Загрузка...

잠재적 지분희석 요인을 1분만에 체크하는 법

기업의 시가총액이나 적정 시가총액을 확인할 때, 네이버 증권에 있는 시가총액 숫자만 훑어보거나, 사업보고서에서 '주식의 총수'만을 보고 확인하는 경우가 주린이분들에게는 왕왕 있는 것 같습니다.

잠재적으로 발행될 주식의 총 숫자와, 그것으로 인해 변화할 실제 시가총액을 제대로 계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그 부분에 대한 이야기를 간단하게 해보았습니다.

#주식투자 #지분희석 #기업분석

Disclaimer. 영상에서 언급한 회사들은 공부하는 방법의 예시를 들기 위해 랜덤으로 뽑아낸 회사들에 불과합니다. 해당 회사들에 대해서 매수 추천을 하거나, 또는 비판이나 매도 추천을 할 의도가 없음을 밝힙니다.

또한, 단순히 러프하게 사업보고서를 보는 방법론에 불과하며, 각 회사들의 상황은 제가 설명한 것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회사에 투자하시는 투자자분들은 회사마다 처한 독특한 상황을 개별적으로 잘 분석하셔야 합니다. 예를들면 스톡옵션을 신주발행으로 주는게 아니라 최대주주가 가진 주식을 준다던지 하는 신기한 상황도 있을 수 있습니다.

투네이션으로 응원하기 : https://toon.at/donate/637817036253868651

Видео 잠재적 지분희석 요인을 1분만에 체크하는 법 канала 재간둥이 송선생
Яндекс.Метрика

На информационно-развлекательном портале SALDA.WS применяются cookie-файлы. Нажимая кнопку Принять, вы подтверждаете свое согласие на их использование.

Об использовании CookiesПринят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