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 76. 제정 로마 10 - 사회상(노예)
1. 로마 제국을 지탱한 노동력은 전쟁 포로를 통해 대규모로 공급된 노예에 있었다. 로마 제국 인구의 1/3이 노예였으며, 이들은 귀족층이 형성한 대규모 장원에서 일하며 그들이 부를 쌓는 원천이 되었다.
2. 문제는 그런 과정을 거치며 초기 로마를 일으켜 세운 건전한 미덕이 사라져 버렸다는 것이었다. 이는 훗날 로마가 패망할 때, 외부 충격이 있기 전에 이미 내부에서 와해된 상태를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로봇과 인공지능이 가져다 줄 미래상이 그렇게 밝지만은 않은 이유가 여기 있다.
3. 노예들의 처우는 유대 전쟁 이후로 천천히 개선되었다. 왜냐하면, 그 이후로 대규모 원정이 없어져서 노예 공급이 대폭 줄어들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재산을 축적해서 자유민이 되기도, 충분히 자유민이 될 수 있음에도 해당 가문의 일원으로 사는 것을 명예로 알고 그냥 노예로 살아가는 이도 나왔다. 하지만, 그런 노예는 소수였으며, 별 다른 특기가 없어 막노동 판에 투입된 이들은 굶주림, 과로에 시달리며 짧은 생을 마감하곤 했다.
※ 교재는 『Streams of Civilization』, Albert Hyma, Christain Liberty Press, 2011 을 학교 자체적으로 번역 편집해서 사용 중입니다. 영상에 나오는 이 교재가 필요하신 분은 학교로 연락 주시기를 바랍니다.
Видео [세계사] 76. 제정 로마 10 - 사회상(노예) канала 튤립 기독교 학교TV
2. 문제는 그런 과정을 거치며 초기 로마를 일으켜 세운 건전한 미덕이 사라져 버렸다는 것이었다. 이는 훗날 로마가 패망할 때, 외부 충격이 있기 전에 이미 내부에서 와해된 상태를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로봇과 인공지능이 가져다 줄 미래상이 그렇게 밝지만은 않은 이유가 여기 있다.
3. 노예들의 처우는 유대 전쟁 이후로 천천히 개선되었다. 왜냐하면, 그 이후로 대규모 원정이 없어져서 노예 공급이 대폭 줄어들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재산을 축적해서 자유민이 되기도, 충분히 자유민이 될 수 있음에도 해당 가문의 일원으로 사는 것을 명예로 알고 그냥 노예로 살아가는 이도 나왔다. 하지만, 그런 노예는 소수였으며, 별 다른 특기가 없어 막노동 판에 투입된 이들은 굶주림, 과로에 시달리며 짧은 생을 마감하곤 했다.
※ 교재는 『Streams of Civilization』, Albert Hyma, Christain Liberty Press, 2011 을 학교 자체적으로 번역 편집해서 사용 중입니다. 영상에 나오는 이 교재가 필요하신 분은 학교로 연락 주시기를 바랍니다.
Видео [세계사] 76. 제정 로마 10 - 사회상(노예) канала 튤립 기독교 학교TV
Комментарии отсутствуют
Информация о видео
11 марта 2025 г. 20:01:01
00:38:44
Другие видео канал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