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과 구주이신 예수님 (사도행전 5장 27~32절) #영락교회 #김운성목사
🕊️ 제목 : 임금과 구주이신 예수
📖 성경 : 사도행전 5장 27~32절
👨💼 설교 : 김운성 목사
📅 2023년 8월 30일 영락교회 설교영상
이 설교는 사도행전 5장 31절을 중심으로 한 깊이 있는 말씀으로, “예수님은 우리의 구주이자 임금이시다”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아래에 그 핵심 내용을 구조화하여 정리해드립니다.
🔹설교 제목 요약
“임금과 구주이신 예수님”
(사도행전 5:31 – “그를 오른손으로 높이사 임금과 구주로 삼으셨다”)
1. 🎶 찬양과 시작
→ “왕이신 나의 하나님”이라는 찬양으로 시작하며,
예배당에서 이 찬양을 조용히 부르면 하나님 앞에 선 자신을 돌아보게 된다고 고백함.
→ “하늘나라는 아니지만, 영락교회가 하늘나라의 지점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으로 설교 시작.
2. 📖 본문 해석
“그를 오른손으로 높이사 임금과 구주로 삼으셨느니라” (행 5:31)
→ 예수님은 우리의 구주이시고 임금이시다.
→ 그러나 우리는 흔히 예수님을 ‘구주’로는 익숙하게 모시지만,
‘임금’으로는 낯설게 여기는 신앙 상태를 갖고 있다.
3. 🙏 구주 예수님 = 죄사함
→ 구주는 우리를 죄에서 구원하시는 분이다.
→ 우리는 죄를 반복해서 짓고, 용서를 구하며 “구주 예수님”을 자주 부른다.
→ 이로 인해 “구주 예수님”은 친숙하게 느껴진다.
4. 👑 임금 예수님 = 회개와 순종
→ 그러나 예수님은 임금으로도 오셨고, 이는 회개와 순종과 연결된다.
→ 성경의 **‘회개’(메타노이아)**는 단순한 감정이 아닌 방향 전환이다.
→ 요나가 다시스로 가려다 니느웨로 방향을 바꿨을 때가 진짜 회개였다.
→ 진짜 회개는 단지 죄를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 행동의 변화를 포함해야 한다.
→ 회개에 합당한 열매가 필요하다.
5. 📍 회개와 임금 되심의 관계
→ 회개 = 삶의 방향을 예수님의 뜻대로 돌리는 것
→ 누가 방향을 정하는가? → 임금이신 예수님
→ “왼쪽으로 가라” 하시면 왼쪽으로
→ “멈추라” 하시면 멈추는 것
→ 우리는 다수결, 인간적 계산, 내 감정에 따라 결정하는데
이는 예수님을 임금으로 모시지 않는 태도다.
6. 🧭 실천적 적용 – 성도의 삶
→ 예수님을 임금으로 모시지 못하면 구원만 받고 삶은 여전히 내 뜻대로 하게 된다.
→ 예수님이 임금이시라면 우리는 그분의 명령에 전적 순종해야 한다.
→ 대표적인 실천 예:
→ 화해하라는 명령에 불순종하는 태도 → 예수님이 임금이 아님을 드러냄
→ 선교지 선택 시 편한 곳을 택하는 마음 → 주님보다 내 판단을 더 신뢰하는 것
7. ✝️ 사례: 스펄전과 김영길 장로
→ 스펄전: 큰돈이 생겼을 때 하나님의 뜻에 따라 조지 뮬러에게 순종하여 헌금
→ 그 후 하나님께서 더 큰 것으로 갚아 주심
→ 김영길 장로 (한동대 총장): 아무것도 없는 상황에서도 하나님의 명령에 절대 순종
→ 개교 초기부터 하나님이 길을 여심
→ "하나님의 뜻이라면 불구덩이도 간다"는 믿음의 실천
8. 📌 결론: 임금으로 예수님을 모시라
→ 예수님을 임금으로 모시지 않으면 성도의 삶에 성화, 변화, 순종, 열매가 없다.
→ 예배당 안에서만 임금으로 모시고, 예배당 밖에서는 내가 주인 되는 이중적 태도에서 벗어나야 한다.
→ 성령께서 감동 주실 때 억누르거나 무시하지 말고, 전적인 순종으로 나아가라.
🛐 마무리 기도 요약
“예수님을 구주로만이 아니라 임금으로 모시게 하소서.
주님의 모든 명령에 삶으로 아멘하게 하시고,
성령께서 감동 주실 때 억누르지 않고,
완전한 회개와 순종의 삶을 살아가게 하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 핵심 한 문장 요약
"예수님을 단지 ‘구주’로만 모시지 말고, ‘임금’으로도 모시며, 회개와 순종의 삶을 살아가라."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9gKH4LXvXMg
Видео 임금과 구주이신 예수님 (사도행전 5장 27~32절) #영락교회 #김운성목사 канала 예수쟁이 이집사
📖 성경 : 사도행전 5장 27~32절
👨💼 설교 : 김운성 목사
📅 2023년 8월 30일 영락교회 설교영상
이 설교는 사도행전 5장 31절을 중심으로 한 깊이 있는 말씀으로, “예수님은 우리의 구주이자 임금이시다”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아래에 그 핵심 내용을 구조화하여 정리해드립니다.
🔹설교 제목 요약
“임금과 구주이신 예수님”
(사도행전 5:31 – “그를 오른손으로 높이사 임금과 구주로 삼으셨다”)
1. 🎶 찬양과 시작
→ “왕이신 나의 하나님”이라는 찬양으로 시작하며,
예배당에서 이 찬양을 조용히 부르면 하나님 앞에 선 자신을 돌아보게 된다고 고백함.
→ “하늘나라는 아니지만, 영락교회가 하늘나라의 지점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으로 설교 시작.
2. 📖 본문 해석
“그를 오른손으로 높이사 임금과 구주로 삼으셨느니라” (행 5:31)
→ 예수님은 우리의 구주이시고 임금이시다.
→ 그러나 우리는 흔히 예수님을 ‘구주’로는 익숙하게 모시지만,
‘임금’으로는 낯설게 여기는 신앙 상태를 갖고 있다.
3. 🙏 구주 예수님 = 죄사함
→ 구주는 우리를 죄에서 구원하시는 분이다.
→ 우리는 죄를 반복해서 짓고, 용서를 구하며 “구주 예수님”을 자주 부른다.
→ 이로 인해 “구주 예수님”은 친숙하게 느껴진다.
4. 👑 임금 예수님 = 회개와 순종
→ 그러나 예수님은 임금으로도 오셨고, 이는 회개와 순종과 연결된다.
→ 성경의 **‘회개’(메타노이아)**는 단순한 감정이 아닌 방향 전환이다.
→ 요나가 다시스로 가려다 니느웨로 방향을 바꿨을 때가 진짜 회개였다.
→ 진짜 회개는 단지 죄를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 행동의 변화를 포함해야 한다.
→ 회개에 합당한 열매가 필요하다.
5. 📍 회개와 임금 되심의 관계
→ 회개 = 삶의 방향을 예수님의 뜻대로 돌리는 것
→ 누가 방향을 정하는가? → 임금이신 예수님
→ “왼쪽으로 가라” 하시면 왼쪽으로
→ “멈추라” 하시면 멈추는 것
→ 우리는 다수결, 인간적 계산, 내 감정에 따라 결정하는데
이는 예수님을 임금으로 모시지 않는 태도다.
6. 🧭 실천적 적용 – 성도의 삶
→ 예수님을 임금으로 모시지 못하면 구원만 받고 삶은 여전히 내 뜻대로 하게 된다.
→ 예수님이 임금이시라면 우리는 그분의 명령에 전적 순종해야 한다.
→ 대표적인 실천 예:
→ 화해하라는 명령에 불순종하는 태도 → 예수님이 임금이 아님을 드러냄
→ 선교지 선택 시 편한 곳을 택하는 마음 → 주님보다 내 판단을 더 신뢰하는 것
7. ✝️ 사례: 스펄전과 김영길 장로
→ 스펄전: 큰돈이 생겼을 때 하나님의 뜻에 따라 조지 뮬러에게 순종하여 헌금
→ 그 후 하나님께서 더 큰 것으로 갚아 주심
→ 김영길 장로 (한동대 총장): 아무것도 없는 상황에서도 하나님의 명령에 절대 순종
→ 개교 초기부터 하나님이 길을 여심
→ "하나님의 뜻이라면 불구덩이도 간다"는 믿음의 실천
8. 📌 결론: 임금으로 예수님을 모시라
→ 예수님을 임금으로 모시지 않으면 성도의 삶에 성화, 변화, 순종, 열매가 없다.
→ 예배당 안에서만 임금으로 모시고, 예배당 밖에서는 내가 주인 되는 이중적 태도에서 벗어나야 한다.
→ 성령께서 감동 주실 때 억누르거나 무시하지 말고, 전적인 순종으로 나아가라.
🛐 마무리 기도 요약
“예수님을 구주로만이 아니라 임금으로 모시게 하소서.
주님의 모든 명령에 삶으로 아멘하게 하시고,
성령께서 감동 주실 때 억누르지 않고,
완전한 회개와 순종의 삶을 살아가게 하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 핵심 한 문장 요약
"예수님을 단지 ‘구주’로만 모시지 말고, ‘임금’으로도 모시며, 회개와 순종의 삶을 살아가라."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9gKH4LXvXMg
Видео 임금과 구주이신 예수님 (사도행전 5장 27~32절) #영락교회 #김운성목사 канала 예수쟁이 이집사
Комментарии отсутствуют
Информация о видео
5 мая 2025 г. 5:52:06
00:39:39
Другие видео канал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