Загрузка страницы

100년 전, 전국에서 천여 명이 평양으로 몰려든 이유는? Footage of Pyongyang, Korea in the early 1900sㅣKBS현대사아카이브 24.05.09

✔KBS 다큐멘터리 | KBS 공식 유튜브 채널 [KBS 다큐]
✔ KBS다큐 구독하기 ➡️ https://www.youtube.com/@KBSDocumentary

KBS현대사 아카이브팀이 미국 장로교 역사협회와 캐나다 연합교회 아카이브, 그리고 선교사 헨리 브루엔 가족에게 수집, 최초 공개하는 영상에는 일제강점기, 나라를 빼앗긴 한국인의 삶이 서양 선교사의 눈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방인이자 이웃의 따뜻한 시선으로 기록한 생생한 영상을 통해 당시 조선을 들여다본다.

# 서양 선교사, 대구에 사과를 들여오다.
- 헨리 브루엔 선교사 가족 제공 영상

대구를 사과의 고장으로 만든 건, 선교사들이 사과나무를 들여와 청라언덕에 심기 시작하면서부터. 스물 다섯 젊은 나이에 조선을 찾아 무려 42년이나 살았던 선교사 ‘브루엔’도 사과 농사를 지었다. 전도를 위해 대구는 물론 경북 지역 곳곳을 찾았던 그는, 우리말을 완벽하게 구사했다. 한국 이름은 ‘부해리’. 자동차를 타고 온 키 큰 서양인을 구경하러 몰려든 동네 사람들을 특유의 친화력으로 사로잡았다. 조선인을 향한 그의 친밀한 시선이 단오 풍경, 여인과 아이들의 일상을 세세하게 촬영한 필름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 새롭게 발굴한 3.1만세운동의 기록자,‘오웬스’
- 캐나다 연합교회 아카이브 수집

“오웬스는 3.1운동을 ‘혁명’이라고, ‘레볼루션(revolution)’이라고 표현해요.
이것은 세계인들이 관심을 갖고서 주목해야 될 굉장한 일이다“

캐나다 출신 선교사‘오웬스’는 조선에 10여 년간 머물렀지만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인물이다. 그런데 이번 아카이브 발굴 작업 과정에서 그가 상세하게 기록한 3.1 만세운동 자료가 발견됐다.‘오웬스’가 근무했던 현재의 세브란스 병원은 당시 서울역 앞에 있었고, 덕분에 그는 3.1 만세운동을 가장 가까운 곳에서 목격하고 참가한 이들과 직접 이야기를 나누며 참상을 기록할 수 있었다. ‘오웬스’는 이 글과 사진들을 국제사회에 알리고, 지지를 이끌어내기를 바랐다. 그는 격동의 시기를 겪던 조선의 한 가운데에서, 역사의 기록자로서 살았다.

# 전국 각지의 여인들이 몰려든 ‘동양의 예루살렘’ 평양
- 미국 장로교 역사협회 수집

#한국근현대사#KBS현대사아카이브

기독교 불모지였던 평양을 ‘동양의 예루살렘’으로 일군 건, 미국에서 온 선교사 ‘모펫’이었다. 그러나 평양의 모습을 기록한 영상에서 특히 눈여겨 볼만한 것은 성경공부 모임인 사경회. 전국에서 1,000명 이상의 여성 교인들이 몰려들었는데, 12일이나 교회에 머물러야 하기에 본인은 물론 아이들 먹을 것, 입을 것까지 싸서 머리에 이고 걷고 또 걸어온다. 사경회에서, 한글과 성경이 보급과 전파에 서로 힘을 싣게 된다.

“한국에 기독교가 들어왔을 때 처음부터 선교 방침이
남자보다는 여성, 대도시보다는 중소도시나 농촌 이런 쪽으로 선교에 초점을 뒀습니다.
그러다 보니까 여성들이 많이 교회에 나오고 여성 중심으로 하다 보니까
한문을 모르니까 한글(관련 내용)을 많이 개발했죠.“

평양 대부흥운동을 이끌었고, 전국을 돌며 사경회와 부흥회를 진행하면서 한국교회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 한국인 목회자 길선주 목사와 모펫 선교사의 모습을 동영상으로 공개한다.

# 조선 가장 낮은 곳을 기록하다.

조선 최초의 여학교 ‘이화학당’을 설립해 여성들에게도 ‘배움’이라는 꿈을 심어준 ‘스크랜튼’, 서양 의학기술을 들여와 환자들을 돌본 전주 병원의‘보그스’ 원장... 100여 년 전 새벽의 나라를 찾았던 영상 속 선교사들은, 당시의 가장 평범한 조선인들의 일상과 함께했기에 의미가 남다르다.

“제가 이걸 보면서 그 안에 나온 한 사람 한 사람 대화를 계속 걸었거든요.
본인의 편견이나 이런 것들이 드러나지 않게 찍은 게 동영상이기 때문에
이런 것들을 좀 많이 발굴해서 더 많이 연구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사회에서 배척받던 한센인들에게 삶의 터전이 되었던 대구 애락원 김장철 풍경. 또 길거리에 삼삼오오 모여 앉아 국밥을 말아먹고, 엿장수 좌판에 몰려들어 군것질을 하고, 지게에 짐을 잔뜩 싣고 바쁜 걸음을 옮기는 장터를 촬영한 영상은 조선을 낯선 여행지가 아닌, 자신의 일상으로 받아들이고 살아낸 선교사들의 ‘진짜’ 삶을 통해 남겨진 것들이다.

1900년대 초, 서양에서 온 선교사들이 직접 기록한 조선을 5월 9일 목요일 밤 10시 KBS1TV KBS 현대사 아카이브 [‘선교사들, 조선을 기록하다’- 새벽의 나라]에서 확인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제작에 사용된 영상의 원본은 KBS와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이 공동 운영하는 현대사 아카이브(archives.kbs.co.kr)에서 만날 수 있다.

Видео 100년 전, 전국에서 천여 명이 평양으로 몰려든 이유는? Footage of Pyongyang, Korea in the early 1900sㅣKBS현대사아카이브 24.05.09 канала KBS 다큐
Показать
Комментарии отсутствуют
Введите заголовок:

Введите адрес ссылки:

Введите адрес видео с YouTube:

Зарегистрируйтесь или войдите с
Информация о видео
12 мая 2024 г. 6:00:07
00:06:19
Другие видео канала
산을 터전 삼아 살아온 이들에겐 독특한 새참 문화가 있다!! 강원 삼척 높드리 사람들의 새참을 만나본다 [한국인의 밥상 KBS 20240530 방송]산을 터전 삼아 살아온 이들에겐 독특한 새참 문화가 있다!! 강원 삼척 높드리 사람들의 새참을 만나본다 [한국인의 밥상 KBS 20240530 방송]한국 의료와의 협럭 덕분에 에티오피아 보건 서비스의 이용률이 증가했다  [다큐ON-Docu ON] | KBS 240602 방송한국 의료와의 협럭 덕분에 에티오피아 보건 서비스의 이용률이 증가했다 [다큐ON-Docu ON] | KBS 240602 방송[한국인의 밥상] 58년 만의 기적을 나누는 밥상, 설레는 마음을 새겨 넣은 쑥개떡 | KBS 240606 방송[한국인의 밥상] 58년 만의 기적을 나누는 밥상, 설레는 마음을 새겨 넣은 쑥개떡 | KBS 240606 방송아픈 가족의 끼니를 위해 사금장으로 향하는 소년가장 조셉 “신을 원망할 때도 있어요...” [바다 건너 사랑 2024] | KBS 240602 방송아픈 가족의 끼니를 위해 사금장으로 향하는 소년가장 조셉 “신을 원망할 때도 있어요...” [바다 건너 사랑 2024] | KBS 240602 방송카라모자 아이들의 웃음을 되찾아준 봉태규, 그리고 한가지 안타까운 소식 [바다 건너 사랑 2024] | KBS 240602 방송카라모자 아이들의 웃음을 되찾아준 봉태규, 그리고 한가지 안타까운 소식 [바다 건너 사랑 2024] | KBS 240602 방송영양실조로 위태로운 두 동생의 누나이자 엄마가 된 로키니 “동생들을 돌보는 게 힘들어요...” [바다 건너 사랑 2024] | KBS 240602 방송영양실조로 위태로운 두 동생의 누나이자 엄마가 된 로키니 “동생들을 돌보는 게 힘들어요...” [바다 건너 사랑 2024] | KBS 240602 방송[모음zip🔴김] 국민반찬 '김'을 해외에서는 과자처럼 즐긴다! 우리나라 '김'이 세계적으로 사랑 받는 이유! 대한민국 김 몰아보기 Korean Seaweed | KBS 방송[모음zip🔴김] 국민반찬 '김'을 해외에서는 과자처럼 즐긴다! 우리나라 '김'이 세계적으로 사랑 받는 이유! 대한민국 김 몰아보기 Korean Seaweed | KBS 방송[한국인의 밥상] 눈 감아도 생각나는 옛 추억, 바다에서 나는 고기를 담은 바지락머윗대볶음 | KBS 240606 방송[한국인의 밥상] 눈 감아도 생각나는 옛 추억, 바다에서 나는 고기를 담은 바지락머윗대볶음 | KBS 240606 방송엄마를 잃고 동생들을 위해 채석장으로 내몰린 냐녜 “망치를 살 돈이 없어요...” [바다 건너 사랑 2024] | KBS 240602 방송엄마를 잃고 동생들을 위해 채석장으로 내몰린 냐녜 “망치를 살 돈이 없어요...” [바다 건너 사랑 2024] | KBS 240602 방송[한국인의 밥상] 그리움의 시간을 삼키는 얼큰한 떡 장물, 속을 꽉꽉 채운 임연수어 새치 만두 | KBS 240606 방송[한국인의 밥상] 그리움의 시간을 삼키는 얼큰한 떡 장물, 속을 꽉꽉 채운 임연수어 새치 만두 | KBS 240606 방송전복 덕분에 부자 섬이 된 ‘전복의 섬’ 전남 완도 노화도! 배 위에서 먹는 새참을 만난다 [한국인의 밥상 KBS 20240530 방송]전복 덕분에 부자 섬이 된 ‘전복의 섬’ 전남 완도 노화도! 배 위에서 먹는 새참을 만난다 [한국인의 밥상 KBS 20240530 방송]롤 모델은 없어요. 제 좌우명처럼 도전해봅니다 "길이 없다면 내가 먼저 간다!!" l KBS 다큐 인사이트 - 애린 혹은 우령 230420 방송롤 모델은 없어요. 제 좌우명처럼 도전해봅니다 "길이 없다면 내가 먼저 간다!!" l KBS 다큐 인사이트 - 애린 혹은 우령 230420 방송마에스트로 -클래식의 발견 | 400년이 넘게 유행하는 유일한 음악. 도대체 왜? | KBS 다큐인사이트 230126 방송마에스트로 -클래식의 발견 | 400년이 넘게 유행하는 유일한 음악. 도대체 왜? | KBS 다큐인사이트 230126 방송“2030년의 세상을 미리 보고 싶다면 아프리카로 가보라” 내전, 기아, 빈곤으로 외면 받던 땅! 아프리카가 깨어나고 있다 | 젊은 아프리카가 온다 | KBS 20240601 방송“2030년의 세상을 미리 보고 싶다면 아프리카로 가보라” 내전, 기아, 빈곤으로 외면 받던 땅! 아프리카가 깨어나고 있다 | 젊은 아프리카가 온다 | KBS 20240601 방송재개발 사업 최장 표류기간이 49년 4개월?! 결국 낙후된 곳은 몇 년째 지구지정만... 집을 고칠 수도 버릴 수도 없는 노후주택 주민들의 속사정 [KBS 20240405 방송]재개발 사업 최장 표류기간이 49년 4개월?! 결국 낙후된 곳은 몇 년째 지구지정만... 집을 고칠 수도 버릴 수도 없는 노후주택 주민들의 속사정 [KBS 20240405 방송]편안한 마음을 갖기 위한 과학적 방법! 마음챙김 Mindfulness | 특별기획 다큐멘터리 '마음' | 5부. 편안한 마음이 좋습니다 [KBS 20060212 방송]편안한 마음을 갖기 위한 과학적 방법! 마음챙김 Mindfulness | 특별기획 다큐멘터리 '마음' | 5부. 편안한 마음이 좋습니다 [KBS 20060212 방송]한국 학원가를 다 합쳐도 못 이길 세계 최대 규모의 학원도시. 인도 ‘코타’ ㅣ KBS 다큐인사이트 - 인도천재 1편 인도공과대학 230504 방송한국 학원가를 다 합쳐도 못 이길 세계 최대 규모의 학원도시. 인도 ‘코타’ ㅣ KBS 다큐인사이트 - 인도천재 1편 인도공과대학 230504 방송[ENG CC] IIT. 졸업생 스카우트를 위해 실리콘밸리 기업들이 줄 서는 대학 | 인도천재 1편. 인도공과대학 | KBS 다큐인사이트 2023.05.04 방송[ENG CC] IIT. 졸업생 스카우트를 위해 실리콘밸리 기업들이 줄 서는 대학 | 인도천재 1편. 인도공과대학 | KBS 다큐인사이트 2023.05.04 방송실패, 좌절, 헤어짐, 오해, 가난, 미움, 우리는 인생이라는 순례길을 걷는다... (KBS 20180607 방송)실패, 좌절, 헤어짐, 오해, 가난, 미움, 우리는 인생이라는 순례길을 걷는다... (KBS 20180607 방송)하늘과 얼굴을 맞대고 있는 땅, 청정자연의 보고, 경북 영양! 육지 속의 섬, 두메산골 청정자연의 산야초 밥상을 만나본다 [한국인의 밥상 KBS 20160602 방송]하늘과 얼굴을 맞대고 있는 땅, 청정자연의 보고, 경북 영양! 육지 속의 섬, 두메산골 청정자연의 산야초 밥상을 만나본다 [한국인의 밥상 KBS 20160602 방송][선공개 v.1] 마이크로바이옴으로 질병의 수수께끼를 풀 수 있을까? 우리 몸 속 거대한 미생물 생태계 | 다큐인사이트 마이크로바이옴 1편 본방송 목요일 밤10시 (KBS 방송)[선공개 v.1] 마이크로바이옴으로 질병의 수수께끼를 풀 수 있을까? 우리 몸 속 거대한 미생물 생태계 | 다큐인사이트 마이크로바이옴 1편 본방송 목요일 밤10시 (KBS 방송)
Яндекс.Метрик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