Загрузка страницы

[멍상]#13 환경스페셜 ‘옹달샘, 생명을 적시다’ / KBS 20070627 방송

국내 최초 환경 전문 다큐멘터리, 환경스페셜 공식채널입니다.
구독/좋아요/알림설정!
▶구독:https://url.kr/ikg6th
▶방송다시보기(홈페이지):
http://program.kbs.co.kr/2tv/culture/forthefuture/pc/index.html

▶ 옹달샘은 숲속 야생의 생명축이다. 새들의 목욕탕이고, 목마른 동물의 오아시스다. 물방울에서 시작된 옹달샘의 위대한 생명력과 그 물이 흐르면서 형성되는 다양한 먹이사슬을 보여준다. 작은 물의 공간을 통해 자연의 생성과 소멸을 음미하고, 생존을 위한 경쟁 속에 내재된 조화와 순환을 탐색한다.

▶ “깊은 산속 옹달샘 누가 와서 먹나요?”...생명의 오아시스 옹달샘
작고 오목한 공간의 마르지 않는 물은 번식과 휴식에 필수적이다. 옹달샘을 가장 많이 찾는 손님은 새들이다. 새들은 땀샘이 없다. 그래서 40℃에 이르는 높은 체온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자주 목욕을 해야 한다. 목욕은 깃털에 생기는 비듬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깃털관리 효과도 있다. 관찰 결과 옹달샘을 찾는 새들은 60 여 종이었고, 이용 빈도는 직박구리, 어치, 쇠박새 등 텃새들이 하루 3-4 차례로 높은 편이었다.
또 붉은배새매, 조롱이 등 맹금류가 물 목욕을 한다는 사실이 확인됐고, 울새, 굴뚝새, 호랑지빠귀 등은 습기가 많은 옹달샘 주변에서 먹이사냥과 목욕을 병행하는 경우가 빈번했다. 포유동물의 경우 겨울에 비해 여름은 물웅덩이가 많이 생기고, 풀과 열매가 자라 물을 마시기 위한 옹달샘의 이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줄어들지만, 일정한 영역과 이동경로를 가지고 생활하기 때문에 고정적인 옹달샘의 가치는 여전히 유효하다.
옹달샘 옆 참나무 숲에서 번식한 다람쥐와 청설모가 새끼를 데리고 다니며 옹달샘에서 물을 마시고, 두꺼비와 대륙밭쥐가 옹달샘에 들어가 몸을 식히고 헤엄치며, 몸이 뜨거운 체질인 고라니가 밤낮을 가리지 않고 물웅덩이를 찾아 ‘타는 목마름’을 달래는 모습 등을 영상에 담았다. 물은 생명의 근원이다. 센서카메라를 설치한 깊은 산속의 옹달샘 물은 또 누가 마실까?

▶“보기만 해도 시원해요”...새들의 목욕탕 엿보기
산새들의 모습을 자세히 보기는 쉽지 않다. 나뭇가지에서 머무는 시간이 짧고 이리저리 빠르게 이동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옹달샘에서는 속살까지 드러낸다.
옹달샘은 새들이 첨벙대는 물소리, 깃털의 물을 터는 소리, 빨리 나오라고 재촉하는 울음소리가 청명한 동네 목욕탕이다. 새들마다 목욕 동작도 가지가지다.
직박구리는 위에서 밑으로 다이빙하고, 딱따구리는 바짝 엎드려 몸을 앞뒤로 움직이면서 목욕하며, 어치는 남의 눈치 안보고 독탕을 즐긴다. 초고속촬영으로 호랑지빠귀의 목욕동작을 자세히 보면, 눈으로 물이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안구 위에 얇고 투명한 순막이 덮이는 순간이 보이고, 양쪽 날개를 때밀이 수건처럼 이용해 몸의 솜털까지 비빈다. 튀기는 물방울과 깃털 하나하나의 움직임은 생존을 위한 정밀한 설계와 섬세한 깃털관리를 보여준다. 번식에 성공한 꿩은 새끼 9마리를 데리고 와서 물을 마시고, 박새 어미는 처음 세상 구경을 하는 6마리 새끼에게 목욕탕 위치와 목욕법을 가르쳐 준다. 옹달샘 목욕탕은 좁은 공간이다. 손님은 많고, 탕은 좁아 새들의 역학관계가 여실히 드러난다.
하지만 힘의 우열에 따라 긴장은 있지만 누구도 독점하지 않고, 순서만 기다리면 입장하는 무료 목욕탕이다.

▶ 옹달샘에서 개울까지, 물에서 나고 물에서 죽고...
옹달샘은 새와 포유동물의 오아시스만은 아니다. 나비와 말벌이 물을 먹기 위해 찾아오고, 두꺼비와 청개구리는 물가의 파리를 사냥한다. 옆새우와 물지렁이가 모여들면 울새와 호랑지빠귀가 포식자로 움직이는 먹이사슬이 형성된다.
물방울에서 시작된 옹달샘의 물은 끈끈이주걱이 자라는 습지로 흐르고, 그 물은 더 커진 웅덩이와 개울이 되면서 먹이사슬도 확대된다. 해질녘 하늘을 수놓는 하루살이의 집단비행과 산란, 날개짓하는 하루살이 등을 잡기 위해 개울가에 거미줄을 치는 갈거미, 거미를 잡아먹는 줄장지뱀 등을 영상에 담았다. 생명을 잉태한 물이 다시 죽음을 부르는 블랙홀이 되는 자연의 순환을 보여준다.

▶ 생명의 기적을 부르는 작은 손길
주방 너머에서 새들이 날고 목욕하는 소리가 들린다. 뒤뜰에 ‘옹달샘’이 있기 때문이다. 뒤뜰에 마련된 옹달샘은 항아리와 절구통의 물이다. 새들의 발이 닿는 높이인 3cm∼10cm의 물만 채워주면 동네 새들이 날아와 목욕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인위적인 공간이지만 새들은 필요에 의해 찾아왔고, 뒤뜰은 무한한 자연의 경이와 기쁨을 선사한다. 물은 자연의 선물이다. 그러나 뒷산의 물은 비가 내리더라도 대부분 콘크리트 수로를 통해 곧바로 사라져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물의 흐름을 늦추고 고이게 하면 다양한 생명의 공간이 될 수 있다. 크고 높은 산이 아니면 마르지 않고 흐르는 물을 찾기 힘들다. 골짜기라고 해도 대부분 졸졸 흐르는 수준이거나 마른 상태일 때가 많다. 하지만 조그만 양의 물이라도 낙엽 몇 개만 걷어주면 야생동물의 옹달샘이 될 수 있다. 안산시청 뒷산의 옹달샘은 바위에서 한 방울씩 떨어지는 물을 모아 만든 인공 옹달샘이다. 하지만 60 여 종의 새가 날아와 목을 축였고, 앞으로도 마르지 않는 생명의 오아시스로 남을 것이다.
뒷산 물의 가치와 활용을 다시 생각하게 하는 사례다.

※ 이 영상은 환경스페셜 312회 ‘옹달샘 생명을 적시다’(2007년 6월27일 방송)입니다. 일부 내용이 현재 시점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조 바랍니다.

Видео [멍상]#13 환경스페셜 ‘옹달샘, 생명을 적시다’ / KBS 20070627 방송 канала 환경스페셜
Показать
Комментарии отсутствуют
Введите заголовок:

Введите адрес ссылки:

Введите адрес видео с YouTube:

Зарегистрируйтесь или войдите с
Информация о видео
30 июня 2021 г. 14:00:12
00:42:41
Другие видео канала
[멍상]#14 드렁허리 맨땅 헤엄! 환경스페셜 ‘매화마름 논, 물 빠지던 날’ / KBS 20090624 방송[멍상]#14 드렁허리 맨땅 헤엄! 환경스페셜 ‘매화마름 논, 물 빠지던 날’ / KBS 20090624 방송[자연 다큐멘터리] 한탄강 2부, 그곳엔 생명이 있었다, DMZ wild animals[자연 다큐멘터리] 한탄강 2부, 그곳엔 생명이 있었다, DMZ wild animals[시청자요청] 사람도 감동시킨 뿔논병아리의 자식 사랑! | 환경스페셜 "신동만PD의 생명이야기 - 뿔논병아리의 선물"   (2009년 9월 14일 방송)[시청자요청] 사람도 감동시킨 뿔논병아리의 자식 사랑! | 환경스페셜 "신동만PD의 생명이야기 - 뿔논병아리의 선물" (2009년 9월 14일 방송)[시청자요청] 공사창립30주년 특집다큐 ‘봉암사의 숲’ / KBS 20030305 방송[시청자요청] 공사창립30주년 특집다큐 ‘봉암사의 숲’ / KBS 20030305 방송낚시용 납 봉돌이 생태계에 미치는 나비효과 🎣 먹이사슬 따라 쌓여가는 납중독의 위험 | 환경스페셜 [바다와 인간] 1부 (KBS 120822 방송)낚시용 납 봉돌이 생태계에 미치는 나비효과 🎣 먹이사슬 따라 쌓여가는 납중독의 위험 | 환경스페셜 [바다와 인간] 1부 (KBS 120822 방송)얼지마 굶지마! 산골짝에 다람쥐 | 환경스페셜 “도토리 쟁탈전” (2012년 11월 28일 방송)얼지마 굶지마! 산골짝에 다람쥐 | 환경스페셜 “도토리 쟁탈전” (2012년 11월 28일 방송)쇠살모사 천적, 가거도 족제비! 환경스페셜 ‘생태보고, 격리된 땅 섬’/ KBS 20130130 방송쇠살모사 천적, 가거도 족제비! 환경스페셜 ‘생태보고, 격리된 땅 섬’/ KBS 20130130 방송환경스페셜 ‘숲속의 사계, 곤충의 집’/ KBS 20061011 방송환경스페셜 ‘숲속의 사계, 곤충의 집’/ KBS 20061011 방송둥지 밖은 위험해! 괭이갈매기 새끼 잔혹사 [환경스페셜-괭이 갈매기 치열한 삶의 진실] /  KBS20060927 방송둥지 밖은 위험해! 괭이갈매기 새끼 잔혹사 [환경스페셜-괭이 갈매기 치열한 삶의 진실] / KBS20060927 방송야생의 모정 네가지 풍경야생의 모정 네가지 풍경[멍상]#8 생명 품은 백련지! 환경스페셜 ‘수중군자, 연꽃의 비밀’ / KBS 20071114 방송[멍상]#8 생명 품은 백련지! 환경스페셜 ‘수중군자, 연꽃의 비밀’ / KBS 20071114 방송[멍상]#17 지리산 할머니의 고라니 사랑 | 환경스페셜 "일생" (2013년 2월 6일 방송)[멍상]#17 지리산 할머니의 고라니 사랑 | 환경스페셜 "일생" (2013년 2월 6일 방송)수리부엉이와의 특별한 인연 [UHD 환경스페셜] | KBS 220324 방송수리부엉이와의 특별한 인연 [UHD 환경스페셜] | KBS 220324 방송고단하지 않은 어미의 삶은 없다! 환경스페셜 ‘숲, 사냥꾼 어미로 산다는 것’ / KBS 20120222 방송고단하지 않은 어미의 삶은 없다! 환경스페셜 ‘숲, 사냥꾼 어미로 산다는 것’ / KBS 20120222 방송[특집] 아마존 편 드디어 공개!! 장어 뜯는 '피라냐' 부터 '악어' 감전시키는 전기뱀장어, 독거미 타란툴라 까지!! 세계의 맹수 '아마존' 편 Full.ver[특집] 아마존 편 드디어 공개!! 장어 뜯는 '피라냐' 부터 '악어' 감전시키는 전기뱀장어, 독거미 타란툴라 까지!! 세계의 맹수 '아마존' 편 Full.ver바닷속 100미터 수직절벽! 환경스페셜 ‘블루코너’ / KBS 20080514 방송바닷속 100미터 수직절벽! 환경스페셜 ‘블루코너’ / KBS 20080514 방송필사의 탈출! 환경스페셜 '원흥이 두꺼비 생명의 여정'/ KBS 20070131 방송필사의 탈출! 환경스페셜 '원흥이 두꺼비 생명의 여정'/ KBS 20070131 방송쇠스랑게, 귀제비, 삼광조, 까지집의 신기한 세계 동물의 건축술 2편, KBS 100313 방송쇠스랑게, 귀제비, 삼광조, 까지집의 신기한 세계 동물의 건축술 2편, KBS 100313 방송고려 공민왕도 이곳으로 피난! 환경스페셜 ‘야생의 보고 왕피천’ / KBS 20090812 방송고려 공민왕도 이곳으로 피난! 환경스페셜 ‘야생의 보고 왕피천’ / KBS 20090812 방송
Яндекс.Метрик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