Загрузка страницы

중세국어 낭독 – 『훈민정음언해』『석보상절』『번역노걸대』

이번 영상에서는 15 - 16세기의 후기중세국어 문헌을 세 가지 읽어보았습니다. 이번에 읽어본 문헌은 총 세 가지로, 1447년(세종29년)에 간행된 『석보상절』, 1459년(세조5년)에 간행된 『훈민정음언해』, 1510년대에 간행된 최세진著 『번역노걸대』입니다. 이 중 『번역노걸대』는 구어체로 적혀 있는데, 이는 후기중세국어(Late Middle Korean; LMK)의 문어체와 구어체의 차이를 보여드리기 위함입니다.
첫 부분에 적어두었지만, 동국정운식 한자음은 모두 현실한자음으로 대체하여 발음했습니다. 그러나 원문과 예일 로마자 표기에는 이를 반영하지 않아 동국정운 한자음을 그대로 남겨두었습니다. 이는 동국정운 한자음의 일부 성모의 음가가 불명확한 점과 (이를테면 고유어 표기에서 합용병서를 장자음으로 간주하는 이 영상과 달리, 합용병서된 성모 묘기가 장자음을 나타낸다고 생각하기는 어려우므로) 작위적인 한자음임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세 문헌은 모두 제가 녹음한 것입니다만, 제각기 다른 시간에 녹음하였기에 목소리와 톤, 읽는 속도에 차이가 있습니다. 이 점은 양해 바랍니다.

「참고문헌」
1차자료: 『月印釋譜・卷一』『釋譜詳節・卷六』『飜譯老乞大・上』
중세국어 현실한자음은 權仁瀚著『中世韓國漢字音訓集成』을 참고했습니다.

Track: Dreams Are Pretty — Seoul June [Audio Library Release]
Music provided by Audio Library Plus
Watch: https://youtu.be/Y6sVyLLakhM
Free Download / Stream: https://alplus.io/dreams-are-pretty

#중세국어 #조선시대

연락 및 문의 - bungbungnue@gmail.com

Видео 중세국어 낭독 – 『훈민정음언해』『석보상절』『번역노걸대』 канала 향문천 – 글과 울림의 샘
Показать
Комментарии отсутствуют
Введите заголовок:

Введите адрес ссылки:

Введите адрес видео с YouTube:

Зарегистрируйтесь или войдите с
Информация о видео
7 июня 2020 г. 11:00:00
00:06:10
Яндекс.Метрик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