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백만마리의 청갯지렁이! 혼무시? 낚시미끼 직접 잡는 방법
수백만마리의 청갯지렁이! 혼무시? 낚시미끼 직접 잡는 방법
갯지렁이. 우리는 갯지렁이란 단어에 익숙하다. 그렇다면 우리는 갯지렁이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대부분의 사람들은 낚시 미끼로 사용되는 몇몇 종의 갯지렁이를 떠올리거나 서해 어느 갯벌에서 조개를 캐다가 우연히 발견한 길고 말캉말캉한 생물을 떠올릴 것이다. 또는 육지에 사는 지렁이와 비슷한데 갯벌에 사는 지렁이 정도로 인식하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갯지렁이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다양하다. 2갯지렁이류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
갯지렁이류에 대한 분류학적인 첫 기록은 1758년 린네의 ‘자연의 체계(Systema Naturae)’의 기록이다. 그 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연구가 지속되었고 현재까지 약 9,000종의 갯지렁이가 분류학적으로 기록되었다.
우리나라에서의 분류학적 첫 기록은 1941년 조선박물학회지 8권 30호에 일본인 연구자인 ‘카미타’와 ‘사토’가 ‘인천 근해의 해산 동물상’이라는 논문에 털보집갯지렁이[Diopatra neapolitana Delle Chiaje, 1841], 실참갯지렁이[Ceratocephale osawai Izuka, 1903], 오뚜기갯지렁이[Sternaspis costata Marenzeller, 1879]의 3종을 기록한 것을 최초의 기록으로 보고 있다.
그 후 故백의인 교수를 비롯하여 여러 학자들에 의해 300여 종의 갯지렁이의 서식이 기록되었고 지금도 미기록 또는 신종 이 새롭게 발견되고 있다.
3생태적 특징에 따른 갯지렁이류의 분류
현재의 갯지렁이류 분류체계는 대부분 자연 또는 진화 계통에 따라 생물을 분류하는 자연분류학적 방법을 취하고 있지만 과거에는 갯지렁이류를 식별하기 쉬운 형태 및 생태적 특징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인위분류3)라고 하는데 여기에서는 갯지렁이류의 다양성 및 특징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 이들 무리를 인위분류 체계로 나눈 유재류(遊在類, Errantia) 와 정재류(定在類, Sedentaria)로 구분지어 이해해 보자.
우리가 흔하게 볼 수 있는 갯지렁이는 땅에 사는 지렁이처럼 갯벌에 구멍을 파고 먹이활동을 하는 참갯지렁이류이다. 낚시 미끼로 주로 사용되는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Perinereis linea (Treadwell, 1936)]가 대표적인데 이처럼 갯벌이나 물속 바닥을 기어 다니며 생활하는 종류를 유재류 또는 저서성 갯지렁이류라고 한다.
유재류는 갯벌, 물속 바닥뿐만 아니라 굴이나 담치 또는 해조류와 같은 부착생물의 기부 등을 자유롭게 돌아다니며 먹이활동을 하고 생식활동을 한다.
Видео 수백만마리의 청갯지렁이! 혼무시? 낚시미끼 직접 잡는 방법 канала 해낚캠TV-해루질.낚시.캠핑
갯지렁이. 우리는 갯지렁이란 단어에 익숙하다. 그렇다면 우리는 갯지렁이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대부분의 사람들은 낚시 미끼로 사용되는 몇몇 종의 갯지렁이를 떠올리거나 서해 어느 갯벌에서 조개를 캐다가 우연히 발견한 길고 말캉말캉한 생물을 떠올릴 것이다. 또는 육지에 사는 지렁이와 비슷한데 갯벌에 사는 지렁이 정도로 인식하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갯지렁이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다양하다. 2갯지렁이류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
갯지렁이류에 대한 분류학적인 첫 기록은 1758년 린네의 ‘자연의 체계(Systema Naturae)’의 기록이다. 그 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연구가 지속되었고 현재까지 약 9,000종의 갯지렁이가 분류학적으로 기록되었다.
우리나라에서의 분류학적 첫 기록은 1941년 조선박물학회지 8권 30호에 일본인 연구자인 ‘카미타’와 ‘사토’가 ‘인천 근해의 해산 동물상’이라는 논문에 털보집갯지렁이[Diopatra neapolitana Delle Chiaje, 1841], 실참갯지렁이[Ceratocephale osawai Izuka, 1903], 오뚜기갯지렁이[Sternaspis costata Marenzeller, 1879]의 3종을 기록한 것을 최초의 기록으로 보고 있다.
그 후 故백의인 교수를 비롯하여 여러 학자들에 의해 300여 종의 갯지렁이의 서식이 기록되었고 지금도 미기록 또는 신종 이 새롭게 발견되고 있다.
3생태적 특징에 따른 갯지렁이류의 분류
현재의 갯지렁이류 분류체계는 대부분 자연 또는 진화 계통에 따라 생물을 분류하는 자연분류학적 방법을 취하고 있지만 과거에는 갯지렁이류를 식별하기 쉬운 형태 및 생태적 특징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인위분류3)라고 하는데 여기에서는 갯지렁이류의 다양성 및 특징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 이들 무리를 인위분류 체계로 나눈 유재류(遊在類, Errantia) 와 정재류(定在類, Sedentaria)로 구분지어 이해해 보자.
우리가 흔하게 볼 수 있는 갯지렁이는 땅에 사는 지렁이처럼 갯벌에 구멍을 파고 먹이활동을 하는 참갯지렁이류이다. 낚시 미끼로 주로 사용되는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Perinereis linea (Treadwell, 1936)]가 대표적인데 이처럼 갯벌이나 물속 바닥을 기어 다니며 생활하는 종류를 유재류 또는 저서성 갯지렁이류라고 한다.
유재류는 갯벌, 물속 바닥뿐만 아니라 굴이나 담치 또는 해조류와 같은 부착생물의 기부 등을 자유롭게 돌아다니며 먹이활동을 하고 생식활동을 한다.
Видео 수백만마리의 청갯지렁이! 혼무시? 낚시미끼 직접 잡는 방법 канала 해낚캠TV-해루질.낚시.캠핑
Комментарии отсутствуют
Информация о видео
7 марта 2020 г. 15:03:33
00:06:44
Другие видео канал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