Загрузка страницы

【2020 제1기 AsIA지역전문가과정】 10강. 중앙아시아 유목민의 정체성에 대한 편견과 극복 - 정재훈 (경상대학교 사학과 교수)

【2020 제1기 AsIA지역전문가과정】 10강
□ 일시: 2020년 12월 9일(수) 19시-21시
□ 주제: 중앙아시아 유목민의 정체성에 대한 편견과 극복
□ 강사: 정재훈(경상대학교 사학과 교수)

*코로나19의 확산 방지와 사회적 거리두기 준수를 위하여 화상강의를 위한 스튜디오가 아닌 줌(ZOOM) 프로그램을 이용한 비대면 방식으로만 진행하였습니다.

▬▬▬▬▬▬▬▬▬▬▬▬▬▬▬▬▬▬▬▬▬▬▬▬▬▬▬▬▬▬▬▬▬▬▬▬▬▬▬▬
영상 음원 정보
제목 : Mist in SunShine
아티스트 : BLUE TUNE MUSIC
Youtube : https://www.youtube.com/watch?v=AQDID...
▬▬▬▬▬▬▬▬▬▬▬▬▬▬▬▬▬▬▬▬▬▬▬▬▬▬▬▬▬▬▬▬▬▬▬▬▬▬▬▬

AsIA지역인문학센터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되는 모든 강의는 각 교수자의 고유의견으로, AsIA지역인문학센터의 공식 의견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인문한국플러스사업 #지역인문학센터 #지역전문가 #중앙아시아 #유목민

Видео 【2020 제1기 AsIA지역전문가과정】 10강. 중앙아시아 유목민의 정체성에 대한 편견과 극복 - 정재훈 (경상대학교 사학과 교수) канала 서울대학교 AsIA지역인문학센터
Показать
Комментарии отсутствуют
Введите заголовок:

Введите адрес ссылки:

Введите адрес видео с YouTube:

Зарегистрируйтесь или войдите с
Информация о видео
11 декабря 2020 г. 10:00:31
00:59:37
Другие видео канала
[2023 AsIA문명지식학교] 데스몬드 투투 주교와 남아공 진실과 화해 위원회로 알아보는 예수의 화해에 대한 가르침 (백영민 / 연세대학교 학부대학 교수)[2023 AsIA문명지식학교] 데스몬드 투투 주교와 남아공 진실과 화해 위원회로 알아보는 예수의 화해에 대한 가르침 (백영민 / 연세대학교 학부대학 교수)【2022 제3기 AsIA지역전문가과정】 9강. 중동-서아시아-중양의 정체성과 한국과의 역사성과 교류 - 이희수(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 명예교수)【2022 제3기 AsIA지역전문가과정】 9강. 중동-서아시아-중양의 정체성과 한국과의 역사성과 교류 - 이희수(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 명예교수)【2022 제3기 AsIA지역전문가과정】 5강. 소연방과 중앙아시아 : 지역정체성과 결정화, 그리고 현대적 담론과 그 해석  - 정세진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교수)【2022 제3기 AsIA지역전문가과정】 5강. 소연방과 중앙아시아 : 지역정체성과 결정화, 그리고 현대적 담론과 그 해석 - 정세진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교수)【2022 제3기 진로탐색 나침반인문학교】 3강. 이야기 속의 창의성 - 배윤호(중앙대학교 공연영상창작학부 교수)【2022 제3기 진로탐색 나침반인문학교】 3강. 이야기 속의 창의성 - 배윤호(중앙대학교 공연영상창작학부 교수)【2020 덩실덩실 AsIA문화축제】 토크 콘서트 1부 - 주제 발표【2020 덩실덩실 AsIA문화축제】 토크 콘서트 1부 - 주제 발표【2021 제2기 AsIA지역전문가과정】 6강. 소아시아의 변화와 사회적 문제 - 조윤수(前 주터키 대사)【2021 제2기 AsIA지역전문가과정】 6강. 소아시아의 변화와 사회적 문제 - 조윤수(前 주터키 대사)[2023 AsIA문명지식학교 - 아시아의 종교와 시민 사회] 상좌부불교의 가르침: 국가, 시민 사회와의 관계 - 태국을 중심으로 (김홍구 / 전 부산외대 동남아창의융합학부 교수)[2023 AsIA문명지식학교 - 아시아의 종교와 시민 사회] 상좌부불교의 가르침: 국가, 시민 사회와의 관계 - 태국을 중심으로 (김홍구 / 전 부산외대 동남아창의융합학부 교수)【아시아 한류의 역동성】 5강. 수용자들이 주체적으로 주도하는 이란 한류【아시아 한류의 역동성】 5강. 수용자들이 주체적으로 주도하는 이란 한류【2022 제3기 AsIA지역전문가과정】 4강. 아시아의 냉전, 아시아의 평화 - 권헌익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HK교수)【2022 제3기 AsIA지역전문가과정】 4강. 아시아의 냉전, 아시아의 평화 - 권헌익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HK교수)【2021 제2기 AsIA지역전문가과정】 2강. 데이터로 보는 아시아 - 허정원(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HK연구교수)【2021 제2기 AsIA지역전문가과정】 2강. 데이터로 보는 아시아 - 허정원(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HK연구교수)【2020 제1기 AsIA지역전문가과정】 9강. 일본 청년들이 왜 행복하다고 말하는가? - 박지환(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부교수)【2020 제1기 AsIA지역전문가과정】 9강. 일본 청년들이 왜 행복하다고 말하는가? - 박지환(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부교수)【2023 AsIA인문자산강좌】 3강. 메소포타미아 쐐기문자와 이집트 상형문자 - 유성환(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강사)【2023 AsIA인문자산강좌】 3강. 메소포타미아 쐐기문자와 이집트 상형문자 - 유성환(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강사)【2020 제1기 AsIA지역전문가과정】 2강. 아시아 지역전문가란 무엇인가? - 최경희(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HK연구교수)【2020 제1기 AsIA지역전문가과정】 2강. 아시아 지역전문가란 무엇인가? - 최경희(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HK연구교수)[축사] 2021 덩실덩실 AsIA문화축제 - Zelda Wulan Kartika 주한인도네시아 대리대사[축사] 2021 덩실덩실 AsIA문화축제 - Zelda Wulan Kartika 주한인도네시아 대리대사【2022 제3기 AsIA지역전문가과정】 1강. 근대 아시아 지식인의 아시아 인식 : 궤적과 미래 - 백영서(연세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2022 제3기 AsIA지역전문가과정】 1강. 근대 아시아 지식인의 아시아 인식 : 궤적과 미래 - 백영서(연세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2023 다양성+아시아】 7강. 우크라이나 전쟁과 세계 경제의 변동: 미·중·러를 중심으로【2023 다양성+아시아】 7강. 우크라이나 전쟁과 세계 경제의 변동: 미·중·러를 중심으로【2021 제1기 진로탐색 나침반인문학교】 5강. 인간을 돕는 공학기술 - 안성훈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부 교수)【2021 제1기 진로탐색 나침반인문학교】 5강. 인간을 돕는 공학기술 - 안성훈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부 교수)【2022 AsIA인문자산강좌】 2강. 한국의 나전칠기 - 최영숙 (문화재청 문화재감정관)【2022 AsIA인문자산강좌】 2강. 한국의 나전칠기 - 최영숙 (문화재청 문화재감정관)【아시아 한류의 역동성】 3강. 한류와 동남아시아 : 한류 확산에 있어 "아세안"의 역할【아시아 한류의 역동성】 3강. 한류와 동남아시아 : 한류 확산에 있어 "아세안"의 역할[Day1] 2021 덩실덩실 AsIA문화축제 "인도네시아 - 누산따라에서 상상의 공동체로"[Day1] 2021 덩실덩실 AsIA문화축제 "인도네시아 - 누산따라에서 상상의 공동체로"【2020 제1기 AsIA지역전문가과정】 3강. 아시아라는 공간에서 살아가기 - 윤종석(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HK연구교수)【2020 제1기 AsIA지역전문가과정】 3강. 아시아라는 공간에서 살아가기 - 윤종석(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HK연구교수)
Яндекс.Метрик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