Загрузка...

자폐스펙트럼 장애 호전 경과의 이해 : 자폐 치료의 호전에 대한 평가 기준

자폐스펙트럼 장애 호전 경과의 이해 : 자폐 치료의 호전에 대한 평가 기준
닥터토마토 프로토콜 19


──

#자폐
#자폐증
#자폐스펙트럼장애
#아스퍼거증후군
#autism
#자폐치료

──
📕 Subscribe to YouTube : https://www.youtube.com/channel/UCnPln1mskGE64SOiEA3UdZg?sub_confirmation=1
📙 home en : dr-tomato.com / jp : autismjapan.com
📒 home kr : autismkorea.co.kr
📗 blog : https://blog.naver.com/begoodskin
📘 cafe : http://cafe.naver.com/fullhgi
📩 e-mail : kdr.tomato@gmail.com
🌐 google map : https://g.page/i-tomato?we
👨‍🏫 skyfe : itomato
🔹 https://www.facebook.com/kdr.tomato | https://www.facebook.com/KimsAutism
──
안녕하세요. 닥터토마토 프로토콜 19번째 강의입니다.

오늘 강의 주제는 '자폐스펙트럼 장애 호전 경과의 이해' 입니다.

(이 강의의 목적은?) 부모님들께서 저와 치료를 진행하면서,

자녀들이 어떠한 경과를 밟으며 정상범주의 아동으로 회복되는지,

그 긴 시간의 흐름과 변화에 대해 미리 이해하실 수 있도록 마련한 강의입니다.

이 강의를 꼭 시청하셔야,

자신의 아이가 호전되고 있는지, 악화되고 있는지 정확히 평가할 수 있습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치료할 때, 굉장히 중요한 난점 중 하나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가 호전될 때,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가? 에 대해

굉장히 잘못된 평가가 횡행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가장 핵심적인 문제점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호전과 악화를 평가할 때

'상동행동의 증가와 감소' 또는 '감각추구의 증가와 감소' 로서,

즉, 이상행동의 감소를 통해 호전도를 평가하려는 시도들이 굉장히 많은데

이것은 굉장히 잘못된 방법입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에게서 상동행동, 감각추구 행동들은?

상당히 다양한 의미를 갖습니다.

자기 감정의 이상 상태를 표현하기도 하고,

어떤 경우에는 의사 소통의 수단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감각추구, 상동행동의 증가와 감소만으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호전과 악화를 평가할 수는 없습니다.

극단적인 사례를 예로 들자면?

굉장히 좋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감각추구나 상동행동이, 급격하게 늘어나는 아동들도 있습니다.

이때 부모님들이 제대로 이해를 못하고 있는 경우,

아동이 매우 호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상행동의 증가로 인해, 자폐가 악화되었다고 평가하면서

치료를 중단하는 안타까운 경우도 굉장히 많이 경험했습니다.

그래서 명확히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자폐의 호전과 악화에 대한 평가 기준은 오로지 한가지입니다.

바로 아동의 '사회성 발달' 입니다.

즉, 사회성.

사람에 대한 관심도와, 상호작용 능력 자체가 증가하고 있는가?

이 기준으로, 자폐 아동의 호전과 악화 여부를 평가해야 합니다.

즉, 자폐는 본질적으로 사회적인 상호작용 능력에 결함이 있는 것이므로

이 결함이 근본적으로 해결되고 있다면, 이것은 치료되고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일반아동 수준, 내지는 일반인 수준에서 상호작용이 가능할 때

자폐 치료는 완성이 됐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이 '사회성 발달' 만을 기준으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치료해서 정상 범주로 갈 때

어떠한 경과를 보이는 지에 대한 설명하겠습니다.

좌측에 그래프를 보시면,

가장 전형적으로, 정상범주로 호전되는 경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입니다.

하단의 가로축은 '치료 개월수' 를 나타냅니다.

세로축은 사회성 (Sociality) 으로,

정상범주의 기준이 100일 때,

어느정도 레벨에서 호전되고 있는지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입니다.

여기에서 나타나는 개월 수나 그래프의 변화들은 대체로

가장 전형적인 자폐 아동들을 대상으로 만든 것인데요.

36개월~60개월 사이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 범주에 있는 아동들은

대체로 이러한 치료 경과가 나타난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이 그래프는 치료 1기, 치료 2기, 치료 3기로 구성되었는데,

큰 축으로 1기 → 2기 → 3기를 거쳐 정상 범주로 진입해나갈 것입니다.

더 크게 나눈다면, 1기와 & 2기 + 3기를 한 축으로 묶을 수 있는데,

이것을 간결하게 표현하자면?

1기는, '자폐 성향 벗어나기 과정' 입니다.

이 자폐 성향 벗어나기 과정에서 성공만 해도,

아이는 외견상 자폐인 티가 거의 나지 않습니다.

대체로 1기 과정은 6개월 정도 소요됩니다.

2기 + 3기는 합쳐서 '또래 따라잡기 시기' 입니다.

즉, 1기(자폐 성향 벗어나기)에서 성공했을 때는

아이가 자신의 생물학적인 연령 수준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가 가지고 있는 정신 연령 차원에서 나타납니다.

예로, 36개월 아동이 18개월 정도의 발달상태였다면?

이 1기(자폐 성향 벗어나기)의 6개월 치료 과정을 거친 이후에

자신의 생물학적인 개월수인 36개월이 되는 것이 아니라,

16개월~18개월 정도 된 아동인데,

똘망하게 사회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가능해지면, 저는 자폐 치료에 성공했다고 표현합니다.

그러나 아직 18개월의, 또래와의 갭이 남아있죠.

그 갭을 메꿔서 사회성 발달이 생물학적 개월 레벨까지 올라가야만

자폐 치료가 완성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치료 2기와 치료 3기는 모두 합해서

'또래를 따라잡는 과정이다.'

즉, 생물학적 연령과 사회성 발달 연령의 갭이 없어져서

자기의 연령에 맞는 사회성 발달 수준에 진입하는 시기를

'또래 따라잡기 시기' 라고 표현합니다.

이것이 치료 2기 + 3기 과정입니다.

치료 2기는 '인지발달기' 라고도 표현하고,

치료 3기는 '사회성 발달의 완성기 & 비약기' 라고 표현합니다.

Видео 자폐스펙트럼 장애 호전 경과의 이해 : 자폐 치료의 호전에 대한 평가 기준 канала 닥터토마토
Страницу в закладки Мои закладки
Все заметки Новая заметка Страницу в заметк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