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중 교수 대학 강의] 상담연구방법론- 논문 작성법(연구문제의 선정) [46차시]
[김한중 교수 대학 강의] 상담연구방법론- 논문 작성법(연구문제의 선정) [46차시]
논문 작성법- 연구문제의 선정
전공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최근의 경향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갖고 많은 독서와 사고를 게을리 하지 않는 일이 먼저 중요하다. 연구주제를 찾는 데 어떤 특수한 방법은 없지만 다음 몇 가지 점을 유의한다면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것이다.
첫 번째 방법은 최근의 논문이나 전공서적을 읽고 거기에 대해서 적용된 방법이나 기술 또는 원리를 새로운 문제해결에 적용할 수 있는가를 생각해보는 일이다. 새로운 문제 해결을 위하여 이러한 방법이나 원리를 적용한다는 것은 상당히 창의적 활동이라고 볼 수 있으며, 독창적이고 학문발전에 크게 기여한 과거의 많은 연구들이 이러한 과정에 의해서 이루어진 경우가 많았다.
두 번째는 과거에 이루어진 연구 중에서 연구주제의 선정이나 그 내용에 많은 장점을 가진 좋은 연구지만 연구방법, 표집 및 측정방법 등에 치명적인 결점이나 미비한 점이 있는 경우에 이를 보충하는 새로운 연구를 착수하는 것도 상당히 의의 있는 연구라 하겠다.
세 번째는 논문이나 기타 연구보고서의 논의나 결론 부분에 제시되는 해당 연구의 제한점 및 새로운 연구 제안이나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주의 깊게 읽고 평가해보는 일이다. 물론 여기에 나타난 연구의 문제나 과제는 때로는 실용성이나 현재의 상태로는 연구의 실천 가능성이 적은 경우가 많고, 또한 그 제안이 상당히 추상적이지만 하나의 후속적인 연구로서 가치 있는 연구의 주제를 발견할 수도 있는 것이다.
네 번째 방법은 지도교수나 자기의 전공분야와 관계되는 교수가 이미 진행하고 있는 연구의 일부를 맡아서 진행시키거나 또는 전공분야 교수와 접촉을 통해서 그가 연구하고자 하는 연구의 관심이 무엇인가를 알아서 이를 상세히 체계화시켜 보는 일이다.
연구주제의 발견을 위한 비판적 독서란 어떠한 것인가?
(1) 단순히 지식이나 내용을 흡수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제시된 내용의 타당성을 검토하면서 읽는다.
(2) 문제해결의 방법이나 분석방법 등에만 관심을 둘 것이 아니라 현재의 연구문제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미해결의 문제가 어떤 것이 있는가에 관심을 갖고 읽는다.
(3) 읽으면서 사고한다.
(4) 제시된 논의나 논쟁이 타당한가를 검토하고 어떤 결점이나 보충이 필요한가를 생각하면서 읽는다.
(5) 필자의 논거, 논리, 기본 가정 및 가치관이 무엇인가를 발견해가면서 읽는다.
Видео [김한중 교수 대학 강의] 상담연구방법론- 논문 작성법(연구문제의 선정) [46차시] канала 김한중교수 대학 강의
논문 작성법- 연구문제의 선정
전공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최근의 경향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갖고 많은 독서와 사고를 게을리 하지 않는 일이 먼저 중요하다. 연구주제를 찾는 데 어떤 특수한 방법은 없지만 다음 몇 가지 점을 유의한다면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것이다.
첫 번째 방법은 최근의 논문이나 전공서적을 읽고 거기에 대해서 적용된 방법이나 기술 또는 원리를 새로운 문제해결에 적용할 수 있는가를 생각해보는 일이다. 새로운 문제 해결을 위하여 이러한 방법이나 원리를 적용한다는 것은 상당히 창의적 활동이라고 볼 수 있으며, 독창적이고 학문발전에 크게 기여한 과거의 많은 연구들이 이러한 과정에 의해서 이루어진 경우가 많았다.
두 번째는 과거에 이루어진 연구 중에서 연구주제의 선정이나 그 내용에 많은 장점을 가진 좋은 연구지만 연구방법, 표집 및 측정방법 등에 치명적인 결점이나 미비한 점이 있는 경우에 이를 보충하는 새로운 연구를 착수하는 것도 상당히 의의 있는 연구라 하겠다.
세 번째는 논문이나 기타 연구보고서의 논의나 결론 부분에 제시되는 해당 연구의 제한점 및 새로운 연구 제안이나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주의 깊게 읽고 평가해보는 일이다. 물론 여기에 나타난 연구의 문제나 과제는 때로는 실용성이나 현재의 상태로는 연구의 실천 가능성이 적은 경우가 많고, 또한 그 제안이 상당히 추상적이지만 하나의 후속적인 연구로서 가치 있는 연구의 주제를 발견할 수도 있는 것이다.
네 번째 방법은 지도교수나 자기의 전공분야와 관계되는 교수가 이미 진행하고 있는 연구의 일부를 맡아서 진행시키거나 또는 전공분야 교수와 접촉을 통해서 그가 연구하고자 하는 연구의 관심이 무엇인가를 알아서 이를 상세히 체계화시켜 보는 일이다.
연구주제의 발견을 위한 비판적 독서란 어떠한 것인가?
(1) 단순히 지식이나 내용을 흡수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제시된 내용의 타당성을 검토하면서 읽는다.
(2) 문제해결의 방법이나 분석방법 등에만 관심을 둘 것이 아니라 현재의 연구문제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미해결의 문제가 어떤 것이 있는가에 관심을 갖고 읽는다.
(3) 읽으면서 사고한다.
(4) 제시된 논의나 논쟁이 타당한가를 검토하고 어떤 결점이나 보충이 필요한가를 생각하면서 읽는다.
(5) 필자의 논거, 논리, 기본 가정 및 가치관이 무엇인가를 발견해가면서 읽는다.
Видео [김한중 교수 대학 강의] 상담연구방법론- 논문 작성법(연구문제의 선정) [46차시] канала 김한중교수 대학 강의
Комментарии отсутствуют
Информация о видео
10 июня 2025 г. 3:40:14
00:00:13
Другие видео канал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