Загрузка страницы

블랙홀 실제 모습 사상 처음 관측…역사적 이정표 / YTN 사이언스

■ 이혜리 / 과학뉴스팀 기자

[앵커]
화제의 뉴스를 골라 과학 기자의 시선으로 풀어보는 '과학 본색' 시간입니다. 스튜디오에 이혜리 기자 나와 있습니다. 어서 오세요, 오늘은 정말 특별한 소식을 준비했다고 들었는데요, 어떤 소식인가요?

[기자]
네,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블랙홀이 관측됐다는 소식, 저희도 전해드렸는데요. 과학계에 이정표로 남게 될 역사적인 소식에 대해 오늘 좀 더 자세히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앵커]
네, 그동안 영화나 각종 매체를 통해서 상상만으로 그려왔던 블랙홀의 실체를 처음으로 촬영했는데, 한 장의 사진이 공개됐죠. 사진부터 다시 보고 이야기 나눠볼까요?

[기자]
네, 공개된 사진을 먼저 보시면요, 지금 화면에 나가고 있는 이 모습이 바로 인류가 처음으로 촬영한 블랙홀의 모습입니다.

언뜻 고리처럼 보이기도 하고요. 전반적으로 붉은색인데 한쪽은 조금 옅고 한쪽은 조금 더 진한 색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운데, 달걀로 치면 노른자에 해당하는 까만 부분이 블랙홀이 있는 곳이고요.

고리 모양이라고 말씀 드렸지만, 엄밀히 말하면 이곳은 '블랙홀의 그림자'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블랙홀의 그림자는 빛이 블랙홀이 가진 강한 중력에 의해 둥글게 휘감기면서 형성된 거고요.

블랙홀 뒤편이나 주변에서 내뿜는 빛은 블랙홀 중력 때문에 휘감아지면서 생겨난 거고요, 블랙홀 뒤편이나 주변에 있는 빛들이 강력하게 빨려들어 가면서 휘감아지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로 인해서 고리 모양이 형성되는 겁니다.

블랙홀은 빛 조차도 한 번 들어가면 나올 수 없는, 그래서 까맣게 표현이 되는데, 이번에도 이 '블랙홀의 그림자'를 통해 블랙홀의 존재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게 된 겁니다.

지금 보시는 블랙홀의 그림자, 대략 어느 정도 크기인지 가늠해볼 수 있을까요?

[앵커]
글쎄요…. 사진으로만 봐서는 가늠할 수 없겠는데요.

[기자]
블랙홀의 그림자는 약 400억km에 달하고요. 가운데 노른자처럼 자리하고 있는 블랙홀의 지름은 약 150억km로 추정됩니다. 태양의 지름이 139만km니까 태양보다 만 배 이상 크고, 지구보다는 110만 배 이상 큰 셈입니다.

[앵커]
정말, 별 하나를 거뜬하게 집어삼킬 수 있을 만큼 크다는 이야기인데, 우리가 블랙홀의 그림자로 인해서 블랙홀을 관측할 수 있게 됐다는 말씀인 거죠?

[기자]
네, 맞습니다. 강한 중력으로 인해 빛조차 빠져나오지 못해서 당연히 어둡게 보여서, 검게 보이기 때문에 관측할 수 없는 것이 블랙홀인데, 주변에 휘감기는 빛으로 인해서 블랙홀을 확인할 수 있었던 거죠.

[앵커]
그 빛이 블랙홀을 비춰서 윤곽이 드러나게 됐다는 점이 정말 흥미로운데, 앞서 저희가 사진으로도 봤지만, 고리 모양의 빛 중에서 어느 부분은 굉장히 밝고 진한데, 어떤 부분은 좀 흐리다는 느낌을 받았어요, 이건 왜 그런 건가요?

[기자]
모든 빛이 다 지구 쪽을 향해 들어오고 있지는 않죠, 지구를 향해 오고 있는 빛은 밝고 선명하게 보였던 거고, 지구로부터 멀어지고 있는 빛은 연하게, 상대적으로 옅게 보였던 겁니다.

[앵커]
네, 그렇군요. 앞서 관측된 블랙홀의 경우 지름이 150억km에 달한다고 말씀해주셨는데, 정말 어마어마한 크기죠. 도대체 이 블랙홀은 어디에 있던 건가요?

[기자]
이 블랙홀은 지구로부터 약 5천500만 광년 떨어져 있고요. 무게도 태양 질량의 65억 배에 달합니다.

실감이 잘 나지 않죠? 영상으로 함께 보시면서 과연 얼마나 멀리 있는 건지 확인해보시죠.

이 영상이 '카메라 줌'을 당기는 것이라고 생각하면서 보시면...
#블랙홀 #카메라줌 #블랙홀관찰 #행성 #위성
#은하수 #과학 #우주연구 #로켓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0082&s_hcd=0017&key=201904121621231284

Видео 블랙홀 실제 모습 사상 처음 관측…역사적 이정표 / YTN 사이언스 канала YTN 사이언스
Показать
Комментарии отсутствуют
Введите заголовок:

Введите адрес ссылки:

Введите адрес видео с YouTube:

Зарегистрируйтесь или войдите с
Информация о видео
12 апреля 2019 г. 14:22:26
00:10:30
Другие видео канала
[ENG SUB] 과연 외계인은 존재할까? ★ 사이언스 대기획 - 외계생명체 1부 “그들은 UFO를 타고 오지 않는다” (KBS 130110 방송)[ENG SUB] 과연 외계인은 존재할까? ★ 사이언스 대기획 - 외계생명체 1부 “그들은 UFO를 타고 오지 않는다” (KBS 130110 방송)지구의 경고, 슈퍼태풍 [다큐S프라임] / YTN 사이언스지구의 경고, 슈퍼태풍 [다큐S프라임] / YTN 사이언스허블 우주 망원경이 포착한 신비로운 사진들!허블 우주 망원경이 포착한 신비로운 사진들!우주의 시공간이 뒤틀릴 때 발생하는 중력파!!! (놀라운 중력의 비밀)우주의 시공간이 뒤틀릴 때 발생하는 중력파!!! (놀라운 중력의 비밀)[LIVE] 대한민국 과학 채널 YTN 사이언스[LIVE] 대한민국 과학 채널 YTN 사이언스우주 배경 360도 VR 영상 편집본, 360도 VR 영상우주 배경 360도 VR 영상 편집본, 360도 VR 영상매우 큰 별들 / 우리은하속 큰 별들 / 거성, 초거성, 극대거성들 / 안드로메다 은하 이웃 우리은하속의 거성들 / 방패자리 UY, 베텔게우스, 리겔 등 . . .매우 큰 별들 / 우리은하속 큰 별들 / 거성, 초거성, 극대거성들 / 안드로메다 은하 이웃 우리은하속의 거성들 / 방패자리 UY, 베텔게우스, 리겔 등 . . .인터스텔라의 모든 것 | 인터스텔라의 과학적 해석 - 블랙홀, 웜홀, 5차원, 상대성이론, 양자중력인터스텔라의 모든 것 | 인터스텔라의 과학적 해석 - 블랙홀, 웜홀, 5차원, 상대성이론, 양자중력블랙홀이 별을 스파게티 먹듯 먹어버렸어요, 천문학자들이 무엇을 봤는지 보세요블랙홀이 별을 스파게티 먹듯 먹어버렸어요, 천문학자들이 무엇을 봤는지 보세요[별별이야기] 美 국방부 공식 인정한 '미확인 비행물체'…정말 UFO일까? / YTN 사이언스[별별이야기] 美 국방부 공식 인정한 '미확인 비행물체'…정말 UFO일까? / YTN 사이언스허블 망원경이 포착한 장엄한 우주의 모습! 인터스텔라 너머 오르트 구름까지 외로이 항해중인 보이저 | 우주, 지구 그리고 나 2부 “창백한 푸른 점” (KBS 200110 방송)허블 망원경이 포착한 장엄한 우주의 모습! 인터스텔라 너머 오르트 구름까지 외로이 항해중인 보이저 | 우주, 지구 그리고 나 2부 “창백한 푸른 점” (KBS 200110 방송)있어서는 안 될 장소에서 발견된 11가지 불가사의있어서는 안 될 장소에서 발견된 11가지 불가사의생명이 존재하는 외계 행성을 찾아라! ★ 사이언스 대기획 - 외계생명체 2부 "모두 어디에 있을까?” (KBS 130117 방송)생명이 존재하는 외계 행성을 찾아라! ★ 사이언스 대기획 - 외계생명체 2부 "모두 어디에 있을까?” (KBS 130117 방송)태양계 행성 탐사 모습 360도 영상, Explore the planet VR Video태양계 행성 탐사 모습 360도 영상, Explore the planet VR Video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 현대 물리학이 밝혀낸 시간의 비밀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 현대 물리학이 밝혀낸 시간의 비밀역사상 우주를 가장 잘 표현했다고 극찬 받은 영화역사상 우주를 가장 잘 표현했다고 극찬 받은 영화사람이 이곳에 떨어지면 죽어도 죽지 않는 역대급 지옥이 펼쳐진다. (스티븐 호킹이 말한 불행한 불사)사람이 이곳에 떨어지면 죽어도 죽지 않는 역대급 지옥이 펼쳐진다. (스티븐 호킹이 말한 불행한 불사)태양계 1편 : 탄생, 기원, 구성, 8개의 행성. 왜소행성, 소행성, 혜성, 유성, 세레스, 카이퍼벨트, 에리스, 힐스구름, 오르트구름, 세드나태양계 1편 : 탄생, 기원, 구성, 8개의 행성. 왜소행성, 소행성, 혜성, 유성, 세레스, 카이퍼벨트, 에리스, 힐스구름, 오르트구름, 세드나파도행성의 3시간이 지구의 23년이라는게 정말 가능할까?파도행성의 3시간이 지구의 23년이라는게 정말 가능할까?우주 다큐 : 블랙홀이 별을 삼키는 과정 [EP 040] - 미노스우주 다큐 : 블랙홀이 별을 삼키는 과정 [EP 040] - 미노스
Яндекс.Метрик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