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중 교수 대학 강의] 상담연구방법론- 통계와 표집(기술 통계와 추리 통계) [36차시]
[김한중 교수 대학 강의] 상담연구방법론- 통계와 표집(기술 통계와 추리 통계) [36차시]
상담연구방법론- 통계와 표집(기술 통계와 추리 통계)
통계와 표집(기술 통계와 추리 통계)
1) 기술 통계(descriptive statistics)
한 주어진 집단을 기술․요약하는데 관심이 있을 뿐, 이 집단에서 얻어진 결과를 갖고 다른 어떤 집단의 특성을 추정하는데 관심이 없는 통계적 방법을 기술통계라 한다. 따라서 기술통계에서는 원칙적으로 전집과 표집이 일치된다. 즉, 어떤 특성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자의 관심이 한 집단에서 표집하여 어떤 통계치를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그 집단 전체를 다 이용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한 교사가 자기 반 학생의 지능의 평균을 알기 위해 자기 반의 모든 학생을 평균치 계산에 포함시킨 경우, 이것은 기술 통계가된다. 즉, 얻어진 평균치를 자기 반 학생의 지능 수준을 요약해 주는 통계치로 사용하였을 뿐, 그 반 이외에 학교 전체의 학생의 지능을 추정하는 데는 관심이 없는 것이다.
2) 추리 통계(inferential statistics)
서울시의 중학교 3학년 평균 지능이 얼마나 되는지 알고자 한다든가, 또는 도시 학생 중 만 12세의 평균 키가 얼마나 되느냐라든가, 또는 한 커다란 호수의 고기 종류의 비율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느냐라든가, 혹은 여러 개의 화차에 싣고 온 곡식의 질이 어떠한가를 알고자 하는 경우에, 이러한 연구자의 관심의 집단을 전집(population)이라고 한다. 실제 연구에 있어서 전집의 지능 지수라든가 키 등에 관한 정보를 모두 수집한다는 것은 노력과 경비가 막대할 뿐만 아니라 흔히는 이것이 불가능할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전집으로부터 100명이라든가 200명의 소수를 표집하여 이 표집의 결과를 통하여 전집의 어떤 특성(예를 들면 평균이라든가 비율 구성 등)을 추정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표집이란 전집의 어떤 특성을 추정하기 위하여 전집으로부터 선발된 소수의 집단을 말한다. 연구자의 관심이 되는 전집의 어떤 특성, 즉 평균, 표준편차, 상관계수 또는 비율 등을 전집치 또는 모수치(parameter)라고 하고, 표집에서 얻어진 이에 대응하는 수치를 표집치 또는 통계치(statistics)라고 부른다. 또한 표집치는 전집의 모수치를 추정하기 위하여 흔히 사용되므로 이를 추정치라고도 부른다. 표집에서 얻어진 통계치를 가지고 전집의 어떤 모수치를 추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 통계치는 다소의 오차가 있게 된다.
Видео [김한중 교수 대학 강의] 상담연구방법론- 통계와 표집(기술 통계와 추리 통계) [36차시] канала 김한중교수 대학 강의
상담연구방법론- 통계와 표집(기술 통계와 추리 통계)
통계와 표집(기술 통계와 추리 통계)
1) 기술 통계(descriptive statistics)
한 주어진 집단을 기술․요약하는데 관심이 있을 뿐, 이 집단에서 얻어진 결과를 갖고 다른 어떤 집단의 특성을 추정하는데 관심이 없는 통계적 방법을 기술통계라 한다. 따라서 기술통계에서는 원칙적으로 전집과 표집이 일치된다. 즉, 어떤 특성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자의 관심이 한 집단에서 표집하여 어떤 통계치를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그 집단 전체를 다 이용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한 교사가 자기 반 학생의 지능의 평균을 알기 위해 자기 반의 모든 학생을 평균치 계산에 포함시킨 경우, 이것은 기술 통계가된다. 즉, 얻어진 평균치를 자기 반 학생의 지능 수준을 요약해 주는 통계치로 사용하였을 뿐, 그 반 이외에 학교 전체의 학생의 지능을 추정하는 데는 관심이 없는 것이다.
2) 추리 통계(inferential statistics)
서울시의 중학교 3학년 평균 지능이 얼마나 되는지 알고자 한다든가, 또는 도시 학생 중 만 12세의 평균 키가 얼마나 되느냐라든가, 또는 한 커다란 호수의 고기 종류의 비율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느냐라든가, 혹은 여러 개의 화차에 싣고 온 곡식의 질이 어떠한가를 알고자 하는 경우에, 이러한 연구자의 관심의 집단을 전집(population)이라고 한다. 실제 연구에 있어서 전집의 지능 지수라든가 키 등에 관한 정보를 모두 수집한다는 것은 노력과 경비가 막대할 뿐만 아니라 흔히는 이것이 불가능할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전집으로부터 100명이라든가 200명의 소수를 표집하여 이 표집의 결과를 통하여 전집의 어떤 특성(예를 들면 평균이라든가 비율 구성 등)을 추정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표집이란 전집의 어떤 특성을 추정하기 위하여 전집으로부터 선발된 소수의 집단을 말한다. 연구자의 관심이 되는 전집의 어떤 특성, 즉 평균, 표준편차, 상관계수 또는 비율 등을 전집치 또는 모수치(parameter)라고 하고, 표집에서 얻어진 이에 대응하는 수치를 표집치 또는 통계치(statistics)라고 부른다. 또한 표집치는 전집의 모수치를 추정하기 위하여 흔히 사용되므로 이를 추정치라고도 부른다. 표집에서 얻어진 통계치를 가지고 전집의 어떤 모수치를 추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 통계치는 다소의 오차가 있게 된다.
Видео [김한중 교수 대학 강의] 상담연구방법론- 통계와 표집(기술 통계와 추리 통계) [36차시] канала 김한중교수 대학 강의
Комментарии отсутствуют
Информация о видео
18 марта 2025 г. 7:17:31
00:00:29
Другие видео канал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