Загрузка...

[JJ-A625] 필리핀 제비! 똥까지 받아내며 5형제 육추 성공! #생물관찰 #주변생물 #철새

제비 : 참새목 제비과의 조류
학명 : Hirundo rustica

* 생물관찰WhyTV : 5마리의 새끼들은 어미가 둥지로 다가오면 서로 먹이를 달라고 아우성을 칩니다. 그렇다면 어미 제비는 어떤 새끼들에게 먹이를 줄까요? 무작위로 줄 것 같지는 않습니다.
* 생물관찰WhyTV : 제비들은 따뜻한 필리핀에서 계속 살수도 있는데, 왜 우리나라로 올까요?
------------------------------------------------------------------------------------------
돌아온 제비, 그 위대한 여정의 비밀 - 제주도 교육청과 함께 파헤치기

1. 봄의 전령사, 우리에게 친숙한 여름 철새 '제비'가 어김없이 올해도 우리 곁을 찾아왔습니다. 처마 밑에 진흙과 지푸라기로 집을 짓고 분주히 새끼를 기르는 모습은 정겨운 풍경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이 작은 제비가 매년 수천 킬로미터에 달하는 머나먼 여행을 하고 돌아온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은 학생들과 함께 '제비 생태 탐구 프로젝트'를 통해 제비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의미 있는 연구를 수년간 진행해왔습니다. 오늘은 이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제비의 놀라운 특징과 이동 경로에 대해서 정리하였습니다.

2. 제비는 어떤 새일까요?
* 생김새 : 매끈한 몸매와 날렵한 V자형 꼬리가 특징입니다. 등은 금속 광택이 나는 어두운 청색이며, 이마와 멱(턱 아래)은 붉은 갈색을 띱니다.
* 식성 : 주로 파리, 딱정벌레, 잠자리 등 날아다니는 곤충을 잡아먹습니다. 특히 벼농사에 해를 끼치는 해충을 잡아먹어 예부터 사람에게 이로운 새로 여겨졌습니다.
* 둥지 : 진흙과 지푸라기 등을 타액과 섞어 둥지를 만듭니다. 사람이 사는 집의 처마 밑이나 다리 아래 등 인공 건축물을 선호하며, 귀소성이 강해 매년 같은 둥지를 보수해 다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제비의 위대한 여정, '강남'은 어디였을까?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온다'는 말처럼, 우리는 제비가 겨울을 나기 위해 따뜻한 남쪽으로 떠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그 '강남'은 과연 어디일까요? 제주도 교육청의 연구가 바로 이 질문에 대한 답을 명확하게 제시합니다. 제주도 교육청은 초·중·고교 학생들과 함께 제비에게 위치추적기(지오로케이터)를 부착하여 이동 경로를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는 매우 놀라웠습니다.
* 주요 월동지: 필리핀 루손섬
* 제주에서 번식한 제비들은 겨울을 나기 위해 약 9,000km 이상을 비행하여 필리핀 루손섬에 도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이동 경로:
* 남하 (가을): 8월 말 제주를 출발하여 일본 오키나와, 인도네시아를 거쳐 9월 중순에서 10월 초 사이에 필리핀 루손섬에 도착합니다.
* 북상 (봄): 이듬해 2월 말 월동지를 출발해 대만과 중국을 거쳐 3월 초에 다시 제주로 돌아옵니다.

이 연구는 단순한 호기심을 넘어, 기후 변화와 환경 파괴로 개체 수가 급감하고 있는 제비를 보호하고 생태계 보존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중요한 교육적 가치를 지닙니다. 학생들이 직접 연구에 참여하며 생명 존중과 자연과의 공존을 배우는 소중한 기회가 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도 이런 제비 연구가 가능한 환경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현재로서는 제비를 볼 수 없는 상황입니다. ㅠ

4. 우리가 제비를 지켜야 하는 이유
한때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었던 제비는 이제 점점 보기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농약 사용으로 인한 먹이 감소, 도시화로 인한 흙 구하기의 어려움, 현대식 건물 구조로 인한 둥지 장소 부족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제비는 해충을 잡아먹어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제비가 살기 좋은 환경은 결국 사람에게도 건강한 환경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 곁을 찾아온 반가운 손님, 제비가 매년 수천 킬로미터의 고된 여정을 거쳐 다시 돌아올 수 있도록 작은 관심을 기울여보는 것은 어떨까요? 제비의 위대한 비행이 앞으로도 계속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야 할 때입니다.
------------------------------------------------------------------------------------------
#제비 #여름철새 #제비이동경로 #제주도교육청 #생태탐구 #필리핀루손섬 #제비보호 #환경보호
#주변생물 #생물관찰 #생물다양성 #영상도감 #biodiversity #birds #생태전환교육 #생태교육 #탐조 #생태탐사 #제주 #조천 #철새 #자연의벗 #위치추적 #지오로케이터 #Geolocator #여정 #오형제 #5형제 #필리핀
------------------------------------------------------------------------------------------
Scaffolding : 여름에 제비가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이유?
겨울철새가 추운 시베리아를 피해 우리나라로 내려오는 것은 먹이 부족과 추위 때문이라는 점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제비, 뻐꾸기 같은 여름 철새들이 필리핀 등 따뜻한 남쪽 지역에서 겨울을 보내고 굳이 우리나라 여름철에 찾아오는 이유와 그 진화적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번식에 유리한 환경
가장 큰 이유는 **번식에 적합한 환경**을 찾기 위함입니다. 남쪽의 따뜻한 지역은 연중 기온이 높아 살기에 좋지만, 번식을 하기에 유리한 조건은 아닐 수 있습니다.

1-1. **풍부한 먹이:** 우리나라의 여름은 곤충류 등 철새들의 주요 먹이가 되는 생물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시기입니다. 새끼를 키우는 데는 엄청난 양의 먹이가 필요하며, 남쪽 지역보다 북쪽 지역의 여름에 더 많은 먹이를 효율적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1-2. **긴 낮의 길이:** 여름에는 낮의 길이가 길어 먹이를 구할 수 있는 시간이 늘어납니다. 이는 번식기에 새끼를 키우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확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1-3. **경쟁 완화:** 필리핀 등 열대 지역에는 이미 많은 종류의 텃새들이 서식하며 경쟁이 치열합니다. 반면, 우리나라의 여름은 번식을 위한 공간과 자원 경쟁이 상대적으로 덜 할 수 있습니다. 이미 다른 텃새들이 많이 서식하는 지역에서 번식까지 하려면 더 많은 에너지와 경쟁을 감수해야 합니다.
1-4. **포식자 회피:** 특정 시기에 집중적으로 번식하고 이동함으로써, 포식자들의 밀집 시기를 피해 새끼들의 생존율을 높일 수도 있습니다.

2. 진화적 의미
여름철새의 이러한 이동 습관은 오랜 시간 동안의 **자연 선택**을 통해 진화해 온 결과입니다.

2-1. **생존 및 번식 성공률 극대화:** 먼 거리를 이동하는 데는 엄청난 에너지 소모와 포식의 위험이 따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들이 이동을 택하는 것은, 이동을 통해 얻는 이득(번식 성공률 증가)이 이동에 따르는 손실(위험, 에너지 소모)보다 크기 때문입니다. 즉, 이동하는 개체들이 그렇지 않은 개체들보다 더 많은 자손을 남기고 살아남았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이 유전적으로 고착화된 것입니다.
2-2.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 지구의 기후 변화, 특히 빙하기와 간빙기가 반복되면서 새들은 먹이와 번식에 유리한 환경을 찾아 이동하는 습성을 발달시켜 왔습니다. 빙하가 물러난 북쪽 지역의 여름은 짧지만 폭발적인 생명력으로 가득 차 있어 번식에 최적의 조건을 제공합니다.
2-3. **유전적 프로그램:** 철새들의 이동은 단순히 "배고프니까 이동하자"가 아니라, 낮 길이와 기온의 변화에 따라 신체 호르몬이 변화하고, 이에 따라 이동 본능이 발현되는 등 유전적으로 프로그램화된 행동입니다.

결론적으로, 여름 철새들이 따뜻한 필리핀 등지에 계속 머무르지 않고 굳이 우리나라 여름에 찾아오는 것은, 짧은 기간 동안이라도 **번식 성공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 조건을 찾아 진화해 온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동은 새들의 생존 전략이자 오랜 자연 선택의 산물입니다.
-----------------------------------------------------------------------------------

Видео [JJ-A625] 필리핀 제비! 똥까지 받아내며 5형제 육추 성공! #생물관찰 #주변생물 #철새 канала 생물관찰-WhyTV
Страницу в закладки Мои закладки
Все заметки Новая заметка Страницу в заметки

На информационно-развлекательном портале SALDA.WS применяются cookie-файлы. Нажимая кнопку Принять, вы подтверждаете свое согласие на их использование.

Об использовании CookiesПринят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