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생·화재 취약 ‘쓰레기 집’…관리 사각지대 / KBS 2023.05.16.
[앵커]
쓰레기를 모아놓고 방치하는 일명 '쓰레기 집', 한 번쯤 보신 적 있으실 겁니다.
비위생적인 환경에다 화재 위험까지 높은데요.
그런데 이런 집들이 얼마나 되는지 파악조차 되지 않아 관리 사각지대에 있습니다.
이청초 기자입니다.
[리포트]
춘천시 신북읍의 한 가정집입니다.
앞마당에 고철과 플라스틱 페트병 등 각종 쓰레기로 가득 차 있습니다.
출입문으로 가는 길도 한 사람이 겨우 지나갈 정도입니다.
집 안은 더 심각합니다.
개수대엔 온갖 잡동사니가 쌓여있고, 오물이 뒤섞인 냄새까지 코를 찌릅니다.
화장실에 걸린 전깃줄은 위태롭기까지 합니다.
[집주인/음성변조 : "뭐가 불편해? 자기들(이웃들) 눈에 거슬린다는 것밖에 더 있어요."]
가족들은 고통을 호소합니다.
[가족/음성변조 : "제가 꼭 학대받는 느낌. 전문가를 통해서 정밀진단도 받아봤으면 좋겠고, 더 이상 이렇게 사는 게 저한테는 너무 힘드네요."]
춘천시의 또 다른 집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쓰레기로 가득 쌓인 집 앞입니다.
바로 문 앞에서 바스러지는 비닐과 플라스틱 통들이 널브러져 있습니다.
춘천시가 집주인을 설득해 여러 번 치웠지만 결국 제자리입니다.
피해는 고스란히 이웃에게 돌아옵니다.
악취나 해충 등 피해에 화재 걱정까지 안고 산다고 말합니다.
[이웃 주민/음성변조 : "안에 가스 있고, 공간도 하나 없고. 사람 하나 있을 자리도 하나 없는데 화재가 제일 위험하죠. 화재가."]
취약계층 가운데 긴급히 손을 써야 할 고위험가구 절반은 비슷한 상태라는 게 현장의 이야기입니다.
취약계층은 그나마, 실태라도 알 수 있습니다.
복지 대상이 아닌 일반가구는 파악조차 안 됩니다.
거기다, 본인이 동의하지 않으면 청소를 해주거나 상담을 하는 등 손을 쓸 수가 없습니다.
[강미영/춘천시 희망복지지원팀장 : "일반 가구에 대한 접근이 굉장히 어려운 상황인데요. 외부의 개입을 굉장히 꺼려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때문에 창원시 등 일부 지자체들은 이러한 '쓰레기 집'을 찾아내 주거환경 개선 등을 지원할 수 있는 조례 제정에도 속속 나서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청초입니다.
촬영기자:김남범
Видео 위생·화재 취약 ‘쓰레기 집’…관리 사각지대 / KBS 2023.05.16. канала KBS강원
쓰레기를 모아놓고 방치하는 일명 '쓰레기 집', 한 번쯤 보신 적 있으실 겁니다.
비위생적인 환경에다 화재 위험까지 높은데요.
그런데 이런 집들이 얼마나 되는지 파악조차 되지 않아 관리 사각지대에 있습니다.
이청초 기자입니다.
[리포트]
춘천시 신북읍의 한 가정집입니다.
앞마당에 고철과 플라스틱 페트병 등 각종 쓰레기로 가득 차 있습니다.
출입문으로 가는 길도 한 사람이 겨우 지나갈 정도입니다.
집 안은 더 심각합니다.
개수대엔 온갖 잡동사니가 쌓여있고, 오물이 뒤섞인 냄새까지 코를 찌릅니다.
화장실에 걸린 전깃줄은 위태롭기까지 합니다.
[집주인/음성변조 : "뭐가 불편해? 자기들(이웃들) 눈에 거슬린다는 것밖에 더 있어요."]
가족들은 고통을 호소합니다.
[가족/음성변조 : "제가 꼭 학대받는 느낌. 전문가를 통해서 정밀진단도 받아봤으면 좋겠고, 더 이상 이렇게 사는 게 저한테는 너무 힘드네요."]
춘천시의 또 다른 집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쓰레기로 가득 쌓인 집 앞입니다.
바로 문 앞에서 바스러지는 비닐과 플라스틱 통들이 널브러져 있습니다.
춘천시가 집주인을 설득해 여러 번 치웠지만 결국 제자리입니다.
피해는 고스란히 이웃에게 돌아옵니다.
악취나 해충 등 피해에 화재 걱정까지 안고 산다고 말합니다.
[이웃 주민/음성변조 : "안에 가스 있고, 공간도 하나 없고. 사람 하나 있을 자리도 하나 없는데 화재가 제일 위험하죠. 화재가."]
취약계층 가운데 긴급히 손을 써야 할 고위험가구 절반은 비슷한 상태라는 게 현장의 이야기입니다.
취약계층은 그나마, 실태라도 알 수 있습니다.
복지 대상이 아닌 일반가구는 파악조차 안 됩니다.
거기다, 본인이 동의하지 않으면 청소를 해주거나 상담을 하는 등 손을 쓸 수가 없습니다.
[강미영/춘천시 희망복지지원팀장 : "일반 가구에 대한 접근이 굉장히 어려운 상황인데요. 외부의 개입을 굉장히 꺼려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때문에 창원시 등 일부 지자체들은 이러한 '쓰레기 집'을 찾아내 주거환경 개선 등을 지원할 수 있는 조례 제정에도 속속 나서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청초입니다.
촬영기자:김남범
Видео 위생·화재 취약 ‘쓰레기 집’…관리 사각지대 / KBS 2023.05.16. канала KBS강원
Комментарии отсутствуют
Информация о видео
16 мая 2023 г. 16:28:44
00:02:23
Другие видео канала
![[여기는 강릉] 전기요금 차등 부과 법 통과…기업 이전 관심 / KBS 2023.06.12.](https://i.ytimg.com/vi/6dqnSXuTFkk/default.jpg)
![[여기는 강릉] 동해안에도 ‘낭만 포차’ 추진…야간 관광 활성화 / KBS 2023.03.29.](https://i.ytimg.com/vi/bTfNSxak50g/default.jpg)
![[여기는 원주] 횡성 안흥찐빵마을, 반 년 넘게 문도 못 열어 / KBS 2021.05.10.](https://i.ytimg.com/vi/cm3-mfSiEnE/default.jpg)



![[포착! 현장7] 강원동계청소년 올림픽 유망주를 만나다 / KBS 2023.01.30.](https://i.ytimg.com/vi/r2KeXsr3maM/default.jpg)
![[단독] 국민의힘 고위 당직자 ‘페이백’ 의혹…중앙당, 진상 조사 / KBS 2023.05.30.](https://i.ytimg.com/vi/W8hg6yQwojU/default.jpg)


![[여기는 원주] 옛 원주역 폐쇄 2년…아직도 방치 / KBS 2023.02.14.](https://i.ytimg.com/vi/ZEVgbXExUSQ/default.jpg)

![[사건파일7] 일상회복 이후 음주운전 사고 급증 / KBS 2022.12.21.](https://i.ytimg.com/vi/YLdKRVRo7Zk/default.jpg)
![[여기는 원주] “북 무인기 대응하려다”…공군 비행기 추락, 조종사 탈출 / KBS 2022.12.26.](https://i.ytimg.com/vi/2QINW1FMOLk/default.jpg)

![[여기는 강릉] 헬기 부정 탑승 이전엔 없었다?…“법령 정비 추진” / KBS 2022.12.05.](https://i.ytimg.com/vi/rNVGdy79WNU/default.jpg)

![[이슈&토크] 최저 초등교원 임용, 교육계의 분위기는? / KBS 2022.08.16.](https://i.ytimg.com/vi/gPsVhhpqgcQ/default.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