Загрузка...

대출전 꼭 알아야하는 용어,LTV(담보인정비율), DTI(총부채상환비율),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LTV, DTI, DSR #이슈 #부동산 #임대인 #임대차 #투자 #건물매매

꼭 알아야 할!!
LTV, DTI, DSR 용어 3가지
LTV(담보인정비율),
DTI(총부채상환비율),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는
주택담보대출(주담대)에서
한도를 결정하는 핵심 지표예요
LTV
(Loan to Value,
주택담보인정비율)
뜻: 집값(담보가치) 대비
은행에서 빌릴 수 있는
대출금의 비율
예시: 집값이 5억이고
LTV가 70%면,
최대 3억 5천만 원까지
대출 가능
포인트: 집의 가격이 기준!
소득과는 무관하게,
집값에 따라 대출 한도가 정해짐
DTI
(Debt to Income,
총부채상환비율)
뜻: 연 소득 대비
1년 동안 갚아야 하는 빚
(주담대 원리금 + 다른 대출 이자)
의 비율
예시: 연봉 6,000만 원,
DTI 60%면
1년간 갚아야 하는 빚이
3,600만 원까지 허용
포인트: 주담대 원리금 +
다른 대출 이자만 계산!
소득이 많을수록
대출 한도도 커짐
DSR
(Debt Service Ratio,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뜻: 연 소득 대비
1년 동안 갚아야 하는
모든 대출
(주담대, 신용대출,
자동차 할부 등)의
원금과 이자 합계의 비율
예시: 연봉 5,000만 원,
DSR 40%면
1년간 갚아야 할
모든 대출 원리금이
2,000만 원을 넘으면 안 됨
포인트:
주담대뿐 아니라 신용대출,
마이너스통장,
카드론 등
모든 대출의 원금+
이자 상환액을 다 합산!
DTI보다 훨씬 엄격
핵심 요약
LTV: 집값 기준,
집값이 높을수록 한도 ↑
DTI: 소득 기준,
주담대 원리금 +
다른 대출 이자만 계산
DSR: 소득 기준,
모든 대출의 원금+
이자까지 다 합산
(가장 엄격)
쉽게 기억하는 법
LTV:
"집값의 몇 %까지 빌릴 수 있나?"
DTI:
"내 소득 대비 빚
(이자 중심) 감당 가능성"
DSR:
"내 소득 대비 모든 빚
(원금+이자) 감당 가능성"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때
이 세 가지를 꼭 기억하세요
대출 한도는
이 기준 중 가장 엄격한
(낮은) 기준에 맞춰집니다
즉, 아무리 LTV,
DTI 한도가 높아도
DSR을 넘으면
대출이 안 됩니다

Видео 대출전 꼭 알아야하는 용어,LTV(담보인정비율), DTI(총부채상환비율),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LTV, DTI, DSR #이슈 #부동산 #임대인 #임대차 #투자 #건물매매 канала 더심터 부동산 건축이야기
Страницу в закладки Мои закладки
Все заметки Новая заметка Страницу в заметки

На информационно-развлекательном портале SALDA.WS применяются cookie-файлы. Нажимая кнопку Принять, вы подтверждаете свое согласие на их использование.

Об использовании CookiesПринят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