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감신경 부교감신경 음양불균형 자율신경실조
#대전강남한의원 #자율신경실조
● 전화: 042-535-6931
● 카톡: 010-4618-8275
● 주소: 대전 중구 동서대로 1198
=========================
안녕하세요? 대전 강남한의원 한의사 이강환입니다.
오늘은 ‘자율신경 실조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율신경이란? 우리 몸을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신경인데요.
우리가 시키지 않아도 저절로 심장이 뛰고
심장이 너무 빨리 뛰니 좀 천천히 뛰게 해야겠다~ 마음 먹어도
심장을 느리게 조절할 수 없지요.
이렇게 자동으로 조절되는 신경이 자율신경입니다.
자율신경에는 두가지가 있는데요.
우리 몸을 양(陽)적인 상태로 만들어주는 교감신경과
우리 몸을 음(陰)적인 상태로 만들어주는 부교감신경이 있습니다.
양(陽)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는 교감신경은
우리 몸을 긴장하고, 투쟁하고, 최선을 다하게끔 하구요.
음(陰)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는 부교감 신경은
우리에게 긴장을 풀고 휴식하고 쉬게끔 합니다.
-----------------------------------------------
교감신경 – 양(陽)
부교감신경- 음(陰)
음양의 균형이 깨어진 상태 - 자율신경 실조증
-----------------------------------------------
교감신경이나 부교감신경이나 모두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신경인데요.
길을 건너려고 하는데 갑자기 자동차가 달려든다면
얼른 피해야 하겠지요? 이렇게 위급상황이 닥쳤을 때
반사적으로 위험으로부터 피하게끔 하는 것이 교감신경이구요.
다행히 잘 피한 후에 안도의 한숨을 쉬면서
뛰는 가슴을 진정시키는 것이 부교감신경입니다.
모든 일에는 음양의 균형이 맞아야 하듯이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도 균형이 잘 맞아야 하는데요.
이 균형이 깨지는 것이 바로 ‘자율신경 실조증’입니다.
대부분은 교감신경이 과도하게 흥분되는 쪽으로 생기는데요.
그 증상을 살펴보겠습니다.
자율신경 실조증의 대표적 증상은
불안, 초조, 긴장, 불면
가슴 두근거림, 호흡곤란
어지럼증, 현기증
땀이 남
만성피로, 근육통, 어깨 뭉침
손발 저림, 다리 힘이 풀림
이런 증상들은 모두 교감신경이 과도하게 활성화되고
이를 진정시켜주는 부교감신경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상태인데요.
이 상태가 오래 되다보면 ‘공황발작’이 올 수가 있고
나중에 공황장애로 발전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환자분들은 혀에도 패턴이 나타나는데요.
간과 심장에 열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혀끝이나 혀가장자리가 붉고 치흔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구요.
이럴 때는 심장 두근거림, 불안, 초조, 불면이 쉽게
나타납니다.
또 혀에 백태가 가득차 있는 경우도 있는데요.
이럴 때는 호흡곤란, 가슴답답함, 어지럼증,
다리에 힘이 풀려 쓰러질 것 같은 느낌을 많이들
호소하시게 됩니다.
오늘은 자율신경 실조증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부교감 신경을 활성화시켜서 우리 몸을 안정시키려면
여유가 필요합니다. 시간의 여유, 마음의 여유이지요.
같은 시간에 많은 일을 하려고 애를 쓰지 마시구요.
할 수 있어도 일부로 안하고, 때로는 빈둥거리기도 하시면서
우리 몸과 생활에 음양의 균형을 맞추시는 것을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오늘도 즐겁고 건강한 하루 되세요. 감사합니다.
Видео 교감신경 부교감신경 음양불균형 자율신경실조 канала 대전강남한의원
● 전화: 042-535-6931
● 카톡: 010-4618-8275
● 주소: 대전 중구 동서대로 1198
=========================
안녕하세요? 대전 강남한의원 한의사 이강환입니다.
오늘은 ‘자율신경 실조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율신경이란? 우리 몸을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신경인데요.
우리가 시키지 않아도 저절로 심장이 뛰고
심장이 너무 빨리 뛰니 좀 천천히 뛰게 해야겠다~ 마음 먹어도
심장을 느리게 조절할 수 없지요.
이렇게 자동으로 조절되는 신경이 자율신경입니다.
자율신경에는 두가지가 있는데요.
우리 몸을 양(陽)적인 상태로 만들어주는 교감신경과
우리 몸을 음(陰)적인 상태로 만들어주는 부교감신경이 있습니다.
양(陽)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는 교감신경은
우리 몸을 긴장하고, 투쟁하고, 최선을 다하게끔 하구요.
음(陰)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는 부교감 신경은
우리에게 긴장을 풀고 휴식하고 쉬게끔 합니다.
-----------------------------------------------
교감신경 – 양(陽)
부교감신경- 음(陰)
음양의 균형이 깨어진 상태 - 자율신경 실조증
-----------------------------------------------
교감신경이나 부교감신경이나 모두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신경인데요.
길을 건너려고 하는데 갑자기 자동차가 달려든다면
얼른 피해야 하겠지요? 이렇게 위급상황이 닥쳤을 때
반사적으로 위험으로부터 피하게끔 하는 것이 교감신경이구요.
다행히 잘 피한 후에 안도의 한숨을 쉬면서
뛰는 가슴을 진정시키는 것이 부교감신경입니다.
모든 일에는 음양의 균형이 맞아야 하듯이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도 균형이 잘 맞아야 하는데요.
이 균형이 깨지는 것이 바로 ‘자율신경 실조증’입니다.
대부분은 교감신경이 과도하게 흥분되는 쪽으로 생기는데요.
그 증상을 살펴보겠습니다.
자율신경 실조증의 대표적 증상은
불안, 초조, 긴장, 불면
가슴 두근거림, 호흡곤란
어지럼증, 현기증
땀이 남
만성피로, 근육통, 어깨 뭉침
손발 저림, 다리 힘이 풀림
이런 증상들은 모두 교감신경이 과도하게 활성화되고
이를 진정시켜주는 부교감신경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상태인데요.
이 상태가 오래 되다보면 ‘공황발작’이 올 수가 있고
나중에 공황장애로 발전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환자분들은 혀에도 패턴이 나타나는데요.
간과 심장에 열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혀끝이나 혀가장자리가 붉고 치흔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구요.
이럴 때는 심장 두근거림, 불안, 초조, 불면이 쉽게
나타납니다.
또 혀에 백태가 가득차 있는 경우도 있는데요.
이럴 때는 호흡곤란, 가슴답답함, 어지럼증,
다리에 힘이 풀려 쓰러질 것 같은 느낌을 많이들
호소하시게 됩니다.
오늘은 자율신경 실조증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부교감 신경을 활성화시켜서 우리 몸을 안정시키려면
여유가 필요합니다. 시간의 여유, 마음의 여유이지요.
같은 시간에 많은 일을 하려고 애를 쓰지 마시구요.
할 수 있어도 일부로 안하고, 때로는 빈둥거리기도 하시면서
우리 몸과 생활에 음양의 균형을 맞추시는 것을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오늘도 즐겁고 건강한 하루 되세요. 감사합니다.
Видео 교감신경 부교감신경 음양불균형 자율신경실조 канала 대전강남한의원
Комментарии отсутствуют
Информация о видео
23 ч. 44 мин. назад
00:00:50
Другие видео канал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