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도 중요하지만 정주율을 높여야 (뉴스데스크 2025.6.5 광주MBC)
(앵커)
대학과 자치단체가 인구 감소의 대안으로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어렵게 유치한 유학생들이 졸업 후에 대부분 지역을 떠난다는데 있는데요.
대학과 자치단체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손을 맞잡았습니다.
이재원 기잡니다.
(기자)
베트남과 중국, 몽골등 다양한 국적의 학생이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광주의 한 대학교.
대학원 수업 자료를 한국어로 준비하고, 사례 발표도 유창한 한국말로 진행합니다.
이 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외국인 학생 수는 16개 나라에서 온 1700여명으로 2년전에 비해 5개 국가, 3백여명이 늘었습니다.
* 간디나(몽골) /호남대학교 대학원
"한국 교육 과정, 교육 시스템이아주 잘 돼 있다고 제가 보고 있거든요. 그래서 (대학원에서) 교육하고 관련된 것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유치 뿐만 아니라 재학률을 유지하는 것도 대학 입장에서는 중요합니다.
외국인 유학생과 한국인 학생을 1대1로 연결하는 등 유학생의 한국 생활 적응을 돕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이 대학은 중도 탈락률이 한 자릿수에 불과해 9년 연속 교육부의 인증 평가를 통과했습니다.
* 왕루 교수/호남대학교
"학생 학업의 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그런 프로그램을 많이 마련하고 있고요. 또 취업까지도..취업 캠프같은 프로그램도 지금 많이 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대학을 졸업한 뒤 유학생이 광주지역에 남는 비율은 채 5%도 되지 않습니다.
일자리뿐만 아니라 외국인 정주 여건 역시 중요한데, 대학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에 광주시가 외국인 유학생 유치와 더불어 정착을 유도하기 위한 사업에 착수했습니다.
광주시는 먼저 지역 대학과 공동으로 해외 유학 박람회를 추진하고, 거점 한국어 센터도 구축할 예정입니다.
그런 다음 산업현장의 인력 수급으로 연결시키는 유치와 양성, 활용의 3단계 전략을 통해 2029년까지 만 2천명의 유학생을 유치하고, 정주율도 10%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입니다.
* 김기숙 교육청년국장/광주시
"AI나 미래차나 문화 콘텐츠같은 우리 시의 주력 산업하고 연계해서 교육을 지원해주고, 특히 이 분들이 관심있어하는 취업, 창업 지원 프로그램 같은 것도 저희가 적극적으로 좀 추진을 해서.."
하지만 다른 지역 역시 유학생 확대에 사활을 걸고 있어 광주시의 정책이 얼마나 차별화 되는지, 또, 얼마나 실효성이 있을지가성공 여부를 가를 전망입니다.
MBC 뉴스 이재원입니다.
#외국인 #유학생 #정주율
Видео 유치도 중요하지만 정주율을 높여야 (뉴스데스크 2025.6.5 광주MBC) канала 광주MBC뉴스
대학과 자치단체가 인구 감소의 대안으로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어렵게 유치한 유학생들이 졸업 후에 대부분 지역을 떠난다는데 있는데요.
대학과 자치단체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손을 맞잡았습니다.
이재원 기잡니다.
(기자)
베트남과 중국, 몽골등 다양한 국적의 학생이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광주의 한 대학교.
대학원 수업 자료를 한국어로 준비하고, 사례 발표도 유창한 한국말로 진행합니다.
이 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외국인 학생 수는 16개 나라에서 온 1700여명으로 2년전에 비해 5개 국가, 3백여명이 늘었습니다.
* 간디나(몽골) /호남대학교 대학원
"한국 교육 과정, 교육 시스템이아주 잘 돼 있다고 제가 보고 있거든요. 그래서 (대학원에서) 교육하고 관련된 것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유치 뿐만 아니라 재학률을 유지하는 것도 대학 입장에서는 중요합니다.
외국인 유학생과 한국인 학생을 1대1로 연결하는 등 유학생의 한국 생활 적응을 돕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이 대학은 중도 탈락률이 한 자릿수에 불과해 9년 연속 교육부의 인증 평가를 통과했습니다.
* 왕루 교수/호남대학교
"학생 학업의 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그런 프로그램을 많이 마련하고 있고요. 또 취업까지도..취업 캠프같은 프로그램도 지금 많이 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대학을 졸업한 뒤 유학생이 광주지역에 남는 비율은 채 5%도 되지 않습니다.
일자리뿐만 아니라 외국인 정주 여건 역시 중요한데, 대학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에 광주시가 외국인 유학생 유치와 더불어 정착을 유도하기 위한 사업에 착수했습니다.
광주시는 먼저 지역 대학과 공동으로 해외 유학 박람회를 추진하고, 거점 한국어 센터도 구축할 예정입니다.
그런 다음 산업현장의 인력 수급으로 연결시키는 유치와 양성, 활용의 3단계 전략을 통해 2029년까지 만 2천명의 유학생을 유치하고, 정주율도 10%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입니다.
* 김기숙 교육청년국장/광주시
"AI나 미래차나 문화 콘텐츠같은 우리 시의 주력 산업하고 연계해서 교육을 지원해주고, 특히 이 분들이 관심있어하는 취업, 창업 지원 프로그램 같은 것도 저희가 적극적으로 좀 추진을 해서.."
하지만 다른 지역 역시 유학생 확대에 사활을 걸고 있어 광주시의 정책이 얼마나 차별화 되는지, 또, 얼마나 실효성이 있을지가성공 여부를 가를 전망입니다.
MBC 뉴스 이재원입니다.
#외국인 #유학생 #정주율
Видео 유치도 중요하지만 정주율을 높여야 (뉴스데스크 2025.6.5 광주MBC) канала 광주MBC뉴스
Комментарии отсутствуют
Информация о видео
5 июня 2025 г. 17:25:03
00:02:51
Другие видео канал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