Загрузка страницы

제123강:HX106 건망증에 도움을 주는 물질이 있다고 (치매가 생기는 이유)?

#테라브레인 #천마 #HX106
HX106 건망증 개선에 도움을 주는 물질이 있다고?

우리의 뇌 안에서 기억과 인지 기능을 담당하는 해마(hippocampus) 라고 불리우는 기관이 양쪽 측두엽 안쪽에 존재합니다. 흔히들, 말하는 머리가 좋다 나쁘다는 해마의 기능에 달려 있습니다. 해마는 우리 전 인생을 통해서, 습득한 정보를 보관하고 있으며, 전전두엽의 결정에 의해서, 필요할 때 마다 그 상황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컴퓨터의 램과 하드 디스크 같은 기능을 담당합니다. 이 해마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에세틸콜린이란 신경 전달 물질이 필수적입니다. 기초 전뇌 (basal forebrain)가 해마에 아세틸콜린을 공급해 주기에 해마가 작동하는 것입니다. 아무리 해마가 온전하여도, 기초 전뇌에 있는 아세틸콜린 뉴론으로 구성된 세가지 핵이 고장나면, 100% 치매에 걸립니다. 그 세가지 핵 모두 크기가 아주 작아서, 우리 인간 생명의 밑천입니다. 이것을 잃으면, 우리의 삶도 끝납니다. 알츠하이머가 무서운 것은 독성 아밀로이드 펩타이드에 의해서, 기초 전뇌의 뉴론이 사멸하기 때문입니다.

현재 미국 내과 의사들이 치매 환자에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미식약청이 승인한 약물 가운데 도네페질 (donepezil)이 있습니다. 이 약물은 아세틸콜린을 분해하는 에세틸콜린에스터레이즈를 억제해서, 신경 스냅스에 에세틸콜린의 양을 증가시켜서, 알츠하이머 환자에게서 부족해진, 에세틸콜린을 올려 주는 약입니다. 이 약을 초기 알츠하이머 환자엑 투여해보니,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지력 향상이 약물 투여 후 6주 부터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 저도 임상에서 이 약을 많은 노인 치매환자나, 노인성 건망증 환자에 처방하고 있습니다. 자연계에 이러한 기능을 갖는 기능성, 약초가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고, 그 중 대표적으로 천마에 이런 생리 활성 물질이 있다고 추정되고 있습니다.

인지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개발된 동물 실험에는 와이 미로 검사(Y maze)와 수동 회피 시험 (passive avoidance)이 있습니다. 이 두가지 실험에서 각기 자발 행동 변경과 (spontaneous alteration ratio)와 지체시간 (step through latency), 두가지 패리미터를 측정해서, 어떤 약물을 투여한 쥐에서 인지력이 향상되었는지 감소되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어떤 약물을 투여한 쥐에서 이 두가지 값이 대조군보다 증가했다면, 그 약물이 기억력을 증강시키는 약물이고, 반대로, 이 두가지 값을 감소시키면, 이 약물은 인지력을 저하시키고, 기억력 장애를 일이키는 약물이 됩니다. 대표적으로 항콜린성 약물 스코폴라민이 후자에 해당합니다.

HX106 (천마등복합추출물- 천마, 용안육, 맥문동, 단삼)은 실험동물에서, 위에서 설명한 두가지 측정값을 도네페질에 버금가는 향상을 보여 주었습니다. 실제 건망증을 호소하는 사람에게 투여시 작업기업력을 향상시키고, 뇌 사진에서, 양쪽 측두엽과 오른쪽 두정엽의 백질의 신경 화이버의 양을 증강시켜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HX106을 투여한 쥐에서, 에세틸콜린 에스터레이즈 활동이 저하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치매 치료제 도네페질과 동일한 기전으로 HX106이 실험실 동물과 사람에게 인지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보여집니다.

도네페질의 경우, 콜린성 부작용 때문에 노인에게 사용시, 저는 최저 용량인 5mg을 잠자기 전에 투여하고, 상태를 봐가며, 서서히 용량을 올립니다. 제가 저 자신에게 도네페질을 투여했다가, 부작용으로 다음날 병원 출근도 못한 적이 있었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본 강의에서 인용한 논문에 보면, 이런 콜린성 부작용이 대조군과 비교해서, 유의미하게 증가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Hx106의 경우, 천마 외에도 세가지 다른 약초가 포함되어 있어서, 이러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작용이 미지의 생리 활성 성분의 복합적인 상호 작용으로 나타난다고 보여집니다. 자연계에는 이런 식물이 무궁무진하고, 만일 우리가 이런 생리활성 작용을 나타내는 한가지 특정 성분의 화작적 구조를 밝혀 낸다면, 이를 인공적으로 합성해서, 도네페질과 같은 약으로 개발할 수 있습니다.

*본 영상은 제조사의 후원으로 제작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테라브레인측에서 저희 '장항준내과TV 구독자' 분들을 위해
특별한 할인 이벤트를 마련해 주셨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통해서 제품을 구매 하시면 일반 인터넷마켓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 하실 수있다고 합니다.
https://bit.ly/3HZ9yFh

Видео 제123강:HX106 건망증에 도움을 주는 물질이 있다고 (치매가 생기는 이유)? канала DR. Ezra Hangjun Jang 장항준 내과TV
Показать
Комментарии отсутствуют
Введите заголовок:

Введите адрес ссылки:

Введите адрес видео с YouTube:

Зарегистрируйтесь или войдите с
Информация о видео
18 февраля 2022 г. 6:00:11
00:24:59
Яндекс.Метрик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