Загрузка...

TIGER도 TDF를 ETF로 출시한다는 의미는...

#TDF도 #ETF가 #대세가된다는전망인가? #TIGER

증시 변동성 커지자…희비 엇갈린 TDF
최근 글로벌 증시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3월 ‘타깃데이트펀드(TDF)’ 성과도 차별화 조짐이 뚜렷하다. 보수적인 포트폴리오로 이뤄진 2025~2030 빈티지(목표 은퇴 시점)는 상대적으로 선방한 반면, 주식 비중이 높은 2040~2060 빈티지에서는 최대 -4%까지 손실폭이 확대됐다. 변동성이 높아진 최근 증시 환경에서 글로벌 분산과 포트폴리오 다변화 정도에 따라 수익률 차별화가 이뤄졌단 분석이다.
운용사별로는 미국 주식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평가받던 한국투자신탁운용 등이 3월 들어 다소 부진한 가운데 대신자산운용과 IBK자산운용 등 중소운용사 약진이 두드러졌다.
한국퇴직연금데이터에 따르면, 올 들어 3월까지 TDF 수익률(YTD 기준)을 보면 대신자산운용과 IBK자산운용이 대부분 빈티지에서 선전했다. IBK자산운용 ‘IBK로우코스트TDF’는 2030·2040·2045·2050 등 빈티지별로 고른 활약을 했다. 대신자산운용 ‘대신343TDF’는 2035·2055 빈티지에서 4%대 수익률로 두각을 보였다. 이외 ‘신영TDF’ ‘한화LifePlusTDF’ 시리즈는 일부 빈티지에서 시장 평균 대비 선방하며 투자자 관심을 끌었다.
지난해 뛰어난 성과를 냈던 한국투자신탁운용 TDF는 다소 조정받는 분위기다. 미국 성장주 중심 포트폴리오가 최근 증시 변동성이 높아진 환경에서는 단기 약점으로 작용했단 평가다.
3월 한 달 수익률만 놓고 봐도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주식 비중이 높은 ‘삼성ETF를담은TDF’ ‘미래에셋ETF로자산배분TDF’ 등은 3월 -2%~-4% 수준의 낙폭을 보였다. 반면, IBK로우코스트 TDF가 모든 빈티지에서 3월 수익률 -0.5%대로 선방한 것을 비롯해 대신 343TDF, 신영 TDF, 한화LifePlusTDF 도 일부 빈티지에서 상대적으로 선전했단 분석이다.
영주닐슨 한국퇴직연금데이터 대표는 “미국 증시 급락과 기술주 조정이 시장 전반에 충격을 준 가운데, 이들 비중이 높은 포트폴리오에도 치명타로 작용했다”라며 “이번 조정장은 TDF 투자 시 자산 구성과 전략의 중요성을 상기시키는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한편, 매경이코노미는 한국퇴직연금데이터와 손잡고 ‘MK-Glide TDF 지수’를 공동 개발했다. MK-Glide TDF 지수는 지난해 4월 1일을 기준점으로 한다. 2030, 2035, 2040, 2045, 2050 등 빈티지별 하위 지수(sub-index)로 이뤄진다. 하위 지수는 빈티지별 여러 펀드로 구성된다. 지수는 매달 산출되지만, 구성 비중과 자산은 1년 주기로 매년 2월에 결정된다.
한국퇴직연금데이터는 영주닐슨 성균관대 SKK GSB 교수가 개인의 재무·비재무 데이터와 금융 데이터를 결합해 은퇴·라이프 계획 관련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연구하는 핀테크 기업이다. 기관 투자자는 물론 일반 기업에도 회사별 맞춤 TDF 구성이 가능하도록 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제공한다.
출처 : https://www.mk.co.kr/news/economy/11282879

안정성에 수익률도 챙겨 자금 몰리는 'TDF ETF'
퇴직연금 계좌 내 인기 상품으로 꼽히는 타깃데이트펀드(TDF) 경쟁이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으로 번지고 있다. 주식 비중이 높은 고빈티지 TDF ETF에 자금이 몰리며, 해당 상품의 수익률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현재 상장된 TDF ETF는 총 16개이며, 이 가운데 순자산 총액이 가장 큰 상품은 'KODEX TDF 2050액티브'로 2109억원에 달했다.
이 밖에도 'RISE TDF 2050액티브'(222억원), 'PLUS TDF 2060액티브'(108억원), 'KIWOOM TDF 2050액티브'(72억원) 등에 뭉칫돈이 몰린 것으로 집계됐다. 은퇴 시점을 비교적 멀게 설정한 TDF ETF일수록 순자산 총액이 많은 셈이다.
TDF는 투자자의 은퇴 예정 시점을 목표로 설정해 생애주기에 맞게 투자자산 비중을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라이프사이클 펀드다.
젊을 때는 주식 등 위험자산 비중이 높고, 은퇴 시점에 가까워지면 채권 등 안전자산이 높아지는 구조다.
TDF ETF는 은행이나 증권사 등 판매사를 거치지 않고 투자자가 직접 거래소를 통해 사고팔 수 있다. 판매사가 수수료를 가져가지 않아 총보수도 저렴하다.
TDF ETF 수익률을 비교해보니 성과 면에서도 고빈티지 상품들이 두각을 나타냈다. 최근 2년간의 수익률을 살펴보면 2060년을 목표로 한 상품 중 유일하게 상장된 'PLUS TDF 2060액티브'가 44.13%로 가장 높은 성과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KIWOOM TDF 2050액티브'는 41.71% 상승했고, 'PLUS TDF 2050액티브'는 39.38%, 'KODEX TDF 2050액티브'는 35.48% 올랐다.
TDF ETF를 출시한 운용사들은 각기 다른 포트폴리오 전략을 펼치고 있다. 한화자산운용의 TDF ETF는 미국, 선진국, 신흥국 등 다양한 지역의 주식에 분산 투자하고 있다. 다른 운용사들이 국내 채권을 중심으로 담고 있다면, 한화자산운용은 국내외 채권을 절반씩 담고 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TDF ETF에 금을 편입해 차별화를 꾀했다. ACE TDF 2050액티브의 경우 금 투자 비중이 13.46%에 달한다. 금을 통해 환노출한 해외 주식의 변동성을 완화한다는 전략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DF ETF 중 유일하게 2045년을 은퇴 시점으로 설정한 상품을 출시했다.
위험자산인 주식에서 투자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비중을 79%까지 높였고, 나머지 21%는 채권을 담아 S&P500에 집중적으로 투자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출처 : https://m.news.nate.com/view/20250330n14182

Видео TIGER도 TDF를 ETF로 출시한다는 의미는... канала 펀드메딕_ETF, 펀드, 연금의 모든 것
Страницу в закладки Мои закладки
Все заметки Новая заметка Страницу в заметк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