Загрузка страницы

소학/ 내편/ 명륜/ 명군신지의 제49~59장 비대면수업 [고전읽어주는사람]

소학 小學이란?

동양고전은 동아시아 옛 사람들의 생활 교과서라 할 수 있다. 동양고전은 중국 고대사회에서 형성된 책들이며 주로 공자에 의해 집대성되었고, 그 이후 이들 고전에 대한 많은 해설서들이 출현하였다. 공자가 정리한 사상과 학문을 儒學 또는 儒敎라고 부르며 유학은 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 등 인간이 태어나서 사회화 하는 과정에서 지켜야 할 윤리와 정치사상을 가르치고 있다.

동양고전은 주로 四書三經, 四書五經으로 축약하여 부르기도 하는데 사서삼경이란 論語, 中庸, 大學, 孟子, 詩經, 書痙, 易經이며 사서오경은 위의 사서삼경에다 경으로서 禮記와 春秋를 더한 것이다. 이밖에 유학과는 다른 계열의 노자, 장자, 한비자, 묵자, 관자 등의 사상도 전해지고 있으나 주류 학문이 유학이다 보니 다른 계열의 사상들은 현실정치에서 크게 각광을 받지 못한 것 같다.

小學이라는 책은 앞의 사서삼경 중 大學이라는 책을 공부하기 전에 청소년들이 반드시 읽어야 할 책으로 일종의 초중등 교과서라 할 수 있다. 千字文과 明心寶鑑으로 한자와 한문 그리고 사람으로서의 기본 인성을 배우고, 大學을 공부하기 위한 예비단계로서 小學을 마스터하게 한 것이다. 지금으로 말하면 大學에 진학하기 전에 반드시 공부해야 하는 修學能力 연마과정이라고나 할까.

소학의 편성은 立敎, 明倫, 敬身, 稽古(계고), 嘉言(가언), 善行 등 6편으로 되어 있다. 입교는 교육의 기본 원칙을 세우고, 명륜은 인간관계에서 지켜야할 윤리를 밝히며, 경신은 자기 신체를 존중하는 자아존중의 태도를 확립하며, 계고는 춘추시대 이전의 역사에서 앞의 입교, 명륜, 경신에 대한 실천 사례, 가언은 漢나라 이후의 선비들의 명언과 가훈을 모은 것, 선행은 漢나라 이후의 선비들의 훌륭한 행실들을 모은 것이다.

고대에서 시행되던 청소년을 위한 소학교육이 후대에 이르러 흐지부지되자 송나라에 이르러 朱子(1130-1200)라는 유학자가 고대 소학 교육을 다시 일으킬 목적으로 사서삼경 등 각종 고전에서 자료를 수집하여 소학을 다시 편집하였다. 사실 중국의 유학은 주자가 집대성하였으므로 주자를 유학의 아버지로, 유학을 주자학이라고 부르게 되었고, 이로부터 유학은 동아시아 문화권의 지배적인 이념으로 정착되었다.

송나라 이후 주자학이 성행하면서 小學은 유교의 기본 교과서 내지 기초 경전으로 인식되었고, 우리나라에는 조선조 숭유억불의 국가시책에 따라 김굉필, 조광조, 김안국, 이퇴계, 이율곡 등 유학자들이 중국에서 들어온 소학을 학문의 기본서로 읽고 교육하였다. 특히 이율곡은 중국에서 들어온 소학을 다시 정리, 주석을 달고 해설하여 『소학집주』를 편집 보급하였으며, 그 후부터는 이율곡이 편찬한 『소학집주』가 우리나라 유학교육의 기본 교과서로 사용되었다.

사자소학은 주자가 그의 제자를 시켜서 소학의 내용을 알기 쉽게 4글자 문장으로 요약 구성한 것으로 학습에 편리를 도모하게 한 책이다. 

Видео 소학/ 내편/ 명륜/ 명군신지의 제49~59장 비대면수업 [고전읽어주는사람] канала 고전읽어주는사람
Показать
Комментарии отсутствуют
Введите заголовок:

Введите адрес ссылки:

Введите адрес видео с YouTube:

Зарегистрируйтесь или войдите с
Информация о видео
27 февраля 2022 г. 13:06:06
00:45:59
Другие видео канала
명심보감 서문편, 명심보감 목차 [고전읽어주는사람]명심보감 서문편, 명심보감 목차 [고전읽어주는사람]천자문 제9강/ 비대면수업/ 고전읽기/ 22.2.5 [고전읽어주는사람]천자문 제9강/ 비대면수업/ 고전읽기/ 22.2.5 [고전읽어주는사람]제사5강 진설陳設  밤栗 [고전읽어주는사람]제사5강 진설陳設 밤栗 [고전읽어주는사람]효도와 건강/ 두통, 시력저하, 불면증, 중풍, 뇌졸증, 어깨결림, 손발저림, 하지정맥류, 허리통증, 지방간, 오십견, 신경통, 요실금,효도와 건강/ 두통, 시력저하, 불면증, 중풍, 뇌졸증, 어깨결림, 손발저림, 하지정맥류, 허리통증, 지방간, 오십견, 신경통, 요실금,소학/내편/명륜/명군신지의/ 제40~42장 비대면수업 수요반 [고전읽어주는사람]소학/내편/명륜/명군신지의/ 제40~42장 비대면수업 수요반 [고전읽어주는사람]청산이 불로하니 [함주노래]#25청산이 불로하니 [함주노래]#25심산김창숙선생 추모제향축문    [함주노래]#22심산김창숙선생 추모제향축문 [함주노래]#22명심보감 천명편(天命篇) 2-2 낭독, 해설 [고전읽어주는사람]명심보감 천명편(天命篇) 2-2 낭독, 해설 [고전읽어주는사람]제사6강 진설陳設 배梨 [고전읽어주는사람]제사6강 진설陳設 배梨 [고전읽어주는사람]소학/ 내편/ 명륜/ 명부자지친/ 제34~39장/ 비대면무료수업/ 22.2.9 수요반소학/ 내편/ 명륜/ 명부자지친/ 제34~39장/ 비대면무료수업/ 22.2.9 수요반출사표 | Memorialise the emperor on an expedition | 出師表 |  出师表 | 제갈공명출사표 | Memorialise the emperor on an expedition | 出師表 | 出师表 | 제갈공명천자문, 소학, 효경, 고전/ 비대면 무료수업 참여방법/ 비대면수업 예절/ 고전읽어주는사람천자문, 소학, 효경, 고전/ 비대면 무료수업 참여방법/ 비대면수업 예절/ 고전읽어주는사람동몽선습, 부부유별 [고전읽어주는사람]동몽선습, 부부유별 [고전읽어주는사람]명심보감 계선편(繼善篇) 1-8 낭독, 해설 [고전읽어주는사람]명심보감 계선편(繼善篇) 1-8 낭독, 해설 [고전읽어주는사람]안중근 의사 [고전읽어주는사람안중근 의사 [고전읽어주는사람제사7강 진설陳設 감枾시  [고전읽어주는사람]제사7강 진설陳設 감枾시 [고전읽어주는사람]제사1강, 제사는 공경恭敬의 교육장이다. [고전읽어주는사람]제사1강, 제사는 공경恭敬의 교육장이다. [고전읽어주는사람]한가위의 유래와 세시풍속 [고전읽어주는사람]한가위의 유래와 세시풍속 [고전읽어주는사람]천자문노래 제12절    [함주노래]#16천자문노래 제12절 [함주노래]#16명심보감 계선편(繼善篇) 1-3/ 낭독, 해설 [고전읽어주는사람]명심보감 계선편(繼善篇) 1-3/ 낭독, 해설 [고전읽어주는사람]우리의 소리를 찾아서 - 회심곡 In search of old Korean music - A song of repentance [고전읽어주는사람]우리의 소리를 찾아서 - 회심곡 In search of old Korean music - A song of repentance [고전읽어주는사람]
Яндекс.Метрик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