Загрузка страницы

KBS 역사추적 – 영산강 아파트형 고분의 미스터리

지난 2005년 영산강 중류 전라남도 나주 영동리에서 5~6세기 것으로 추정되는 인골 20여 구가 발견됐다.
1,500년 전의 인골이 거의 훼손되지 않은 채 발굴된 것은 극히 이례적인 일이었다. 게다가 이 고분군 안에는 백제의 영향력을 벗어난 여러 양식의 무덤들이 나타났다.
여러 종류의 무덤이 아파트처럼 얽혀 있는 영동리 고분에 대한 의문은 깊어만 갔다. 과연 이 무덤의 주인은 누구였을까?

- 옹관 고분의 등장이 주는 단서
나주 영동리 고분은 지난 2005년 밭을 개간하는 과정 중 석실과 인골이 노출되면서 빛을 보게 됐다. 4세기~6세기에 걸쳐 만들어진 고분에는 다양한 무덤 양식을 볼 수 있다.
돌로 방을 만들어 시신을 매장한 백제식 돌방무덤, 판석으로 관을 만든 돌널무덤, 옹관으로 된 무덤까지... 이 중 인골이 무더기로 발견된 것은 6세기 것으로, 석실이 6개, 7개씩 붙어있는 형태의 아파트형 고분. 그렇다면 무덤의 주인은 어느 시대, 어떤 정치체제의 집단이었을까?

- 인골 분석 결과와 일본
영동리 고분 발굴에서 또 하나의 주목할 점은 1,500년 전 인골이 무려 23구가 발굴된 것이다. 수습된 인골은 두개골의 이목구비가 모여 있어 그동안 한반도에서 수습된 다른
두개골들과 차이가 있었다. 또한 형태가 거의 온전하게 남아 있어서 형질분석과 DNA분석이 가능했다. 분석 결과 유전적으로 신라, 가야인과 차이를 보였고, 조선인들과도 차이가 있었다.
놀랍게도 인골은 현대 일본인과 가장 가까웠는데...
이런 유사성을 우리는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

- 다국적 출토 유물이 보여주는 세력의 정체는?
최근 영산강 유역의 고분에서 주목받는 무덤 양식이 바로 옹관이다. 크기가 큰 옹기 한 쌍을 관으로 이용해 시신을 매장하는 방식으로 영산강 일대의 영동리, 복암리 고분에서 수장급이 사용한 무덤의 양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를 통해 학자들은 옹관고분을 사용한 세력이 백제의 영향권에서 벗어난 독립적인 정치연합체라는 점에 의견을 모으고 있다. 부장품에서도 백제보다는 신라나 가야, 심지어는 왜에 가까운 유물들이 출토되고 있는데... 결국 이들이 백제보다는 다른 지역과 더 많이 교류한 세력임을 알 수 있다.

- 비밀 해독의 열쇠를 쥐고 있는 영산강
전남 해남 군곡리 패총과 영산강 유역에서 발견되는 고려 시대의 배편들은 과거 영산강이 300톤 정도의 배가 드나들 정도로 큰 강이었음을 증명해 주고 있다. 이것을 통해 옹관고분 세력은 4~6세기 경 영산강 유역에 다양한 지역과 활발히 교류한 해상교역 세력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의 교류는 일본의 마루쿠야마 고분과 일본 신마치 유적에도 영향을 주는데... 이런 새로운 교류 세력을 입증하는 유적과 유물의 발굴은 영산강 유역사를 다시 써야 하는 과제를 남겼다.

역사추적 23회– 영산강 아파트형 고분의 미스터리 (2009.5.11.방송)
http://history.kbs.co.kr/

Видео KBS 역사추적 – 영산강 아파트형 고분의 미스터리 канала KBS역사저널 그날
Показать
Комментарии отсутствуют
Введите заголовок:

Введите адрес ссылки:

Введите адрес видео с YouTube:

Зарегистрируйтесь или войдите с
Информация о видео
19 августа 2020 г. 13:00:10
00:42:08
Яндекс.Метрик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