Загрузка страницы

대학 교수평가제도의 개선방안

※ 아래 파란색으로 표기 된 시간을 클릭하시면 해당 내용의 영상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제179회 한림원탁토론회 자료집 다운로드 링크📖
https://kast.or.kr/kr/space/data.php?bbs_data=aWR4PTE4MDQ0JnN0YXJ0UGFnZT0wJmxpc3RObz02NiZ0YWJsZT1jc19iYnNfZGF0YSZjb2RlPXNlb3NpYyZzZWFyY2hfaXRlbT0mc2VhcmNoX29yZGVyPQ%3D%3D%7C%7C&bgu=view&idx=18044&ho=1

- 행사명: 제179회 한림원탁토론회
- 주 제: 대학 교수평가제도의 개선방안
- 일 시: 2020년 12월 4일(금) 15시

[주제발표]
0:06:18 발표자: 최태림(서울대학교 화학부 교수)
- 교수평가제도의 현황 및 실태 파악
0:25:30 발표자: LIM Boon Han(Global Young Academy)
- Global View of Institutional Promotion Criteria For Professorship)
0:39:20 발표자: 정우성(포항공과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교수)
- 교수평가제도의 의의와 운용

[패널토론]
1:03:14 좌 장: 배명진(포항공과대학교 수학과 교수)
1:07:06 토론자: 배옥남(한양대학교 약학과 교수)
1:08:07 토론자: 서창호(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
1:10:33 토론자: 강용묵(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교수)
1:11:47 토론자: 김재경(KAIST 수리과학과 교수)

[질의응답]
1:14:43 Q1: 획일화된 평가제도에서 벗어나서, 연구분야 및 학과 특성을 고려하여 제안하는
이상적인 테뉴어 평가방안은 무엇인가요?
1:29:18 Q2: 연구분야를 고려했을 때 평가항목을 정한다면 어떤 방식으로 정하시고 싶으신가요?
1:37:17 Q3: 선진국(유럽, 미국, 캐나다 등) 대학의 테뉴어 평가제도는 과연 우리의 제도보다
나을까요?
1:45:06 Q4: 테뉴어 평가제도에서 교육에 대한 기여가 차지하는 비중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55:48 Q5: 현재 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테뉴어 평가제도에서 교육 평가항목에 대한
아쉬운 점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2:01:24 Q6: 테뉴어 평가제도에서 봉사 평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10:54 Q7: 선진국들은 교수평가에서 유연성 제도를 시행하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국내 대학에서는 그렇게 하지 못하는 이유가 뭘까요?
2:11:43 Q8: 대학본부는 BK 제도를 통해서 개선점을 계속 내놓고 있다고 하는데,
왜 실질적으로 도입이 되지 않는 걸까요?
2:16:21 Q9: 순위가 아닌 가치를 볼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2:17:42 Q10: 교수들이 매년 혹은 수년에 한번 등의 일정 주기별로 자신이 주로 평가받고자 하는
영역의 비중을 자율적으로 선택하고, 각 영역에서 세운 잣대로 평가를 받게 한다면,
보다 각 교수의 역량을 최대로 끌어올릴 수 있는 시스템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에 대하여 교수님들의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2:21:39 Q11: 교수평가주기라도 현재 1년에서 3년으로라도 늘리면 어떨까요?
2:26:12 Q12: 정성평가를 도입할 때 대학이 피평가자에 대한 신뢰도 또는
피평가자가 가지는 대학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이 있을까요?
2:30:39 Q13: 학생입장에서 더 평가받는 교육 업적평가에 대한 비율을 더 적용하고,
학생들이 교수를 평가하는데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을까요?

※ 본 영상은 12월 4일에 개최되었던 온라인 토론회 내용을 정리한 영상으로, 일부 내용은 현재 상황과 다를 수 있음을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Видео 대학 교수평가제도의 개선방안 канала 한국과학기술한림원
Показать
Комментарии отсутствуют
Введите заголовок:

Введите адрес ссылки:

Введите адрес видео с YouTube:

Зарегистрируйтесь или войдите с
Информация о видео
4 декабря 2020 г. 13:45:57
02:35:36
Другие видео канала
[전체] 제140회 한림원탁토론회 - 4차 산업혁명과 농식업[전체] 제140회 한림원탁토론회 - 4차 산업혁명과 농식업[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국의 과학자, 김재근[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국의 과학자, 김재근[대한민국과학기술유공자  헌정강연] 김영중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대한민국과학기술유공자 헌정강연] 김영중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식물은 몇 개의 호르몬을 만들까? - 이인중 경북대학교 교수(농수산학부 정회원)식물은 몇 개의 호르몬을 만들까? - 이인중 경북대학교 교수(농수산학부 정회원)나노과학자의 중간 여정  -  박홍규 고려대학교  교수(이학부 정회원)나노과학자의 중간 여정 - 박홍규 고려대학교 교수(이학부 정회원)세계대학평가 기관들의 객관성 분석과 국내대학을 위한 제언세계대학평가 기관들의 객관성 분석과 국내대학을 위한 제언(Kor) IAP Statement on Protection of Marine Environments(Kor) IAP Statement on Protection of Marine Environments이필호 강원대 교수의 연구실 이야기: 유기화학이필호 강원대 교수의 연구실 이야기: 유기화학공학자로서의 나의 꿈: from bench to bedside -  차형준 포항공과대학교  교수(공학부 정회원)공학자로서의 나의 꿈: from bench to bedside - 차형준 포항공과대학교 교수(공학부 정회원)[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국의 과학자, 윤일선[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국의 과학자, 윤일선'대한민국과학기술유공자' 10편 -이호왕-'대한민국과학기술유공자' 10편 -이호왕-다양한 경험으로 만드는 길 - 이현규 한양대학교  교수(농수산학부 정회원)다양한 경험으로 만드는 길 - 이현규 한양대학교 교수(농수산학부 정회원)[1분 과학해설] 벤자민 버튼이 가능할까?[1분 과학해설] 벤자민 버튼이 가능할까?우연한 발견은 없다 -  박남규 성균관대학교 석좌교수(이학부 정회원)우연한 발견은 없다 - 박남규 성균관대학교 석좌교수(이학부 정회원)라마르크를 위하여 -  조동규 성균관대학교 교수(의약학부 정회원)라마르크를 위하여 - 조동규 성균관대학교 교수(의약학부 정회원)10년 후 주목받을 자연과학 연구주제와 노벨상 수상 방안10년 후 주목받을 자연과학 연구주제와 노벨상 수상 방안박용근 KAIST 교수의 연구실 이야기: 홀로그래픽박용근 KAIST 교수의 연구실 이야기: 홀로그래픽[과학기술의 거목들 시리즈] 5. 장기려 대한민국 과학기술유공자[과학기술의 거목들 시리즈] 5. 장기려 대한민국 과학기술유공자[대한민국과학기술유공자 모교강연] 김영중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대한민국과학기술유공자 모교강연] 김영중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우주 개척, 어떻게 해야 할까?우주 개척, 어떻게 해야 할까?'대한민국과학기술유공자' 2편 -우장춘-'대한민국과학기술유공자' 2편 -우장춘-
Яндекс.Метрик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