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연금 40만원시대 탈락여부를 결정하는 소득인정액 계산방법 종합정리(기초연금40만원,25년선정기준액,25년기초연금,기초연금받는방법,기초연금40만원 받는 방법)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는 지
또는 탈락하는 지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소득인정액입니다.
이렇게 중요한
소득인정액을
어떠한 기준과 방법으로
계산하는 지
핵심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소득인정액 계산 범위 ]
1. 일반재산 : 집, 토지, 전세금, 자동차 등
2. 금융재산 : 보통예금,정기적금,보험,주식 등
3. 소 득 : 근로소득(월급), 국민연금,
개인연금,임대소득,사업소득,이자소득 등
4. 부 채 : 대출금, 임대보증금 등
[ 일반재산 계산 방법]
■ 계산 방식 :
(일반재산-기본공제액) × 4% ÷ 12개월
■일반재산 : 집, 토지, 전세금, 자동차 등의
일반재산 전체의 합계금액
■ 기본공제액 : 대도시/특례시(1.35억원),
중소도시(85백만원), 농어촌(7,250만원)
1. 집(단독주택, 아파트)/토지 계산 방법
1) 기준 금액: 전년도 공시한 공시가격(시가 아님)
→24년 4월부터 적용하는 가격은
23년 4월에 발표한 공시가
2) 집 공시 가격 5억원, 시세 7억원인 경우
공시가격 5억원을 기준으로 계산
2. 전세금(임차인) 계산 방법
1) 기준 금액 : 전세금의 95% 적용
(5% 만 공제함)
2) 전세금이 5억원인 경우
기준금액 : 5억원 × 95% = 4.75억원
3. 자동차 계산 방법
1) 보험개발원 홈페이지에서
차량기준가액 확인
■ 홈페이지 주소 : www.kidi.or.kr
2) 보험개발원 차량기준가액이 2천만원이면
2천만원을 기준가액으로 산정
→ 차량 구매시 신차 가격이 아님
4. 일반재산의 소득인정액 계산 사례
1) 집 공시가 : 5억원 (시세 7억원)
2) 자동차 차량가액 : 2천만원
3) 일반재산 합계금액 : 5억2천만원
[ 일반재산의 소득인정액 계산 ]
5억2천만원 - 대도시/특례시 1억3천5백만원
중소도시 85백만원
농어촌 7,250만원
×4%÷12개월= 대도시/특례시 1,283,333원
중소도시 1,450,000원
농어촌 1,491,666원
[ 금융재산 계산 방법]
■ 계산 방식 :
[금융재산-기본공제액(2천만원)]
× 4% ÷ 12개월
■금융재산: 보통예금,정기적금, 보험, 주식
등의 금융재산 전체의 합계금액
1. 보통예금/저축예금/자유저축예금
1) 기준 금액 : 3개월 이내 평균 잔액
■ 1개월(5백만원), 2개월째(10백만원) 3개월(5백만원)
{(5백만원 × 30일) +(10백만원 × 30일)
+ (5백만원 × 30일)} ÷ 90일 = 6.66백만원(평균잔액)
2. 정기예금/정기적금/장기저축
1) 기준금액 : 잔액 또는 총 납입액
2) 계산 방법
① 정기예금액이 3천만원인 경우 : 3천만원
② 정기 적금을 매월 1백만원을 적금하는데
12개월 적금하여 현재 12백만원 경우 :12백만원
③ 장기저축통장 금액이 1억인 경우 : 1억원
3. 보험증권
1) 기준 금액
해약하는 경우 지급 받게 될 환급금
또는 최근 1년 이내에 지급된 보험금
2) 계산 방법
① 지금까지 보험 납입금액이 5천만원이나 지금
해약했을때 환급금이 3천만원인 경우 : 3천만원
② 최근 1년 이내에 받은 보험금이 1억 : 1억
4. 주식(비상장 주식 포함)
1) 산정 기준
최종 시세 가액
2) 계산 방법
주식을 매수할 때 1주당 5만원이었는 데
① 현재 시세가 3만원 이면 : 3만원
② 현재 시세가 10만원이면 : 10만원 으로 계산함
5. 금융재산의 소득인정액 계산 사례
1) 정기적금 : 1억원
2) 보험해지 환급금 : 5천만원
( 금융재산의 소득인정액 계산 )
(1억5천만원 - 기본공제액(2천만원))
× 4% ÷ 12개월 = 433,333원(소득인정액)
[ 소득 계산 방법]
1. 근로소득(월급)
1) 계산 원칙
(근로소득 -공제금액(110만원)) × 70%
2) 계산 : 월급 200만원인 경우
(200만원 - 110만원) × 70% = 63만원(월소득인정액)
★ 부부가 모두 소득이 있으면 각각 계산함
2. 국민연금/개인연금(연금보험/연금저축)
1) 계산 방식 :
공제없이 100% 소득인정액으로 반영
2) 계산방법
년간 수령이면 12개월로 나누어서 월단위로 계산
예) 국민연금을 매월 50만원 수령하면
월 소득인정액으로 50만원으로 계산함
3. 이자소득
1) 적용 기준 : 예금, 적금, 주식, 채권의 이자
2) 계산 방식 :
[이자금액 - (4만원 × 예금개월수)]÷12개월
■ 연간 이자 소득이 120만원인 경우
[120만원 - (4만원 × 12개월)] ÷ 12개월
= 6만원(월 소득인정액)
→ 이자를 받은 다음해 4월부터 반영함
4. 임대소득
1) 적용 기준
o 부동산, 동산, 권리, 그 밖의 자산의 대여로
발생하는 소득
2) 계산 방식
■ 임대소득 = 임대수입 – 단순경비율(42.6%)
◈ 연간 임대수입이 1,200만원인 경우
1,200만원 -5,112,000원(42.6%)
= 6,888,000원÷ 12개월 = 574,000원(월 소득인정액)
5. 사업소득
1) 적용 범위
o 도ㆍ소매업, 제조업, 기타 사업에서 얻는 소득
2) 조사 방법
o 국세청 종합소득 자료 중 사업소득 금액
3) 계산 방식
◈ 연간 사업소득금액이 2,400만원인 경우
2,400만원 ÷ 12개월
= 200만원(월 소득인정액)
6. 소득에서 제외되는 소득
1) 일용근로자소득, 공공일자리소득, 자활근로소득
2)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기초생활보장급여
3) 장애인복지법에 의한 장애수당, 장애아동수당 및 보호수당
4) 장애인연금법에 의한 장애인연금
5) 고용보험법에 의한 실업급여
6)조세특례제한법에 의한 근로장려금
7) 지자체 조례에 의해 지급되는 각종 수당
※ 통장ㆍ이장 등 직책수당, 고령화 관련 수당, 교통수당,
보훈대상자 추가지원, 복지대상자 추가지원 등
[ 부채 계산 방법]
1. 금융기관대출금/공공기관대출금 등
1) 계산 원칙
인정 받는 부채는 전액(100%) 부채로 계산
→ 인정 받는 부채 : 은행, 보험, 증권, 공공기관, 주택연금, 농지연금 등
인정 못 받는 부채 :자녀/형제자매 임대보증금, 개인간 사채 등
2) 계산 : 은행에서 1억원 대출
1억원 × 4% ÷ 12개월 = 333,333원
(마이너스로 계산)
2. 임대보증금
1) 계산 원칙
시가표준액의 50% 한도내에서만
부채로 계산하여 줌
2) 계산 : 시가표준액 5억, 임대보증금 3억
→ 인정 부채 : 2.5억원(시가표준액의 50%)
2.5억원 × 4% ÷ 12개월 = 833,333원 (마이너스로 계산)
[ 2024년 기초연금 선정 기준액 ]
소득인정액 합계가 하기 금액 이내이면
기초연금을 받습니다.
단독가구 : 213만원 이내
부부가구 : 340.8만원 이내
[ 고양, 일산지역 노인분들을 위한 특별한 혜택 ]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판정 받는 방법] 무료로 도움 제공
1. “아들딸방문요양” 홈페이지 또는 유튜브 검색
2. [등급판정 받는 방법] 설명회 참석
1) 일 시 : 첫째/둘째/셋째주 화요일 10-11시
넷째주 화요일 19-20시
2) 장 소 : 고양시 일산서구 주엽동 18-2,서현프라자 417호
3. 상담 센터로 전화 상담 : 070-4800-2323
Видео 기초연금 40만원시대 탈락여부를 결정하는 소득인정액 계산방법 종합정리(기초연금40만원,25년선정기준액,25년기초연금,기초연금받는방법,기초연금40만원 받는 방법) канала 아들딸방문요양
받을 수 있는 지
또는 탈락하는 지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소득인정액입니다.
이렇게 중요한
소득인정액을
어떠한 기준과 방법으로
계산하는 지
핵심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소득인정액 계산 범위 ]
1. 일반재산 : 집, 토지, 전세금, 자동차 등
2. 금융재산 : 보통예금,정기적금,보험,주식 등
3. 소 득 : 근로소득(월급), 국민연금,
개인연금,임대소득,사업소득,이자소득 등
4. 부 채 : 대출금, 임대보증금 등
[ 일반재산 계산 방법]
■ 계산 방식 :
(일반재산-기본공제액) × 4% ÷ 12개월
■일반재산 : 집, 토지, 전세금, 자동차 등의
일반재산 전체의 합계금액
■ 기본공제액 : 대도시/특례시(1.35억원),
중소도시(85백만원), 농어촌(7,250만원)
1. 집(단독주택, 아파트)/토지 계산 방법
1) 기준 금액: 전년도 공시한 공시가격(시가 아님)
→24년 4월부터 적용하는 가격은
23년 4월에 발표한 공시가
2) 집 공시 가격 5억원, 시세 7억원인 경우
공시가격 5억원을 기준으로 계산
2. 전세금(임차인) 계산 방법
1) 기준 금액 : 전세금의 95% 적용
(5% 만 공제함)
2) 전세금이 5억원인 경우
기준금액 : 5억원 × 95% = 4.75억원
3. 자동차 계산 방법
1) 보험개발원 홈페이지에서
차량기준가액 확인
■ 홈페이지 주소 : www.kidi.or.kr
2) 보험개발원 차량기준가액이 2천만원이면
2천만원을 기준가액으로 산정
→ 차량 구매시 신차 가격이 아님
4. 일반재산의 소득인정액 계산 사례
1) 집 공시가 : 5억원 (시세 7억원)
2) 자동차 차량가액 : 2천만원
3) 일반재산 합계금액 : 5억2천만원
[ 일반재산의 소득인정액 계산 ]
5억2천만원 - 대도시/특례시 1억3천5백만원
중소도시 85백만원
농어촌 7,250만원
×4%÷12개월= 대도시/특례시 1,283,333원
중소도시 1,450,000원
농어촌 1,491,666원
[ 금융재산 계산 방법]
■ 계산 방식 :
[금융재산-기본공제액(2천만원)]
× 4% ÷ 12개월
■금융재산: 보통예금,정기적금, 보험, 주식
등의 금융재산 전체의 합계금액
1. 보통예금/저축예금/자유저축예금
1) 기준 금액 : 3개월 이내 평균 잔액
■ 1개월(5백만원), 2개월째(10백만원) 3개월(5백만원)
{(5백만원 × 30일) +(10백만원 × 30일)
+ (5백만원 × 30일)} ÷ 90일 = 6.66백만원(평균잔액)
2. 정기예금/정기적금/장기저축
1) 기준금액 : 잔액 또는 총 납입액
2) 계산 방법
① 정기예금액이 3천만원인 경우 : 3천만원
② 정기 적금을 매월 1백만원을 적금하는데
12개월 적금하여 현재 12백만원 경우 :12백만원
③ 장기저축통장 금액이 1억인 경우 : 1억원
3. 보험증권
1) 기준 금액
해약하는 경우 지급 받게 될 환급금
또는 최근 1년 이내에 지급된 보험금
2) 계산 방법
① 지금까지 보험 납입금액이 5천만원이나 지금
해약했을때 환급금이 3천만원인 경우 : 3천만원
② 최근 1년 이내에 받은 보험금이 1억 : 1억
4. 주식(비상장 주식 포함)
1) 산정 기준
최종 시세 가액
2) 계산 방법
주식을 매수할 때 1주당 5만원이었는 데
① 현재 시세가 3만원 이면 : 3만원
② 현재 시세가 10만원이면 : 10만원 으로 계산함
5. 금융재산의 소득인정액 계산 사례
1) 정기적금 : 1억원
2) 보험해지 환급금 : 5천만원
( 금융재산의 소득인정액 계산 )
(1억5천만원 - 기본공제액(2천만원))
× 4% ÷ 12개월 = 433,333원(소득인정액)
[ 소득 계산 방법]
1. 근로소득(월급)
1) 계산 원칙
(근로소득 -공제금액(110만원)) × 70%
2) 계산 : 월급 200만원인 경우
(200만원 - 110만원) × 70% = 63만원(월소득인정액)
★ 부부가 모두 소득이 있으면 각각 계산함
2. 국민연금/개인연금(연금보험/연금저축)
1) 계산 방식 :
공제없이 100% 소득인정액으로 반영
2) 계산방법
년간 수령이면 12개월로 나누어서 월단위로 계산
예) 국민연금을 매월 50만원 수령하면
월 소득인정액으로 50만원으로 계산함
3. 이자소득
1) 적용 기준 : 예금, 적금, 주식, 채권의 이자
2) 계산 방식 :
[이자금액 - (4만원 × 예금개월수)]÷12개월
■ 연간 이자 소득이 120만원인 경우
[120만원 - (4만원 × 12개월)] ÷ 12개월
= 6만원(월 소득인정액)
→ 이자를 받은 다음해 4월부터 반영함
4. 임대소득
1) 적용 기준
o 부동산, 동산, 권리, 그 밖의 자산의 대여로
발생하는 소득
2) 계산 방식
■ 임대소득 = 임대수입 – 단순경비율(42.6%)
◈ 연간 임대수입이 1,200만원인 경우
1,200만원 -5,112,000원(42.6%)
= 6,888,000원÷ 12개월 = 574,000원(월 소득인정액)
5. 사업소득
1) 적용 범위
o 도ㆍ소매업, 제조업, 기타 사업에서 얻는 소득
2) 조사 방법
o 국세청 종합소득 자료 중 사업소득 금액
3) 계산 방식
◈ 연간 사업소득금액이 2,400만원인 경우
2,400만원 ÷ 12개월
= 200만원(월 소득인정액)
6. 소득에서 제외되는 소득
1) 일용근로자소득, 공공일자리소득, 자활근로소득
2)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기초생활보장급여
3) 장애인복지법에 의한 장애수당, 장애아동수당 및 보호수당
4) 장애인연금법에 의한 장애인연금
5) 고용보험법에 의한 실업급여
6)조세특례제한법에 의한 근로장려금
7) 지자체 조례에 의해 지급되는 각종 수당
※ 통장ㆍ이장 등 직책수당, 고령화 관련 수당, 교통수당,
보훈대상자 추가지원, 복지대상자 추가지원 등
[ 부채 계산 방법]
1. 금융기관대출금/공공기관대출금 등
1) 계산 원칙
인정 받는 부채는 전액(100%) 부채로 계산
→ 인정 받는 부채 : 은행, 보험, 증권, 공공기관, 주택연금, 농지연금 등
인정 못 받는 부채 :자녀/형제자매 임대보증금, 개인간 사채 등
2) 계산 : 은행에서 1억원 대출
1억원 × 4% ÷ 12개월 = 333,333원
(마이너스로 계산)
2. 임대보증금
1) 계산 원칙
시가표준액의 50% 한도내에서만
부채로 계산하여 줌
2) 계산 : 시가표준액 5억, 임대보증금 3억
→ 인정 부채 : 2.5억원(시가표준액의 50%)
2.5억원 × 4% ÷ 12개월 = 833,333원 (마이너스로 계산)
[ 2024년 기초연금 선정 기준액 ]
소득인정액 합계가 하기 금액 이내이면
기초연금을 받습니다.
단독가구 : 213만원 이내
부부가구 : 340.8만원 이내
[ 고양, 일산지역 노인분들을 위한 특별한 혜택 ]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판정 받는 방법] 무료로 도움 제공
1. “아들딸방문요양” 홈페이지 또는 유튜브 검색
2. [등급판정 받는 방법] 설명회 참석
1) 일 시 : 첫째/둘째/셋째주 화요일 10-11시
넷째주 화요일 19-20시
2) 장 소 : 고양시 일산서구 주엽동 18-2,서현프라자 417호
3. 상담 센터로 전화 상담 : 070-4800-2323
Видео 기초연금 40만원시대 탈락여부를 결정하는 소득인정액 계산방법 종합정리(기초연금40만원,25년선정기준액,25년기초연금,기초연금받는방법,기초연금40만원 받는 방법) канала 아들딸방문요양
기초연금대상자 기초연금신청방법 기초연금 30만원 기초연금 신청 소득하위 70 기초연금 소득하위 70 란 기초연금 신청하기 기초연금 신청 나이 기초연금 금액 기초연금대상자 자격 기초연금 받는방법 기초연금 당신이 기초연금을 못받는 이유 기초연금 40만원 기초연금수급대상 기초연금수급자격 기초연금40만원언제부터주나요 국민연금 국민연금감액 40만원지급 단독가구323180원 부부가구517080원 2023년기준연금액 2023년기초연금액 부부가구323만원 2024년 기초연금 받는 방법 24년기초연금 24년 기초연금 수급조건 2024년 기초연금액 2024년 부부가구 딘독가구334810원 부부가구535680원 2025년 기초연금 2025년 기초연금액 25년 기초연금액 25년 기초연금 인상 25년 단독가구 기초연금액 25년 부부가구 기초연금액 25년 단독가구 343510원 25년 부부가구 549600원
Комментарии отсутствуют
Информация о видео
7 сентября 2024 г. 8:00:37
00:23:41
Другие видео канал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