Загрузка страницы

Sukwon Jung - 김소희 새타령

1917∼1995. 본명은 김순옥(金順玉). 호는 만정(晩汀).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예능보유자.

전라북도 고창 출신. 1932년 전남여자고등보통학교 2학년 수료하였고, 당대 명창 이화중선의 「추월만정」을 듣고 감동받아 판소리에 입문하였다.

1930년에 명창 송만갑을 찾아가 판소리에 입문하여, 단가와 「심청가」 몇 대목을 배웠다. 송만갑이 떠난 후 이화중선이 어린 김소희를 창극무대에 향단이 역으로 세상에 소개했다. 그 후 15세가 되던 해인 1932년 서울로 올라왔다. 서울에 온 지 한달여 만에 김소희는 한성준의 주선으로 방송에 출연했다.

1932년 전계문에게 가곡과 시조를, 김용건에게 거문고와 양금을, 1933년 정경린에게 무용을 배웠다. 1934년 정정렬의 문하에서 판소리를, 김종기 명인에게 가야금을 배웠고, 1938년에는 박동실에게, 광복 후에는 정응민, 김여란, 정권진, 김연수한테서 판소리를 배웠다.

1936년 조선성악연구회에 가입했고, 1948년에 사단법인 여성국악동호회 이사, 1954년에 민속예술원 원장, 1957년 대한국악원 이사, 1962년 국립창극단 부단장, 1962년 한국국악협회 이사장을 지냈다.

주요 공연으로는 1949년 제9회 파리 국제민속예술제 참가 및 유럽 순회공연, 1964년 동경올림픽 공연, 1972년 미국 카네기홀 공연, 1976년 미국 독립 200주년 기념 순회공연, 1979년 국악생활 50주년 대공연, 1988년 서울올림픽 폐막공연 등이 있다.

김소희는 특히 「춘향가」와 「심청가」를 장기로 삼는데, 그는 소리뿐 아니라 각종 악기 연주와 춤, 서예에도 일가를 이룰 정도의 기량을 지니고 있다. 1964년 중요무형문화재 예능보유자로 지정을 받았다.

수많은 제자를 길렀는데 안향련, 한농선, 박초선, 박송희, 김동애, 오정숙, 안숙선, 성창순, 남해성, 이일주, 신영희, 박양덕, 오정해 등이 김소희한테 판소리를 배웠다. 수많은 제자 가운데 안숙선이 김소희의 소리를 가장 잘 물려받은 명창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신영희는 1992년 중요무형문화재 김소희제 춘향가 보유자 후보로 인정받았다.

김소희는 장단 붙임새 운용에 변화가 많고 매우 기교적이다. 슬픈 대목이 많은 「심청가」도 서정적이고 청아한 느낌이 나게 부를 정도로 고운 목소리를 가졌다.

김소희는 「들국화」같은 신민요도 작곡한 바 있고,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국립창극단 공연시 편곡을 해주었으며, 「탕자가」ㆍ「부활가」같은 창작 판소리를 지어 부르기도 했다.

1932년 말에는 콜럼비아레코드사에서 처음으로 녹음하여, 1933년 상반기에 음반으로 나왔다. 이때 취입한 것은 단가, 「춘향가」, 「심청가」 등 유성기 음반 5면이다. 1934∼1935에는 오케레코드사에서 「심청가」, 「춘향가」, 민요 등 다수의 음반을 취입했는데, 유성기 음반이 17면으로 확인되었다.

1936년에는 빅타레코드사에서 「춘향가」 전집, 「춘향가」 중 '이별가'와 '옥중상봉', 「춘향가」 중 '심봉사 황성 가는데', 「적벽가」중 '군사 설움타령' 등을 녹음했다. 1959년 KBS레코드에서 제작된 해외 소개용 국악음반에 남도민요, 「심청가」 중 '범피중류'를 녹음했고, 1964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뒤 문화재관리국에 「춘향가」 전 바탕을 녹음했다.

이 「춘향가」 전 바탕 녹음은 1976년에 문화재관리국에서 『한국전통음악대전집』에 담아 제작한 바 있고, 1988년 중앙일보사에서 『국악의 향연』 전집에 담아 제작하기도 했다. 1960∼1970년대에 지구레코드, 신세기레코드, 시대레코드, 힛트레코드, 현대음반, 미국 넘서치레코드 등 여러 음반회사에서 여러 장의 단가, 판소리, 창극, 민요음반을 냈고, 사가판으로 「심청가」(성음 4LP, 1974), 「춘향가」(성음 6LP, 1978)를 제작한 바 있다.

1931년 남원춘향제 민속예술경연 1등상, 1959년 제4회 국악상(국악진흥회), 1962년 세계방송대상, 1966년 국전 서예 입선, 1968년 국전 서예 신인예술상, 1971년 제2회 아시아 음악제 방송 적합성 부문 우수상(유네스코), 1972년 문화예술진흥 공로상(문화공보부), 1973년 국민훈장 동백장, 1979년 국창기념비 건립헌수(고창 흥덕 청년회의소), 1982년 초대 한국국악대상, 1984년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1987년 남원시예술문화대상, 서울시문화상, 초대 동리대상, 1994년 제1회 방영일 국악상, 1995년 금관문화훈장 등이 추서되었다.

Видео Sukwon Jung - 김소희 새타령 канала Sukwon Jung
Показать
Комментарии отсутствуют
Введите заголовок:

Введите адрес ссылки:

Введите адрес видео с YouTube:

Зарегистрируйтесь или войдите с
Информация о видео
2 апреля 2013 г. 23:41:59
00:11:15
Яндекс.Метрик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