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풀 & 흰꿀풀 Prunella asiatica 깨꽃과 같이 꿀이 많아 self-heal 생약명 하고초夏枯草 꿀방망 가지골나물 연밀 燕蜜 붉은꿀 ウツボグサ 야생화를 찾아서(893)
야생화를 찾아서(893)
in search of wildflowers
국명 정명
꿀풀 & 흰꿀풀
학명 정명
꿀풀
Prunella asiatica Nakai
흰꿀풀
Prunella asiatica f. albiflora (Nakai) Kitag.
영어명칭
self-heal
이명 향명
가지골나물
꿀방망
풀꿀방망이
하고초 夏枯草
연밀 燕蜜
동풍(東風)
하고두
붉은꿀
가지골나물
가지래기꽃
서주하고초 徐州夏枯草
가지가래꽃
ウツボグサ
명칭유래
깨꽃과 같이 꿀이 많아 꿀풀이라고 불리운다.
특히 편도선염에 효과가 있어 학명의 ‘prunella’는
편도선염을 뜻하는 독일어 ‘brunella’에서 유래되었다.
꽃말
추억
분류체계
꿀풀목 꿀풀과 꿀풀속
생태
햇볕이 잘 드는 나지대, 초지대에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뿌리줄기가 있다.
줄기
높이 20-30cm이고 줄기는 네모지며 모여나고 가지가
갈라진다. 전체에 짧은 백색의 털이 있다.
꽃이 지면 원줄기에서 포복하는 가지가 나와 옆으로
뻗어 새로운 개체를 만든다.
붉은색이 돌며, 털이 많고, 높이 20~60cm다.
잎
마주나며,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 길이 3~5cm,
폭 1.0~1.5cm,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톱니가 조금 있다.
잎자루는 1~2cm다.
꽃
5~7월에 피는데 줄기 끝의 수상꽃차례에 빽빽이 달리며,
보라색, 분홍색, 흰색, 입술 모양, 길이 1.8~2.1cm다.
꽃차례
길이 3~8cm다. 꽃받침은 입술 모양, 길이 7~10mm,
5갈래로 갈라진다.
꽃부리
아랫입술이 3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4개, 2개가 길다.
열매
분과는 길이 1.6mm 정도로 황갈색이며 7-8월에 성숙한다.
협과는 마른채 가을까지 선채로 남아 있다.
소견과이며, 4개로 갈라지고, 노란빛이 도는 갈색으로 익는다.
뿌리
잔뿌리가 사방으로 많이 뻗는다.
분포 서식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한반도 북부지방에 자라며, 아시아, 유럽 등에 분포한다.
동정同定
북부지방에 분포하는 두메꿀풀은 땅속에 뿌리줄기가
없으며, 전체가 가늘고 연약하고, 꽃부리는 1.3cm쯤으로서
작으므로 다르다. 또 두메꿀풀에 비해 꽃이 진 다음 옆으로
뻗는 측지가 발달하는 특징이 있어 쉽게 구분된다
기본종인 두메꿀풀에 비해 꽃이 흰색이므로 구분된다.
꿀풀에 비해 기는줄기가 없으며 줄기가 가늘고
꽃이 흰색으로 피므로 구분된다.
흰꿀풀
백색 꽃이 핀다.
붉은꿀풀
적색 꽃이 핀다.
두메꿀풀
원줄기가 밑에서부터 곧게 서고 기는줄기가 없으며
짧은 새순이 원줄기 밑에 달린다.
용도
화단에 심어 관상한다.
염료 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
어린 순은 식용하고 성숙한 전초를 약용한다.
사실 벌들이 많이 찾아온다.
사용
꽃이 필 무렵 식물 전체 특히 꽃차례만을 캐서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말린 것을 사용한다.
생약명
하고초(夏枯草)
약리작용
고혈압, 눈병 등에 약용하며, 해열제, 해독제, 이뇨제의
약재로 쓴다.
한방에서 임질·결핵·소염·이뇨에 쓰며 종기·연주창 등에
쓰기도 한다. 관상용으로 뜰에 심기도 한다.
급성황달형 간염에 복용하면 황달이 없어지고
간기능이 정상으로 회복된다. 또, 안과질환에도 이용되고
두통과 유방염 결핵성 임파선염 및 간기능 장애로 인한
고혈압에도 효과가 있으며, 흉막염이나 폐결핵에도
치료효과가 인정되고 있다.
여적 餘滴
꿀풀로 만든 꿀은 하고초꿀이라고 해서 특산물로 취급한다.
고려 때는 연밀(燕蜜)이라는 이두향명으로 불리었고,
조선시대에는 ‘져비ᄭᅮᆯ’로 불리다 지금의 꿀풀로 되었다.
취재 取材
이론은 주로 On-Line에서 취합
AI 교신
2025-05-25
Видео 꿀풀 & 흰꿀풀 Prunella asiatica 깨꽃과 같이 꿀이 많아 self-heal 생약명 하고초夏枯草 꿀방망 가지골나물 연밀 燕蜜 붉은꿀 ウツボグサ 야생화를 찾아서(893) канала 华伯
in search of wildflowers
국명 정명
꿀풀 & 흰꿀풀
학명 정명
꿀풀
Prunella asiatica Nakai
흰꿀풀
Prunella asiatica f. albiflora (Nakai) Kitag.
영어명칭
self-heal
이명 향명
가지골나물
꿀방망
풀꿀방망이
하고초 夏枯草
연밀 燕蜜
동풍(東風)
하고두
붉은꿀
가지골나물
가지래기꽃
서주하고초 徐州夏枯草
가지가래꽃
ウツボグサ
명칭유래
깨꽃과 같이 꿀이 많아 꿀풀이라고 불리운다.
특히 편도선염에 효과가 있어 학명의 ‘prunella’는
편도선염을 뜻하는 독일어 ‘brunella’에서 유래되었다.
꽃말
추억
분류체계
꿀풀목 꿀풀과 꿀풀속
생태
햇볕이 잘 드는 나지대, 초지대에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뿌리줄기가 있다.
줄기
높이 20-30cm이고 줄기는 네모지며 모여나고 가지가
갈라진다. 전체에 짧은 백색의 털이 있다.
꽃이 지면 원줄기에서 포복하는 가지가 나와 옆으로
뻗어 새로운 개체를 만든다.
붉은색이 돌며, 털이 많고, 높이 20~60cm다.
잎
마주나며,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 길이 3~5cm,
폭 1.0~1.5cm,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톱니가 조금 있다.
잎자루는 1~2cm다.
꽃
5~7월에 피는데 줄기 끝의 수상꽃차례에 빽빽이 달리며,
보라색, 분홍색, 흰색, 입술 모양, 길이 1.8~2.1cm다.
꽃차례
길이 3~8cm다. 꽃받침은 입술 모양, 길이 7~10mm,
5갈래로 갈라진다.
꽃부리
아랫입술이 3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4개, 2개가 길다.
열매
분과는 길이 1.6mm 정도로 황갈색이며 7-8월에 성숙한다.
협과는 마른채 가을까지 선채로 남아 있다.
소견과이며, 4개로 갈라지고, 노란빛이 도는 갈색으로 익는다.
뿌리
잔뿌리가 사방으로 많이 뻗는다.
분포 서식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한반도 북부지방에 자라며, 아시아, 유럽 등에 분포한다.
동정同定
북부지방에 분포하는 두메꿀풀은 땅속에 뿌리줄기가
없으며, 전체가 가늘고 연약하고, 꽃부리는 1.3cm쯤으로서
작으므로 다르다. 또 두메꿀풀에 비해 꽃이 진 다음 옆으로
뻗는 측지가 발달하는 특징이 있어 쉽게 구분된다
기본종인 두메꿀풀에 비해 꽃이 흰색이므로 구분된다.
꿀풀에 비해 기는줄기가 없으며 줄기가 가늘고
꽃이 흰색으로 피므로 구분된다.
흰꿀풀
백색 꽃이 핀다.
붉은꿀풀
적색 꽃이 핀다.
두메꿀풀
원줄기가 밑에서부터 곧게 서고 기는줄기가 없으며
짧은 새순이 원줄기 밑에 달린다.
용도
화단에 심어 관상한다.
염료 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
어린 순은 식용하고 성숙한 전초를 약용한다.
사실 벌들이 많이 찾아온다.
사용
꽃이 필 무렵 식물 전체 특히 꽃차례만을 캐서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말린 것을 사용한다.
생약명
하고초(夏枯草)
약리작용
고혈압, 눈병 등에 약용하며, 해열제, 해독제, 이뇨제의
약재로 쓴다.
한방에서 임질·결핵·소염·이뇨에 쓰며 종기·연주창 등에
쓰기도 한다. 관상용으로 뜰에 심기도 한다.
급성황달형 간염에 복용하면 황달이 없어지고
간기능이 정상으로 회복된다. 또, 안과질환에도 이용되고
두통과 유방염 결핵성 임파선염 및 간기능 장애로 인한
고혈압에도 효과가 있으며, 흉막염이나 폐결핵에도
치료효과가 인정되고 있다.
여적 餘滴
꿀풀로 만든 꿀은 하고초꿀이라고 해서 특산물로 취급한다.
고려 때는 연밀(燕蜜)이라는 이두향명으로 불리었고,
조선시대에는 ‘져비ᄭᅮᆯ’로 불리다 지금의 꿀풀로 되었다.
취재 取材
이론은 주로 On-Line에서 취합
AI 교신
2025-05-25
Видео 꿀풀 & 흰꿀풀 Prunella asiatica 깨꽃과 같이 꿀이 많아 self-heal 생약명 하고초夏枯草 꿀방망 가지골나물 연밀 燕蜜 붉은꿀 ウツボグサ 야생화를 찾아서(893) канала 华伯
Комментарии отсутствуют
Информация о видео
20 ч. 40 мин. назад
00:02:26
Другие видео канал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