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희 가곡.가사 中 수양산가 /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자료 시리즈 18
음반명 :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자료시리즈 18 최정희 가곡 가사
음반번호 : KICP-050~051
제작/기획사 : 국립문화재연구소
녹음시기
발매시기 : 2001년
글 : 김호성(중요무형문화재 제 41호 가사 보유자 후보)
Ⅰ. 최정희(崔貞姬)의 생애와 음악활동
1908년 용인에서 출생한 최정희 여사는 아호를 란사(蘭舍)라 하였고, 1920년 한성권번에 입학하였다. 한성권번시절 가곡은 장덕근 선생으로부터 전수받고 가사와 시조는 장계춘 선생에게서 이수하였다. 한편 추계순 선생으로부터 긴잡가 및 가사와 시조를 이수하였다. 1942년부터 빅타 전속으로 활동을 하였으며 해방과 더불어 서울에서 활동을 하다가 5․16 혁명 이후부터는 수원국악원(화령전)에서 후학을 지도하였다. 1968년 이주환 선생과 같이 신세계 레코드 제작의 첫 가곡음반을 녹음했는데, 이것이 우리나라 LP로 제작된 첫 번째 가곡음반이었다. 최정희 여사는 필자와도 1975년 명동 국립극장에서 가곡 발표를 협연하였으나 아쉽게도 2년 후 작고하였다. 최정희 여사는 주변에 살붙이가 하나도 없고, 친족도 없어 늘 가난하고 고독한 여생을 보내 왔었다. 못내 인간 문화재의 꿈을 실현치 못한 채 눈을 감았으니 예나 지금이나 약자의 설움으로 세상의 편견 위에서 지워 버린 안타까운 인물이었다. 여기 가곡은 화령전 마룻바닥에서 필자가 대금을 수성질하여 격식을 갖추지 못한 채 녹음된 자료이나 장덕근․장계춘 바디의 원본이 분명하다. 하순일․하규일 바디와 또 다른 멋과 특징을 가진 최정희 바디의 가곡이 복원될 수 있는 자료임에 틀림없다 할 것이다. 녹음상태가 양호하지 못한 것은 사실이나 후학들이 연구하는데는 원가락이기 때문에 매우 소중한 자료임에는 분명하다.
Ⅲ. 가사(歌詞)
⑤ 최정희의 가사
최정희의 가사는 한성권번 장계춘 바디로 다른 계통과는 판이하다. 그도 그럴 것이 고종 때 가무별감의 최상욱은 조선가무연구를 조직하여 경서도계를 주름잡던 최경식과 동시대의 명인의 첫제자로 활동이 두드러졌던 여류가객이었다.
여기 수록된 九詞는 白鷗詞, 勸酒歌, 處士歌, 길군악(軍樂), 相思別曲, 春眠曲, 竹枝詞, 黃鷄詞, 首陽山歌로 역시 1973년 9월 수원국악원(화령전)에서 필자의 장단으로 녹음한 것이다. 과감히 치고 뻗으며 세차게 밀고 가는 고저는 가히 장계춘 바디의 특색을 다 표현하였다.
더 좋은 음향실에서 제대로 갖추어 녹음을 담지 않은 후회가 더욱 아쉬울 뿐이다.
⑨ 수양산가(首陽山歌)
수양산(首陽山)에 고사리를 꺾어
위수빈(渭水濱)에 고기를 낚아
의적(儀狄)의 빚은 술 이태백(李太白) 밝은달이
등왕각(滕王閣) 높은 집에 장건(張騫)이 승사(乘槎)하고
달맞이 가는 말명을 청하자
바람 불고 눈비오랴는가 동녘(東域)을 바라보니
자미봉(紫薇峰) 자각봉(紫閣峰)과 좌우(左右) 청천(晴天) 밝은 달
벽수백운(碧樹白雲)이 층층(層層) 방곡(坊曲)에 절로 감을
흰들 휘 흰들 네로 니네로
노노니 나너루더루허고 바루이루해요
네로나니
나로아로니루허고 네루레니너니나노
느니나니
나느니나노느니나 노너니나
목왕(穆王)은 천자(天子)로되 요지(瑤池)에 연락(宴樂)허고
항우(項羽)는 장사(壯士)로되 비가강개(悲歌慷慨)허고
명황(明皇)은 영주(英主)로되 양귀비(楊貴妃) 이별후(離別後)에
마외역(馬嵬驛)에 울엇느니 한벽당(寒碧堂) 청풍월(淸風月)에
만고천하(萬古天下) 영웅준걸(英雄俊傑)이 안저
오날같이 좋고 좋흔날 만나 아니 놀고 무엇일을 허자느니
(부가설명)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김봉건)에서는 최근『최정희(崔貞姬) 가곡(歌曲)·가사(歌詞)』,『시창(詩唱) 및 송서(誦書)』,『강백천(姜白川)류 대금산조』등 3종의 희귀 국악자료를 출반(出盤)하였다. 이들 자료는 그간 현장조사 등으로 녹음·수집하여 소장하고 있던 국악 명인들의 자료 175종[릴테이프 1,040롤 분량] 중 시중에 한번도 출반되지 않았거나 구하기 힘든 희귀 국악자료를 선정, 음반으로 출반한 것이다.
『최정희 가곡·가사』는 최정희가 가곡의 명창(名唱) 하순일·하규일과는 다른 자기만의 독창적인 창법(唱法)을 구사하였음을 보여주는 자료이며, 『시창 및 송서』는 국악의 한 부류이지만 그동안 자료가 부족하여 이를 제대로 구명(究明)하지 못했던 관련 학계에 제공되는 획기적인 연구자료이다. 그리고『강백천류 대금산조』는 본인 강백천과 후계자 김동진·김동표의 연주를 모두 수록하여 강백천류 대금산조를 세대별로 비교 감상할 수 있다.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는 1997년부터 금년까지 정악분야의 음반을 모두 출반하였으므로 앞으로는 각 지역에서 전승되었던 토속민요와 무속음악 등을 출반할 것이다. 그간 출반된 총 20종 56장의 음반은 학계와 연주자들에게 학술연구와 기록보존을 위한 자료로 제공되어, 현재 이를 이용한 국악계의 논문들이 줄을 잇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악 연주자들의 연주 고증자료로도 활용되고 있다. 또한 국악방송(FM 99.1)의 고정 프로그램을 통해 국악 애호가들에게도 널리 알려짐으로써 우리 전통음악을 알리고 찾게 해주는 국악자료의 원천(源泉)으로 활용되고 있어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있다.
최정희는 1908년 경기도 용인에서 출생하였다. 1920년 한성권번에 입학하여 장덕근 선생으로부터 가곡, 장계춘 선생으로부터 가사와 시조, 추계순 선생으로부터 긴잡가와 시조를 전수받았다. 1942년부터 빅타 전속으로 활동을 하였으며 해방과 더불어 서울에서 활동을 하다가 5·16 혁명 이후부터는 수원국악원[화령전]에서 후학을 지도하였다. 1968년 이주환 선생과 같이 신세계 레코드 제작의 첫 가곡음반을 녹음했는데, 이것이 우리나라 LP로 제작된 첫 번째 가곡음반이었다. 이번에 출반된 최정희 가곡 가사는 한성권번의 장덕근·장계춘 바디를 그대로 전수한 원본이다. 하순일·하규일 바디와 또 다른 멋과 특징을 가진 최정희 바디의 가곡이 복원될 수 있는 원본 자료임에 틀림없다. 현재 전하는 일반적인 바디는 고종 때 가무별감의 맥을 이은 조선가무연구회가 주를 이루는 경·서도계가 보편적이다. 그러나 최정희의 가사 바디는 한성권번 장계춘 바디로 과감히 치고 뻗으며 세차게 밀고 가는 고저는 가히 다른 계통과는 판이한 특색을 지니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Видео 최정희 가곡.가사 中 수양산가 /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자료 시리즈 18 канала 각퇴요정
음반번호 : KICP-050~051
제작/기획사 : 국립문화재연구소
녹음시기
발매시기 : 2001년
글 : 김호성(중요무형문화재 제 41호 가사 보유자 후보)
Ⅰ. 최정희(崔貞姬)의 생애와 음악활동
1908년 용인에서 출생한 최정희 여사는 아호를 란사(蘭舍)라 하였고, 1920년 한성권번에 입학하였다. 한성권번시절 가곡은 장덕근 선생으로부터 전수받고 가사와 시조는 장계춘 선생에게서 이수하였다. 한편 추계순 선생으로부터 긴잡가 및 가사와 시조를 이수하였다. 1942년부터 빅타 전속으로 활동을 하였으며 해방과 더불어 서울에서 활동을 하다가 5․16 혁명 이후부터는 수원국악원(화령전)에서 후학을 지도하였다. 1968년 이주환 선생과 같이 신세계 레코드 제작의 첫 가곡음반을 녹음했는데, 이것이 우리나라 LP로 제작된 첫 번째 가곡음반이었다. 최정희 여사는 필자와도 1975년 명동 국립극장에서 가곡 발표를 협연하였으나 아쉽게도 2년 후 작고하였다. 최정희 여사는 주변에 살붙이가 하나도 없고, 친족도 없어 늘 가난하고 고독한 여생을 보내 왔었다. 못내 인간 문화재의 꿈을 실현치 못한 채 눈을 감았으니 예나 지금이나 약자의 설움으로 세상의 편견 위에서 지워 버린 안타까운 인물이었다. 여기 가곡은 화령전 마룻바닥에서 필자가 대금을 수성질하여 격식을 갖추지 못한 채 녹음된 자료이나 장덕근․장계춘 바디의 원본이 분명하다. 하순일․하규일 바디와 또 다른 멋과 특징을 가진 최정희 바디의 가곡이 복원될 수 있는 자료임에 틀림없다 할 것이다. 녹음상태가 양호하지 못한 것은 사실이나 후학들이 연구하는데는 원가락이기 때문에 매우 소중한 자료임에는 분명하다.
Ⅲ. 가사(歌詞)
⑤ 최정희의 가사
최정희의 가사는 한성권번 장계춘 바디로 다른 계통과는 판이하다. 그도 그럴 것이 고종 때 가무별감의 최상욱은 조선가무연구를 조직하여 경서도계를 주름잡던 최경식과 동시대의 명인의 첫제자로 활동이 두드러졌던 여류가객이었다.
여기 수록된 九詞는 白鷗詞, 勸酒歌, 處士歌, 길군악(軍樂), 相思別曲, 春眠曲, 竹枝詞, 黃鷄詞, 首陽山歌로 역시 1973년 9월 수원국악원(화령전)에서 필자의 장단으로 녹음한 것이다. 과감히 치고 뻗으며 세차게 밀고 가는 고저는 가히 장계춘 바디의 특색을 다 표현하였다.
더 좋은 음향실에서 제대로 갖추어 녹음을 담지 않은 후회가 더욱 아쉬울 뿐이다.
⑨ 수양산가(首陽山歌)
수양산(首陽山)에 고사리를 꺾어
위수빈(渭水濱)에 고기를 낚아
의적(儀狄)의 빚은 술 이태백(李太白) 밝은달이
등왕각(滕王閣) 높은 집에 장건(張騫)이 승사(乘槎)하고
달맞이 가는 말명을 청하자
바람 불고 눈비오랴는가 동녘(東域)을 바라보니
자미봉(紫薇峰) 자각봉(紫閣峰)과 좌우(左右) 청천(晴天) 밝은 달
벽수백운(碧樹白雲)이 층층(層層) 방곡(坊曲)에 절로 감을
흰들 휘 흰들 네로 니네로
노노니 나너루더루허고 바루이루해요
네로나니
나로아로니루허고 네루레니너니나노
느니나니
나느니나노느니나 노너니나
목왕(穆王)은 천자(天子)로되 요지(瑤池)에 연락(宴樂)허고
항우(項羽)는 장사(壯士)로되 비가강개(悲歌慷慨)허고
명황(明皇)은 영주(英主)로되 양귀비(楊貴妃) 이별후(離別後)에
마외역(馬嵬驛)에 울엇느니 한벽당(寒碧堂) 청풍월(淸風月)에
만고천하(萬古天下) 영웅준걸(英雄俊傑)이 안저
오날같이 좋고 좋흔날 만나 아니 놀고 무엇일을 허자느니
(부가설명)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김봉건)에서는 최근『최정희(崔貞姬) 가곡(歌曲)·가사(歌詞)』,『시창(詩唱) 및 송서(誦書)』,『강백천(姜白川)류 대금산조』등 3종의 희귀 국악자료를 출반(出盤)하였다. 이들 자료는 그간 현장조사 등으로 녹음·수집하여 소장하고 있던 국악 명인들의 자료 175종[릴테이프 1,040롤 분량] 중 시중에 한번도 출반되지 않았거나 구하기 힘든 희귀 국악자료를 선정, 음반으로 출반한 것이다.
『최정희 가곡·가사』는 최정희가 가곡의 명창(名唱) 하순일·하규일과는 다른 자기만의 독창적인 창법(唱法)을 구사하였음을 보여주는 자료이며, 『시창 및 송서』는 국악의 한 부류이지만 그동안 자료가 부족하여 이를 제대로 구명(究明)하지 못했던 관련 학계에 제공되는 획기적인 연구자료이다. 그리고『강백천류 대금산조』는 본인 강백천과 후계자 김동진·김동표의 연주를 모두 수록하여 강백천류 대금산조를 세대별로 비교 감상할 수 있다.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는 1997년부터 금년까지 정악분야의 음반을 모두 출반하였으므로 앞으로는 각 지역에서 전승되었던 토속민요와 무속음악 등을 출반할 것이다. 그간 출반된 총 20종 56장의 음반은 학계와 연주자들에게 학술연구와 기록보존을 위한 자료로 제공되어, 현재 이를 이용한 국악계의 논문들이 줄을 잇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악 연주자들의 연주 고증자료로도 활용되고 있다. 또한 국악방송(FM 99.1)의 고정 프로그램을 통해 국악 애호가들에게도 널리 알려짐으로써 우리 전통음악을 알리고 찾게 해주는 국악자료의 원천(源泉)으로 활용되고 있어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있다.
최정희는 1908년 경기도 용인에서 출생하였다. 1920년 한성권번에 입학하여 장덕근 선생으로부터 가곡, 장계춘 선생으로부터 가사와 시조, 추계순 선생으로부터 긴잡가와 시조를 전수받았다. 1942년부터 빅타 전속으로 활동을 하였으며 해방과 더불어 서울에서 활동을 하다가 5·16 혁명 이후부터는 수원국악원[화령전]에서 후학을 지도하였다. 1968년 이주환 선생과 같이 신세계 레코드 제작의 첫 가곡음반을 녹음했는데, 이것이 우리나라 LP로 제작된 첫 번째 가곡음반이었다. 이번에 출반된 최정희 가곡 가사는 한성권번의 장덕근·장계춘 바디를 그대로 전수한 원본이다. 하순일·하규일 바디와 또 다른 멋과 특징을 가진 최정희 바디의 가곡이 복원될 수 있는 원본 자료임에 틀림없다. 현재 전하는 일반적인 바디는 고종 때 가무별감의 맥을 이은 조선가무연구회가 주를 이루는 경·서도계가 보편적이다. 그러나 최정희의 가사 바디는 한성권번 장계춘 바디로 과감히 치고 뻗으며 세차게 밀고 가는 고저는 가히 다른 계통과는 판이한 특색을 지니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Видео 최정희 가곡.가사 中 수양산가 /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자료 시리즈 18 канала 각퇴요정
Комментарии отсутствуют
Информация о видео
27 декабря 2023 г. 17:00:51
00:09:07
Другие видео канал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