Загрузка страницы

[이슈&뉴스] 고령사회 ‘충격’…은퇴하면 빈곤층 전락 / KBS뉴스(News)

앵커 멘트

한국전쟁이 끝난 뒤 1955년~1963년 사이 태어난 세대, 바로 베이비붐 세대입니다.

이 세대만 무려 730만 명, 전체 인구의 14%를 넘어서는데요.

올해 나이 54살에서 62살로 속속 은퇴자 대열에 들어서고 있습니다.

과거 '한강의 기적'을 일군 우리나라 산업화의 주역이었지만 이제는 '고개 숙인 아버지'란 말로 더 많이 불리는 게 현실입니다.

부모와 자식 부양에 매여 정작 본인의 노후는 준비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베이비붐 세대 10명 가운데 8명 가까이가 "노후 대비를 제대로 하지 못했다"고 답했을 정도입니다.

이렇다 보니 '은퇴하면 곧바로 빈곤층으로 전락'하는 사회적 병폐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먼저 그 실태를 김채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평생 자식 뒷바라지…은퇴후 쪽방 신세▼

리포트

김병국 할아버지는 벌써 10년째 좁은 고시원에서 홀로 살고 있습니다.

한때는 어엿한 건설사 직원이었지만 평생 자식 다섯 뒷바라지에 노후 대비는 생각할 겨를조차 없었습니다.

게다가 퇴직 후 사업 실패로 그나마 남은 돈까지 모두 날려, 결국 쪽방으로 밀려났습니다.

인터뷰 김병국(82세/건설사 퇴직) : "(아들, 딸도) 자식들 키우고 살기도 어려운데. 나까지 거기에 얹히겠다. 그건 아니죠."

20년 넘게 직장생활을 하다 퇴직한 백창현 할아버지.

2년 전부터 택배 일을 시작했습니다.

녹취 "택배입니다!"

갈수록 늘어가는 병원비에 생활비까지 대려면, 다시 생활전선에 뛰어들 수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백창현(82세/통신사 퇴직) : "보수는 적더라도 우선 다니는 데가 있다, 이렇게 생각하니까 (안심이 되죠). 약값도 많이 부담이 되잖아요. 아무래도 보탬이 되고..."

그러나 이렇게 일을 하려 해도 마땅한 일자리는 찾기 어렵습니다.

대졸 이상 고학력 노인도 3명 중 1명은 경력과 상관없는 경비나 시설관리 등 단순노무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녹취 아파트 경비원 : "(경비원 중에) 큰 회사 상무로 있다가 온 사람도 있고, 잘 나갔던 사람들 많아요."

평생을 일하고도 안락한 노후는커녕 가난의 불안에서 벗어나기 어려운 노년의 삶.

우리 사회 노인층이 직면한 현실입니다.

KBS 뉴스 김채린입니다.

▼노인 30% 일하는데…빈곤율 여전히 꼴찌▼

기자 멘트

중장년층을 위한 일자리, 채용 박람회장입니다.

지금 보시는 건 박람회 포스터들인데요.

상담을 받고, 이력서를 내고, 이렇게 청년 뿐아니라 노인들도 구직에 매달리고 있습니다.

지금도 노인 3명 중 1명은 경제활동, 즉 '일하는 중'입니다.

그런데도 노인 인구의 절반이 빈곤층입니다.

OECD 평균보다 노인 고용율은 2배지만, 빈곤율은 무려 4배나 됩니다.

그만큼 우리나라 노인층이 퇴직 후, 노년의 삶을 준비하지 못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노후대비 1순위로 꼽히는 국민연금을 한번 볼까요?

현재 65세 이상 노인 가운데 국민연금 수급자는 전체의 38%에 불과합니다.

특히 저소득층 노인은 공적·사적연금을 다 합쳐도 겨우 18%.

10명 중 8명은 연금 한푼 없이 살아가고 있습니다.

결국 저임금 허드렛일에 내몰려 일을 해도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노인 빈곤의 악순환'에 빠진 겁니다.

그럼 앞으로는 어떨까요?

지금까지 노인 인구는 한해 평균 20만 명 정도 늘었는데, 베이비부머 세대가 노인층으로 진입하면 이제 70만 명씩 늘어납니다.

노부모는 살아계시고 자식은 아직 독립하지 못한 세대가 '소득이 없는 노인'층으로 쏟아져 들어옵니다.

이 때문에 노인층이 쌓아온 풍부한 경험과 노하우를 살릴 수 있는 '좋은 일자리'가 노인 복지의 최우선 과제로 꼽히고 있습니다.

▼100세 시대 대안은? ‘경력 살리는 양질 일자리’▼

리포트

은퇴 이후를 준비하려는 사람들로 상담소가 북적입니다.

연금 고민에 자녀 결혼자금 문제까지 어느 하나 쉬운 게 없습니다.

인터뷰 차은숙(서울시 강동구) : "10년이 안되

Видео [이슈&뉴스] 고령사회 ‘충격’…은퇴하면 빈곤층 전락 / KBS뉴스(News) канала KBS News
Показать
Комментарии отсутствуют
Введите заголовок:

Введите адрес ссылки:

Введите адрес видео с YouTube:

Зарегистрируйтесь или войдите с
Информация о видео
1 августа 2017 г. 18:13:12
00:05:33
Другие видео канала
[탐사기획 돌직구] 부양의무제에 우는 사람들[탐사기획 돌직구] 부양의무제에 우는 사람들[YTN 스페셜] 거리의 노인들(1부:퇴적공간의 노인들) / YTN[YTN 스페셜] 거리의 노인들(1부:퇴적공간의 노인들) / YTNKBS파노라마 플러스_나 혼자 인생 ㅣ KBS방송KBS파노라마 플러스_나 혼자 인생 ㅣ KBS방송[ETx빅데이터] 은퇴 후 생활비, 남들은 얼마를 쓸까? / KBS 2021.04.07.[ETx빅데이터] 은퇴 후 생활비, 남들은 얼마를 쓸까? / KBS 2021.04.07.160929 대전MBC 시사플러스 황혼의 그림자 노후파산160929 대전MBC 시사플러스 황혼의 그림자 노후파산'정년 60세' 앞두고 50대 명퇴 칼바람  / YTN'정년 60세' 앞두고 50대 명퇴 칼바람 / YTN[기자가 간다] 5천 원 돈벌이마저...[기자가 간다] 5천 원 돈벌이마저...빈곤층 울리는 부양의무빈곤층 울리는 부양의무3회 초고령화사회의 그늘 독거노인 1부3회 초고령화사회의 그늘 독거노인 1부[뉴스 인사이드-현장] 독거노인 130만 시대, '당신의 미래는'(2016.10.02.일)[뉴스 인사이드-현장] 독거노인 130만 시대, '당신의 미래는'(2016.10.02.일)100세 시대 ‘빈곤 노인’…은퇴 후 빈곤층 전락, 이유는? / KBS뉴스(News)100세 시대 ‘빈곤 노인’…은퇴 후 빈곤층 전락, 이유는? / KBS뉴스(News)100세 시대…현명한 노후 준비 방법은? / KBS뉴스(News)100세 시대…현명한 노후 준비 방법은? / KBS뉴스(News)(40-60대)노후 빈곤에 빠지는 7가지 유형(실제 사례)(40-60대)노후 빈곤에 빠지는 7가지 유형(실제 사례)EBS 다큐프라임 - 100세 쇼크- [장수의 역습, 벼랑 끝에 선 노인들]_#001EBS 다큐프라임 - 100세 쇼크- [장수의 역습, 벼랑 끝에 선 노인들]_#001[YTN 스페셜] 거리의 노인들(2부:노인과 일) / YTN[YTN 스페셜] 거리의 노인들(2부:노인과 일) / YTN[보도 특집] 은퇴 그 후, 새 희망을 찾다 - ① 은둔에 빠진 아버지를 만나다 편[보도 특집] 은퇴 그 후, 새 희망을 찾다 - ① 은둔에 빠진 아버지를 만나다 편[시사기획 창] 100세 시대 - 나는 늙지 않는다 / KBS뉴스(News)[시사기획 창] 100세 시대 - 나는 늙지 않는다 / KBS뉴스(News)[YTN 스페셜] 거리의 노인들(3부:연로하신 대한민국의 미래는?) / YTN[YTN 스페셜] 거리의 노인들(3부:연로하신 대한민국의 미래는?) / YTN[100세 사회의 경고 1편] 한국·중국·일본 동아시아 3국 고령화 쇼크에 무너지는가 (KBS_2015.05.21 방송)[100세 사회의 경고 1편] 한국·중국·일본 동아시아 3국 고령화 쇼크에 무너지는가 (KBS_2015.05.21 방송)자산의 75% 이상이 부동산! 🏠 퇴로 없는 1주택자 베이비부머들의 고민 | KBS 스페셜 “은퇴 공포! 집, 믿어도 될까?” (KBS 190808 방송)자산의 75% 이상이 부동산! 🏠 퇴로 없는 1주택자 베이비부머들의 고민 | KBS 스페셜 “은퇴 공포! 집, 믿어도 될까?” (KBS 190808 방송)
Яндекс.Метрик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