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교육 중심 에듀테크 강화를 위한 소프트랩 확대 계획 발표
교육부는 공교육 중심의 에듀테크 강화를 위해 초중등 에듀테크 소프트랩을 기존 3곳에서 8곳으로 확대하고, 고등교육 에듀테크 소프트랩을 새롭게 1곳 추가 설립한다고 22일 발표했다. 이는 공교육의 디지털 전환을 본격화하고, 교육 현장에서 에듀테크의 효율적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조치로, 오는 29일부터 관련 사업 공모를 진행한다.
에듀테크 소프트랩은 교육 현장에 적합한 에듀테크 개발과 활용을 지원하는 전문 기관으로, 2021년부터 경기(경기대학교), 대구(대구디지털혁신진흥원), 광주(광주교육대학교) 등에서 운영되어 왔다. 이 기관들은 에듀테크가 학교 수업에 적합한지 교사들이 직접 검증하고, 기업과 함께 수업 사례집 및 활용 안내서를 개발하여 교육 현장과 에듀테크 기업 간의 연결을 돕는 역할을 해왔다.
지난 3년간 소프트랩은 74개의 에듀테크를 공교육에 맞게 검증·개선하고, 9100명의 교원, 학생, 기업 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연수 및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등, 교육과 기술의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해왔다.
2024년 에듀테크 소프트랩 사업 기본계획에 따르면, 교육부는 에듀테크 소프트랩의 공교육 지원 기능을 강화하고, 교사들이 에듀테크 생태계를 주도적으로 이끌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공교육에 기여도가 높은 에듀테크 기업을 선별하여 지원하고, 초중등교육 에듀테크 소프트랩을 추가로 5곳 구축해 전국적으로 총 8개의 소프트랩을 운영할 예정이다.
이와 별개로, 고등교육의 디지털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고등교육 에듀테크 소프트랩 1곳을 신설하고, 대학 기초과목의 디지털 혁신을 지원한다. 이영찬 교육부 디지털교육기획관은 "디지털 기술이 교육적 공공성을 가지고 현장 수요에 맞게 활용되는 것이 공교육 에듀테크 생태계의 이상적인 모습"이라며, "에듀테크 소프트랩이 핵심 축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교육부가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Видео 공교육 중심 에듀테크 강화를 위한 소프트랩 확대 계획 발표 канала 스페셜타임스
에듀테크 소프트랩은 교육 현장에 적합한 에듀테크 개발과 활용을 지원하는 전문 기관으로, 2021년부터 경기(경기대학교), 대구(대구디지털혁신진흥원), 광주(광주교육대학교) 등에서 운영되어 왔다. 이 기관들은 에듀테크가 학교 수업에 적합한지 교사들이 직접 검증하고, 기업과 함께 수업 사례집 및 활용 안내서를 개발하여 교육 현장과 에듀테크 기업 간의 연결을 돕는 역할을 해왔다.
지난 3년간 소프트랩은 74개의 에듀테크를 공교육에 맞게 검증·개선하고, 9100명의 교원, 학생, 기업 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연수 및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등, 교육과 기술의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해왔다.
2024년 에듀테크 소프트랩 사업 기본계획에 따르면, 교육부는 에듀테크 소프트랩의 공교육 지원 기능을 강화하고, 교사들이 에듀테크 생태계를 주도적으로 이끌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공교육에 기여도가 높은 에듀테크 기업을 선별하여 지원하고, 초중등교육 에듀테크 소프트랩을 추가로 5곳 구축해 전국적으로 총 8개의 소프트랩을 운영할 예정이다.
이와 별개로, 고등교육의 디지털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고등교육 에듀테크 소프트랩 1곳을 신설하고, 대학 기초과목의 디지털 혁신을 지원한다. 이영찬 교육부 디지털교육기획관은 "디지털 기술이 교육적 공공성을 가지고 현장 수요에 맞게 활용되는 것이 공교육 에듀테크 생태계의 이상적인 모습"이라며, "에듀테크 소프트랩이 핵심 축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교육부가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Видео 공교육 중심 에듀테크 강화를 위한 소프트랩 확대 계획 발표 канала 스페셜타임스
Комментарии отсутствуют
Информация о видео
24 февраля 2024 г. 13:13:26
00:01:59
Другие видео канал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