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분석] 졸업작품 - clOseT
❍ 개발자 : 박문수
❍ 제 목 : Fashion MNIST 데이터셋을 이용한 자동분류 옷장(clOseT)
❍ 설 명 :
철이 지날 때마다 옷을 정리해두고, 다시 철이 왔을 때 꺼내입으려고 여기저기 다 헤집어놓던 경험이 종종 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종류별로 또는 계절별로 정리된 무언가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어떤 방식으로 분류해야할지 고민하던 중에 언젠가 들었던 Fashion MNIST가 생각났다. 비록 세세한 분류나 커스터마이징이 되지 않는 이미 정의된 데이터셋 이었지만 아이디어를 구현해 보기엔 충분하다고 생각했고, 개발을 시작했다.
Fashion MNIST 데이터셋을 이용한 자동분류 옷장(이하 ’clOseT‘)은 이러한 고민을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는 프로젝트는 아니지만 상의(반팔, 긴팔), 하의, 신발 등으로 분류하는 것만으로도 기존의 불편함을 조금은 해소할 수 있는 프로젝트라고 생각한다.
❍ 적용 기술
- 프레임워크 : ReactJS, Spring boot, python Flask, TensorFlow, Keras
- 데이터베이스 : MySQL
- 기타 :
Fashion MNIST 데이터셋
openweathermap API
Видео [데이터분석] 졸업작품 - clOseT канала 한국폴리텍대학 서울강서캠퍼스
❍ 제 목 : Fashion MNIST 데이터셋을 이용한 자동분류 옷장(clOseT)
❍ 설 명 :
철이 지날 때마다 옷을 정리해두고, 다시 철이 왔을 때 꺼내입으려고 여기저기 다 헤집어놓던 경험이 종종 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종류별로 또는 계절별로 정리된 무언가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어떤 방식으로 분류해야할지 고민하던 중에 언젠가 들었던 Fashion MNIST가 생각났다. 비록 세세한 분류나 커스터마이징이 되지 않는 이미 정의된 데이터셋 이었지만 아이디어를 구현해 보기엔 충분하다고 생각했고, 개발을 시작했다.
Fashion MNIST 데이터셋을 이용한 자동분류 옷장(이하 ’clOseT‘)은 이러한 고민을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는 프로젝트는 아니지만 상의(반팔, 긴팔), 하의, 신발 등으로 분류하는 것만으로도 기존의 불편함을 조금은 해소할 수 있는 프로젝트라고 생각한다.
❍ 적용 기술
- 프레임워크 : ReactJS, Spring boot, python Flask, TensorFlow, Keras
- 데이터베이스 : MySQL
- 기타 :
Fashion MNIST 데이터셋
openweathermap API
Видео [데이터분석] 졸업작품 - clOseT канала 한국폴리텍대학 서울강서캠퍼스
Комментарии отсутствуют
Информация о видео
29 октября 2020 г. 12:43:03
00:01:19
Другие видео канал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