Загрузка страницы

미국과 중국 사이에 끼인 동남아시아의 현실..!!

#동남아시아 #아세안 #중국 #미국 #ASEAN
참고문헌:
Joanna Dobkowska. (2014). “Hedging China? The Meaning of the ASEAN Member States’ Interests in Forging Their Policies Toward China.” Dominik Mierzejewski ed., The Quandaries of China’s Domestic and Foreign Development. Poland: University of Lodz Press.

Lukas M. Mueller. (2019). “ASEAN Centrality under Threat-the Cases of RCEP and Connectivity.” Journal of Contemporary East Asia Studies, 8( 2), 177-198.

권재범. (2020). 베트남과 아시아-태평양지역 국가 간 전략적 파트너십 확대 연구: 중국의 부상에 대한 베트남의 대응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논총, 25(3), 5-29.

김진영. (2021). ‘일대일로’ 구상과 아세안 국가들의 중국 대응. 한국과 국제사회, 5(1): 235-270.

박휘락. (2020). 미국 ‘인도-태평양 전략’과 한국에 대한 함의 분석: ‘투키디데스 함정’의 위험. 국제정치연구, 23(2), 105-129.

변창구. (2015). 동아시아 지역협력에 있어서 ASEAN의 중심성. 한국동북아논총(77), 5-25.

우아정. (2018). 국제정치 일반이론으로서의 헤징: 중국의 공세적 변화와 약소국의 인식전환에 따른 헤징동학 분석.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석사학위논문.

이수형. (2012). 동아시아 안보구축에서 강대국과 중견국의 헤징전략과 이중적 안보 딜레마. 한국평화연구학회 학술회의, 75-95.

이재현. (2020). "필리핀-미국 방문군협정 (VFA) 폐기: 양자 군사동맹에 대한 함의와 미래". 아산정책연구원 이슈브리프. Retrived from http://www.asaninst.org/contents/%ED%95%84%EB%A6%AC%ED%95%80-%EB%AF%B8%EA%B5%AD-%EB%B0%A9%EB%AC%B8%EA%B5%B0%ED%98%91%EC%A0%95-vfa-%ED%8F%90%EA%B8%B0-%EC%96%91%EC%9E%90-%EA%B5%B0%EC%82%AC%EB%8F%99%EB%A7%B9%EC%97%90-%EB%8C%80/

정구연. (2020). 아세안(ASEAN) 국가들의 헤징과 동아시아 안보아키텍처의 변화 전망: 대미 · 대중 군사외교를 중심으로. 한국동북아논총, 25(2), 27-51.

정성철. (2020). 자유주의 세계질서의 쇠퇴? 글로벌 패권의 약화와 민주주의 중견국의 규칙지반질서 추구. 정치정보연구, 23(1), 141-164.

하다정. (2017). 아세안의 안보 전략 - 남중국해 영토문제에 대한 인도네시아의 대응 -. 고려대학교 국제관계학과 석사학위논문.

Видео 미국과 중국 사이에 끼인 동남아시아의 현실..!! канала 지식한잔
Показать
Комментарии отсутствуют
Введите заголовок:

Введите адрес ссылки:

Введите адрес видео с YouTube:

Зарегистрируйтесь или войдите с
Информация о видео
21 марта 2021 г. 12:45:03
00:08:59
Яндекс.Метрик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