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약을 복용중에 자살 시도가... (노원구 20대후반/여성 우울증)
이 동영상 의료상담 답변은 '환자와 의사를 잇는' 닥톡에서 배포합니다.
출처 : https://www.doctalk.co.kr/counsel/view/c-uJD1huo-2i150i0-9QyG
수년 우울증 앓고 있는 제 딸이 최근 자살을 시도 했습니다. 우울증약은 꾸준히 복용해왔는데요. 올초 스트레스가 큰일을 겪고 그런 것 같아요. 살기 힘들다며 죽고 싶다고만 합니다. 아무리 달래고 해도 부정적 생각에 갇혀 있어요. 자살 시도 이후 며칠 간 약도 안 먹다가 다행인지 이후로 복용은 계속 하고 있습니다. 병원에서는 입원도 고려해야 한다고 하는데, 아이는 거부하고. 엄마로서 너무 무섭고 어떻게 해줘야 할지 모르겠어요.
———-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김헌입니다.
따님의 우울증 증상과 자살 시도로 너무 걱정되실 듯 합니다. 일상생활에서의 적응력이 저하되면 급작스런 변화나 스트레스로 정신적인 문제들이 생겨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이런 문제를 털지 못하고 마음에 담아두기만 하다 보면 뇌가 지치면서 큰 좌절감 우울감에 빠집니다. 또한 이런 스트레스 상황으로 인해 정서적인 균형이 무너지고 긍정적인 생각보다는 부정적인 생각이 많아지면서 기분저하 또는 우울 증상이 발생됩니다.
우울증을 전반적인 뇌 기능을 떨어뜨릴 수 있는데요. 특히 전두엽 기능이 저하되면 우울한 기분 뿐만 아니라 의욕저하 집중력저하가 발생하고, 변연계의 기능이 저하되면 감정 기복, 식욕 저하, 수면장애 등이 생기게 됩니다. 우울증을 앓게 되면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하고 일부는 자살을 계획하거나 자살을 시도할 가능성이 높아지는데요. 자살 사고가 시작되면 뇌 기능상에도 부정적 변화가 일어납니다. 화남, 분노감, 불안함 등을 의미하는 변연계의 흥분이 시작되고 전두엽의 기능이 저하됨으로 인해 전두엽의 변연계 통제가 어려워지면서 자살 충동은 더욱 증가하게 됩니다.
또한 우울증으로 인해 뇌 신경세포들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뇌유래신경영양인자가 감소되면서 뇌 뉴런의 연결성이 저하됩니다. 결국 전두엽과 변연계 사이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여 충동성은 늘고 일의 계획실행 기능은 떨어져 자살 사고가 증가됩니다. 우울증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만성적인 우울증 상태가 되고 이러한 악순환은 더욱 고착화되면서 자살 위험성이 높아지는 것이죠.
우울증과 자살사고, 그리고 관련된 다른 증상들의 더 이상 악화를 막고 개선하려면, 환자분의 체질과 장부기혈(臟腑氣血)의 상태를 정확히 진찰하여 적절한 처방과 치료법을 찾아내야 합니다. 그래야 체력과 정신력, 뇌 기능이 잘 회복되고 뇌 스스로 자신의 우울하고 불안한 감정과 스트레스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한약과 같은 한방치료가 장점이 많습니다. 그동안 양방치료만 진행해보셨다면, 서로 병행치료도 가능하오니 가까운 한의원에서 상담받아보시길 권합니다. 감사합니다.
Видео 우울증약을 복용중에 자살 시도가... (노원구 20대후반/여성 우울증) канала Doctalk
출처 : https://www.doctalk.co.kr/counsel/view/c-uJD1huo-2i150i0-9QyG
수년 우울증 앓고 있는 제 딸이 최근 자살을 시도 했습니다. 우울증약은 꾸준히 복용해왔는데요. 올초 스트레스가 큰일을 겪고 그런 것 같아요. 살기 힘들다며 죽고 싶다고만 합니다. 아무리 달래고 해도 부정적 생각에 갇혀 있어요. 자살 시도 이후 며칠 간 약도 안 먹다가 다행인지 이후로 복용은 계속 하고 있습니다. 병원에서는 입원도 고려해야 한다고 하는데, 아이는 거부하고. 엄마로서 너무 무섭고 어떻게 해줘야 할지 모르겠어요.
———-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김헌입니다.
따님의 우울증 증상과 자살 시도로 너무 걱정되실 듯 합니다. 일상생활에서의 적응력이 저하되면 급작스런 변화나 스트레스로 정신적인 문제들이 생겨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이런 문제를 털지 못하고 마음에 담아두기만 하다 보면 뇌가 지치면서 큰 좌절감 우울감에 빠집니다. 또한 이런 스트레스 상황으로 인해 정서적인 균형이 무너지고 긍정적인 생각보다는 부정적인 생각이 많아지면서 기분저하 또는 우울 증상이 발생됩니다.
우울증을 전반적인 뇌 기능을 떨어뜨릴 수 있는데요. 특히 전두엽 기능이 저하되면 우울한 기분 뿐만 아니라 의욕저하 집중력저하가 발생하고, 변연계의 기능이 저하되면 감정 기복, 식욕 저하, 수면장애 등이 생기게 됩니다. 우울증을 앓게 되면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하고 일부는 자살을 계획하거나 자살을 시도할 가능성이 높아지는데요. 자살 사고가 시작되면 뇌 기능상에도 부정적 변화가 일어납니다. 화남, 분노감, 불안함 등을 의미하는 변연계의 흥분이 시작되고 전두엽의 기능이 저하됨으로 인해 전두엽의 변연계 통제가 어려워지면서 자살 충동은 더욱 증가하게 됩니다.
또한 우울증으로 인해 뇌 신경세포들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뇌유래신경영양인자가 감소되면서 뇌 뉴런의 연결성이 저하됩니다. 결국 전두엽과 변연계 사이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여 충동성은 늘고 일의 계획실행 기능은 떨어져 자살 사고가 증가됩니다. 우울증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만성적인 우울증 상태가 되고 이러한 악순환은 더욱 고착화되면서 자살 위험성이 높아지는 것이죠.
우울증과 자살사고, 그리고 관련된 다른 증상들의 더 이상 악화를 막고 개선하려면, 환자분의 체질과 장부기혈(臟腑氣血)의 상태를 정확히 진찰하여 적절한 처방과 치료법을 찾아내야 합니다. 그래야 체력과 정신력, 뇌 기능이 잘 회복되고 뇌 스스로 자신의 우울하고 불안한 감정과 스트레스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한약과 같은 한방치료가 장점이 많습니다. 그동안 양방치료만 진행해보셨다면, 서로 병행치료도 가능하오니 가까운 한의원에서 상담받아보시길 권합니다. 감사합니다.
Видео 우울증약을 복용중에 자살 시도가... (노원구 20대후반/여성 우울증) канала Doctalk
Комментарии отсутствуют
Информация о видео
Вчера, 8:08:09
00:02:54
Другие видео канал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