Загрузка страницы

삼성전자 일본과미국을꺽고 세계1위가된 결정적인 이유 디램산업의역사와미래

피셔인베스트 후원하기
투네이션 https://toon.at/donate/636955907770392295
우리은행 1002-942-546994 박*협
상담메일:hyup2910@naver.com
네이버 카페 그월급에 잠이오니 : https://cafe.naver.com/hyup4674
Stock footage provided by Videvo, downloaded from www.videvo.net

온고 지신 이라는 말이 있죠
논어에 나오는 내용으로 옛것 익히고 새것을 알면 스승이 될 수 있다 는 뜻으로 과거를 알면 미래를 볼 수 있다 이런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오늘은 삼성전자의 반도체 역사를 통해서 삼성전자의 미래 를 전망해보겠습니다.
1974년 12월 삼성전자의 이건희 회장은 당시에 파산직전인 한국반도체를 인수하는 것으로 반도체 사업에 처음으로 진출합니다.
1970년대 당시 우리나라는 미국 과 일본 보다 임금수준이 낮고 각종세재 혜택이 있었기 때문에 미국과 일본은 웨이퍼 가공생산 과 조립 공장을 우리나라에 건설하였습니다.
이중 한국반도체는 수입상 켐코 가 미국 ICII 와 합작투자로 웨이퍼 가공사업에 진출하면서 세운 회사 입니다. 한국반도체는 설립후 전자손목시계용 칩 부터 트렌지스터 등을 자체 개발하였지만 경영난에 허덕였습니다.
이시기 삼성전자는 1974년과 1977년 지분을 인수하고 삼성반도체로 사명을 변경하게됩니다. 당시 중앙일보 이사였던 이건희 회장은 사재를 털어서 한국반도체를 인수한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1981년은 석유파동으로 글로벌 경제가 둔화되던 시기였기 때문에 우리나라 또한 단순 제조업위주의 산업 구조에서 첨단산업으로 산업구조를 개편하기 위해 반도체육성계획을 발표하던 시기였습니다.
삼성전자도 마찬가지로 미래 먹거리를 반도체로 보고 한국전자 통신에서 한국반도체를 인수한뒤 삼성반도체통신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하여 계열사에 넣고 본격적으로 반도체사업에 뛰어 듭니다.
그리고 1983년 2월에 일본에서 이병철 회장이 반도체 사업에 본격 진출할 것을 선언 합니다.
당시에 삼성전자의 이런 결정을 두고 3년안에 망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 이었습니다.
왜냐하면 당시 반도체 산업은 국민총소득 1만달러 이상 인구 1억 이상으로 국내에서 50%는 소비가 되어야 가능한 사업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었는데 우리나라는 어느것도 해당되는 것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것보다 더 야유를 들었던 것은 64K디램 개발에 착수한다는 발표였습니다. 전자 시계 칩이나 만들고 위탁생산이나 하던 우리나라에서 갑자기 컴퓨터 D 램을 만들겠다고 하니 말도 안되는 소리라고 생각했던 것입니다.
그런데 요즘 유행하는 될놈될의 법칙 이라는것이 있습니다 될놈은 뭘해도 된다는 뜻입니다.
아무도 안될 거라 생각했지만 1983년 12월 발표 10개월만에 64K 디램을 개발에 성공합니다.
당시 미국의 마이크론으로 부터 64K 디램 반도체의 칩디자인 및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받았지만 당연히 핵심적인 기술은 제공받지 못했습니다. 그래도 우리나라 엔지니어들의 노력으로 선진국과 기술격차를 10년에서 4년으로 단축시켰죠
최근 일본의 불화수소가 너무 기술력이 뛰어나서 10년이 지나도 못개발한다 했는데 알고보니 이미 기술력도 있었고 1년도 안되어 전부 따라 잡는걸 보면
국뽕이 아니라 우리나라 사람들 머리 좋은 건 인정 해야 합니다. 이 영상 보면 삼뽕 이네 국뽕 이네 비아냥거리는 사람들 있겠네요
그리고 1984년 8월 64K 디램 양산 1라인을 설립하고 본격적으로 제품을 출하하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세상이 그렇게 호락호락하지 않죠
1984년은 미국과 일본의 반도체 경쟁이 거세지던 시기 였습니다. 여기에 또다른 신규 경쟁사업자가 들어오자 일본 반도체 업체들은 가격을 내려서 고사 시키는 치킨게임에 들어갑니다.
이것을 덤핑이라고 하는데요 덤핑이라는 말은 원가를 무시하고 저렴한 가격에 제품을 팔아서 시장을 교란 시키는 행위를 말합니다.
일본은 당시 정부의 반도체 육성을 등에 엎고 미국에 디램을 원가 이하로 판매하였습니다. 이것 과 함께 1985년 경기둔화로 반도체 가격이 폭락하면서 삼성전자는 1985년 당시 1400억 이상의 적자를 기록합니다.
해당 기간 미국 인텔은 일본의 덤핑을 견디지 못하고 디램 사업을 포기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만약에 미국이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더라면 삼성의 반도체 산업은 없어졌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미국은 지금의 중국 과 패권경쟁을 벌이는 것 처럼 기술 과 경제로 미국을 위협하던 일본을 플라자 합의 및 반도체 협상으로 다운 시켜버리고 이틈을 타서 우리나라 삼성전자가 일본의 빈자리를 차고 들어갑니다.
재미있는 이야기 니까 먼저 해드리겠습니다.
당시에도 일본 반도체의 최대 소비국은 미국이었습니다. 미국의 입장에서 마이크론 인텔 등 자국 반도체 기업이 일본기업들 때문에 고사할 위기에 처했으니 불만이 쌓일수 밖에 없겠지요?
우선은 미국반도체 협회 및 마이크론이 일본기업들의 반덤핑 협의로 제소합니다.
그래서 지금 중국과 하는 무역전쟁 처럼 일본에 대한 조사를 시작합니다. 우선 일본기업들이 어떻게 원가 이하로 반도체를 판매하는지 확인해봤더니 정부의 지원금이 상당히 쎘던 겁니다.
그리고 하나더 일본이 소련에 군수물자를 공급한 사실이 밝혀집니다.
당시 미국과 소련은 냉전 시대 였습니다.

냉전시대는 2차 세계대전이후 1991년까지 미국 과 소련이 동맹국들과 갈등 및 경쟁이 이어졌던 시대를 말합니다.

서유럽 미국 캐나다가 나토를 만들어 민주주의 동맹을 유지했고 바르샤바 조약으로 동구권국가들이 공산주의 진영에서 동맹을 맺었지요

직접전쟁을 치르지는 않지만 군사 경제적으로 서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서 우주진출을 두고 서로 경쟁하던 시기 입니다.

그유명한 미국의 달착륙이 바로 이러한 소련과의 군사경쟁 때문이었죠.

그렇게 군사경쟁을 하던 와중에 1980년 초부터 소련의 잠수함이 미국의 레이더에 잡히지 않는 것입니다. 이유를 조사한 미국은 1984년 일본의 도시바가 잠수함의 평면가공 기술 및 공작 기계를 소련에 판매하였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1980년대 당시의 분위기는 언제든지 소련이 미국에 핵폭탄을 날릴지도 모른다는 위기감이 상당했던 시기입니다. 당시 미국영화를 보면 심심치 않게 그런 내용이 등장하죠

즉시 미국의 반일감정이 악화 되기 시작했고 도시바 사장이 사임하고 미국에 공개사과 까지 했지만 미국의 분노는 멈추지 않았습니다.

1985년 미국정부는 일본 반도체 에 대한 관세인상 부터 시작하여 제재를 시작합니다. 결국 1986년 미일간의 반도체 협정이 타결되면서 일본의 반도체 덤핑 금지 및 정부지원금 중단 미국 반도체 강매 및 수출 제한 이 시작하면서 일본의 반도체 산업은 쇄락의 길을 걷기 시작합니다.

당시 삼성전자의 이병철회장은 미국 과 일본의 각계 인사를 만나면서 이러한 시대의 흐름을 확인한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당시 임원들의 적극적인 만류에도 불구하고 좋은기회가 오고 있다 며 1메가 디램 3라인 양산을 재촉 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실제 1987년 부터 반도체 가격은 급등하기 시작합니다. 미국과 일본의 분쟁으로 일본 정부의 지원금을 받을 수 없었던 일본반도체 기업들이 투자를 늘리지 못했고 인텔 또한 디램 산업에서 철수한 이후였기 때문에 공급이 부족해졌기 때문입니다.
1988년에는 한해 3200억의 순이익을 냅니다

해당시기부터 삼성전자는 D램 부분에서 시장점유율 1위로 올라서게 됩니다.
2002년 미국 법무부는 세계 7대 반도체 제조사들을 담함협의로 조사합니다.
반도체 기업들은 더이상 가격 담합이 불가능해졌기 때문에 눈치싸움에 돌입합니다. 누군가 대규모로 투자를 하게 되면 다른 기업들도 설비투자를 늘릴 수밖에 없습니다. 가격경쟁력에서 지게 되면 퇴출되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2007년까지 많은 업체들이 공격적인 투자를 진행하여 공급이 과잉되는 상황에서 금융위기가 발생하였습니다.
2008년 당시 삼성전자의 반도체 영업이익률은 0% 하이닉스 -28% 마이크론 -35% 난야 -69%를 기록하는 등 치킨게임의 승자와 패자가갈려집니다.

결국 2009년 독일 키몬다가 파산 하였으며 2012년 세계 3위 반도체 업체였던 엘피다 가 파산 하였고 대만의 프로모스, 파워칩 이 파산하면서 치킨게임이 종료 됩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 하이닉스 마이크론 으로 과점체재가 형성되었습니다.

Видео 삼성전자 일본과미국을꺽고 세계1위가된 결정적인 이유 디램산업의역사와미래 канала 피셔인베스트
Показать
Комментарии отсутствуют
Введите заголовок:

Введите адрес ссылки:

Введите адрес видео с YouTube:

Зарегистрируйтесь или войдите с
Информация о видео
23 декабря 2019 г. 10:51:01
00:19:06
Другие видео канала
요즘 삼성전자 난리난 이유 팩트분석!!!요즘 삼성전자 난리난 이유 팩트분석!!!파운드리에 대한 모든 것! 그리고 삼성전자에게 2023년이 중요한 이유파운드리에 대한 모든 것! 그리고 삼성전자에게 2023년이 중요한 이유삼성, 그리고 반도체 신화 | “64K D램 반도체 신화를 열다” (KBS 130720 방송)삼성, 그리고 반도체 신화 | “64K D램 반도체 신화를 열다” (KBS 130720 방송)갑자기 쌀쌀해지니 뜨끈한 국물 생각나시죠?갑자기 쌀쌀해지니 뜨끈한 국물 생각나시죠?한·일 기술전쟁, 그 후 1년 [대한민국, 소.부.장 강국으로 가다!] 특별기획 다큐멘터리 1부 / YTN 사이언스한·일 기술전쟁, 그 후 1년 [대한민국, 소.부.장 강국으로 가다!] 특별기획 다큐멘터리 1부 / YTN 사이언스기업비사 41회 세기의 라이벌, 이병철과 정주영이 만든 기적기업비사 41회 세기의 라이벌, 이병철과 정주영이 만든 기적연돈 볼카츠? 집에서 만들어 봅시다연돈 볼카츠? 집에서 만들어 봅시다전기차?수소차?미래에결국 누가살아남을까?우리는어디에 질러야 할까?전기차?수소차?미래에결국 누가살아남을까?우리는어디에 질러야 할까?삼성전자.. 시스템 반도체 대권 도전 가능할까? f.김영우 수석연구위원삼성전자.. 시스템 반도체 대권 도전 가능할까? f.김영우 수석연구위원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승부수, 과소평가 말라고? / 허란의 여의도나우 / 노근창 현대차증권 리서치센터장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승부수, 과소평가 말라고? / 허란의 여의도나우 / 노근창 현대차증권 리서치센터장미국 고용쇼크보다 부동산버블이 더 문제다미국 고용쇼크보다 부동산버블이 더 문제다아베 대신 스가? 일본이 망하는 7가지 이유와 엔화의 운명아베 대신 스가? 일본이 망하는 7가지 이유와 엔화의 운명테슬라 2021 3Q  초대박 순이익과 마진율!!  어닝 써프라이즈~상승랠리는 계속된다~!!! / 3분기 실적보고&어닝콜 주요내용 정리테슬라 2021 3Q 초대박 순이익과 마진율!! 어닝 써프라이즈~상승랠리는 계속된다~!!! / 3분기 실적보고&어닝콜 주요내용 정리★펜티엄 시절★ 세계 반도체 시장 선도를 위한 치열했던 경쟁! 삼성 하이닉스 마이크론 도시바 NEC | “반도체 3차 대전, 누가 승자가 되는가” (KBS 011209 방송)★펜티엄 시절★ 세계 반도체 시장 선도를 위한 치열했던 경쟁! 삼성 하이닉스 마이크론 도시바 NEC | “반도체 3차 대전, 누가 승자가 되는가” (KBS 011209 방송)삼성이 하만을 9조4천억원에 인수한 진짜이유? 이재용 부회장의 통찰력!삼성이 하만을 9조4천억원에 인수한 진짜이유? 이재용 부회장의 통찰력!한국 없으면 전세계 인터넷이 멈춰버리는 이유 l 30년 일본 독점이던 시장 싹쓸이 뺏어오고 있는 한국 상황 l 미래 금광 해저케이블 산업 이야기한국 없으면 전세계 인터넷이 멈춰버리는 이유 l 30년 일본 독점이던 시장 싹쓸이 뺏어오고 있는 한국 상황 l 미래 금광 해저케이블 산업 이야기당신이 몰랐던 삼성(Samsung)의 역사 통합편[브랜드 스토리]당신이 몰랐던 삼성(Samsung)의 역사 통합편[브랜드 스토리][시사기획 창] 반도체, 새로운 지도 / KBS뉴스(News)[시사기획 창] 반도체, 새로운 지도 / KBS뉴스(News)RAM 램의 이중성(feat. 메모리 계층) 램의 특징과 역할RAM 램의 이중성(feat. 메모리 계층) 램의 특징과 역할삼성전자 시스템 반도체에 133조원 투자! 무엇을 원하는가?삼성전자 시스템 반도체에 133조원 투자! 무엇을 원하는가?
Яндекс.Метрик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