Загрузка...

고려를 읽는 키워드 : 본관제|5. 부곡제의 이해 [짤꾹사/짧고굵은역사이야기]

강사 : 이익주(서울시립대학교 국사학과 교수)
주요 저서 : 이색의 삶과 생각(단독), 전쟁과 동북아의 국제질서(공동)

총 8강으로 구성되었으며, 매주 수요일 저녁 8시에 업로드 됩니다.

[ 고려를 읽는 키워드 : 본관제 ] 강의는…
우리는 고려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요? 우리가 알고 있는 조선을 위로 끌어 당기면 고려의 모습이 나올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고려는 자신만의 모습으로 500년 가까이 존속했던 장수 왕조입니다.
그 고려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를 잘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대내적으로는 본관제, 대외적으로는 외왕내제(외왕내제). 이 강의는 고려를 구조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본관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고려는 신라 말 지방 사람들이 세운 나라입니다. 후삼국을 통일한 후 고려 조정은 지방 세력과의 관계를 재조정하고자 했고, 그때 등장한 것이 바로 토성(土姓)이었습니다.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성씨는 대부분 이때 시작된 것이지요. 이 성씨와 군현 이름을 결합한 것이 본관입니다. 고려는 지방세력에게 부여된 본관을 매개로 전국을 통치했습니다. 그랬기 때문이 본관제를 알면 고려를 알 수 있는 것이지요. 지금 우리가 하는 "본관이 어디십니까?"라는 질문과는 전혀 다른 고려의 본관제를 통해 고려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기 바랍니다.

“본 강의의 내용은 역사공장의 견해와는 다를 수 있습니다.”

역사공장 바로가기 ▶ http://histofacto.com/

Видео 고려를 읽는 키워드 : 본관제|5. 부곡제의 이해 [짤꾹사/짧고굵은역사이야기] канала 역사공장
Яндекс.Метрика

На информационно-развлекательном портале SALDA.WS применяются cookie-файлы. Нажимая кнопку Принять, вы подтверждаете свое согласие на их использование.

Об использовании CookiesПринят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