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채 금리 4.4%대로 반등...투매 멈췄지만 불안감 / YTN
트럼프 대통령의 90일 상호관세 유예로 미국 채권 시장에서 투매가 멈췄지만, 뉴욕 증시가 다시 급락하면서 시장 안정성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남아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시장 거래 플랫폼 트레이드 웹에서 뉴욕 증시 마감 무렵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4.41%로 하루 전보다 0.07%포인트 올랐습니다.
관세 유예 조치 발표 이후 미 국채 수익률은 오전 장중 4.26%로까지 저점을 낮췄다가 뉴욕 증시가 하루 만에 다시 낙폭을 키우면서 상승 흐름을 나타냈습니다.
30년물 수익률은 3거래일간 약 0.5%포인트 급등했는데 이는 1982년 이후 가장 빠른 증가 속도라고 월스트리트 저널은 전했습니다.
재닛 옐런 전 미국 재무부 장관은 CNN과의 인터뷰에서 최근 미국 국채 투매에 대해 "트럼프가 상호 관세를 유예하는 데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며 "명백하게 우려할 사안"이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가 발효한 9일 0시 1분 직후 아시아 시장에서 10년물 금리는 4.51%까지, 30년물 금리가 5.02%까지 상승하며 금융 시장에 공포감을 촉발했습니다.
채권 수익률과 채권 가격은 반대로 움직이기 때문에 채권 수익률의 빠른 상승은 채권 가격의 급락을 의미합니다.
지난 1982년 30년물 금리가 13%대에 달했던 점을 고려하면 현 4%대 금리 수준에서 지난 며칠간 나타난 금리 상승(채권 가격 하락) 속도는 사상 유례가 없는 수준이라고 전문가들은 평가합니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등이 추가 관세 지연 결정이 계획된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9일까지 나타난 채권 시장 혼란은 트럼프가 상호 관세 유예를 발표한 직접적인 계기가 됐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트럼프는 전날 관세 유예 발표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채권 시장을 지켜보고 있었는데 매우 까다롭다"며 "지금 보면 아주 멋지게 됐다"라고 언급했습니다.
케빈 해셋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채권 시장이 공황 상태에서 움직인 건 아니지만, 채권 시장이 유예 의사결정에 적어도 조금은 기여했을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CNBC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대해 채권 시장이 강력하게 경고했고, 결국 트럼프가 이를 경청해 잠재적 재앙을 피한 것"이라고 진단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증시가 다시 폭락하면서 시장 안정성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남아있다"고 평가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4110724474590
▶ 제보 하기 : https://mj.ytn.co.kr/mj/mj_write.php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무단 전재, 재배포금지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Видео 미 국채 금리 4.4%대로 반등...투매 멈췄지만 불안감 / YTN канала YTN
시장 거래 플랫폼 트레이드 웹에서 뉴욕 증시 마감 무렵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4.41%로 하루 전보다 0.07%포인트 올랐습니다.
관세 유예 조치 발표 이후 미 국채 수익률은 오전 장중 4.26%로까지 저점을 낮췄다가 뉴욕 증시가 하루 만에 다시 낙폭을 키우면서 상승 흐름을 나타냈습니다.
30년물 수익률은 3거래일간 약 0.5%포인트 급등했는데 이는 1982년 이후 가장 빠른 증가 속도라고 월스트리트 저널은 전했습니다.
재닛 옐런 전 미국 재무부 장관은 CNN과의 인터뷰에서 최근 미국 국채 투매에 대해 "트럼프가 상호 관세를 유예하는 데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며 "명백하게 우려할 사안"이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가 발효한 9일 0시 1분 직후 아시아 시장에서 10년물 금리는 4.51%까지, 30년물 금리가 5.02%까지 상승하며 금융 시장에 공포감을 촉발했습니다.
채권 수익률과 채권 가격은 반대로 움직이기 때문에 채권 수익률의 빠른 상승은 채권 가격의 급락을 의미합니다.
지난 1982년 30년물 금리가 13%대에 달했던 점을 고려하면 현 4%대 금리 수준에서 지난 며칠간 나타난 금리 상승(채권 가격 하락) 속도는 사상 유례가 없는 수준이라고 전문가들은 평가합니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등이 추가 관세 지연 결정이 계획된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9일까지 나타난 채권 시장 혼란은 트럼프가 상호 관세 유예를 발표한 직접적인 계기가 됐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트럼프는 전날 관세 유예 발표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채권 시장을 지켜보고 있었는데 매우 까다롭다"며 "지금 보면 아주 멋지게 됐다"라고 언급했습니다.
케빈 해셋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채권 시장이 공황 상태에서 움직인 건 아니지만, 채권 시장이 유예 의사결정에 적어도 조금은 기여했을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CNBC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대해 채권 시장이 강력하게 경고했고, 결국 트럼프가 이를 경청해 잠재적 재앙을 피한 것"이라고 진단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증시가 다시 폭락하면서 시장 안정성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남아있다"고 평가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4110724474590
▶ 제보 하기 : https://mj.ytn.co.kr/mj/mj_write.php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무단 전재, 재배포금지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Видео 미 국채 금리 4.4%대로 반등...투매 멈췄지만 불안감 / YTN канала YTN
Комментарии отсутствуют
Информация о видео
11 апреля 2025 г. 4:47:40
00:01:11
Другие видео канала














![[자막뉴스] 피 마르는 車 관세...생존 걸린 구애 작전 / YTN](https://i.ytimg.com/vi/lzPuwx79jOk/default.jpg)



![[날씨] 나들이하기 좋은 주말...대기 건조, 산불 위험성↑ / YTN](https://i.ytimg.com/vi/WcxWncFh9mU/default.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