 옥탑방에서 함께 지내는 연인들이 많았는데, 남자는 유학을 갔고 여급 생활을 하며 남자의 뒷바라지를 하던 여자는 남자의 죽음을 전해 듣고 처절함에 몸부림치다 결국 미쳐서 매일 마포종점에서 연인을 기다리다가 어느 날부터 보이지 않더라는 이야기입니다.

설렁탕집에서 작곡가 박춘석 선생님과 술잔을 기울이던 도중 이야기에 영감을 받고, 그렇게 두 분에 의해 60년대 후반을 대표하는 히트곡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걸그룹의 시초격이라고 할 수 있는 은방울자매는 많은 사람들이 '자매'라는 이름때문에 언니 동생지간으로 오해하고 있지만 사실은 1937년생 동갑내기셨다고 합니다. 2005년 지병으로 돌아가신 '큰 방울' 박애경 선생님과 은방울자매를 탈퇴하면서 이민을 가신 '작은 방울' 김향미 선생님은 친구지간으로 키 때문에 각자의 별명이 생겼다고 하네요. 당시 미8군 출신의 걸그룹은 존재했지만 트로트 성향의 걸그룹은 은방울자매가 독보적이었습니다. 듀엣이면서도 화음을 쓰지 않고 같은 음으로 노래를 하며 애절한 트로트를 구사했습니다. 아직까지도 모든 걸그룹 중에서 가장 많은 앨범을 발표한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밤 깊은 마포종점 갈곳없는 밤전차
비에 젖어 너도 섰고 갈 곳 없는 나도 섰다
강 건너 영등포에 불빛만 아련한데
돌아오지 않는 사람 기다린들 무엇하나
첫사랑 떠나간 종점 마포는 서글퍼라

저 멀리 당인리에 발전소도 잠든 밤
하나둘씩 불을 끄고 깊어가는 마포종점
여의도 비행장엔 불빛만 쓸쓸한데
돌아오지 않는 사람 생각한들 무엇하나
궂은 비 내리는 종점 마포는 서글퍼라"

공장들이 밀집해 있던 영등포의 불빛, 1969년 서울화력발전소로 명칭이 변경된 당인리 발전소, 1971년 폐쇄된 여의도 비행장 등 노래 속 가사는 당시의 풍경을 선명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공교롭게도 이 노래가 발표된 1968년은 마포를 오가던 전차가 운행을 종료한 해이기도 합니다.

현재 마포어린이공원에는 '마포종점'의 노래비가 세워져 있습니다. 60년대의 역사를 간직한 채로 오고가는 사람들의 향수를 불러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제는 나룻터를 오가는 배도, 인정넘치는 새우젓 장터도, 종점을 향해 들어오는 전차도 없지만 아름다운 노래가락은 우리 가슴 한켠에 영원히 간직될 것입니다.

Видео 주현미 - 마포종점 (1968) канала 주현미 TV
Показать
Комментарии отсутствуют
Введите заголовок:

Введите адрес ссылки:

Введите адрес видео с YouTube:

Зарегистрируйтесь или войдите с
Информация о видео
18 февраля 2019 г. 9:40:04
00:03:48
Яндекс.Метрик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