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정신 - '베리타스'(Veritas), 그리고 '노블리스 오블리제'(Noblesse Oblige)
'하버드의 공부벌레'들은 자기의 부와 출세만을 위한
소아적 이기주의자들이 아닙니다.
하버드의 교훈인 베리타스(Veritas), 즉 진리를 추구하는 정신과.
대의를 위해 목숨까지 기꺼이 던질줄 아는
'노블리스 오블리제'(Noblesse Oblige)의 실천자들입니다.
하버드 대학 '메모리얼 홀'(memorial hall)에 있는 동판에는
제1차 세계대전, 제2차 세계대전, 한국전 등에 참전하여 전사한
하버드생들의 이름이 빽빽히 새겨져 있습니다.
한국전에서 전사한 학생만 17명에 이를 정도입니다.
'메모리얼 홀' 창문에는 하버드 정신을 상징하는 캐릭터들의
'스테인드글라스'그림이
'셰익스피어'이전시대의 디자인 형식으로 그려져 있습니다.
이 그림을 살펴 봄으로써
하버드가 추구하는 가치와 세계를 리드하는 미국의 정신을 엿볼 수 있습니다.
먼저 첫번째 창의 그림을 살펴 보갰습니다.
이 창에 그려진 그림은
남북전쟁에서 전사한 사람들을 기리기 위한 작품입니다.
왼쪽 패널에는 전쟁터로 나가는 무장한 젊은이의 그림, 명예(honor)가 있고
오른쪽에는 전쟁 후 귀환한 젊은이의 그림, 평화(Peace)가 있습니다.
" 자유인은 어디서나
사랑하는 고향이나 황량한 전쟁터에서나
하늘이 구한 이 땅의 승리와 평화로 축복받으리.
우리에게 조국을 지켜 준 저 힘을 찬양하라.
우리는, 대의와 믿음의 징표로 승리하였으니,
승리의 성조기는 자유와 용맹의 땅에서 휘날리리라!"
위에 소개한 미국 국가, 4절의 노랫말 같이
대의를 위해 용감하게 출전하는 명예로운 모습과
승리와 평화에 대한, 감사의 모습을 이 창의 좌우에 그려 넣음으로써
조국에 대한 애국심을 고취하고 있습니다.
두번째 창의 그림을 살펴 보겠습니다.
이 창의 왼쪽 패널에는 '캄파냐(Campanian)부인'이,
오른쪽에는 '코넬리아(Cornelia) 부인'이 묘사되어 있습니다.
부유한 캄파냐 부인이 자신의 보석 팔찌와 목걸이를 자랑하자,
'그라쿠스 형제'(Gracchi)의 어머니, 코넬리아 부인은
두 아들이 자기의 가장 소중한 보물이라고 응답하였습니다.
'그라쿠스 형제'(Gracchi)는
로마 공화정 말기의 위대한 정치가였습니다.
제3차 포에니 전쟁과 누만티아 전쟁에 종군한 뒤, 호민관이 되어
국방력의 재건을 위해
대토지소유의 제한과 토지의 재분배에 대한 법안을 통과시키고
자작농 육성책을 펴는 등 개혁운동의 선구자였습니다.
금은보화 보다 인간이 더 소중하다는 교훈과
민주적 개혁사상을 고양하려는 의도에서 이 그림이 안배되었을 것입니다.
세번째 창에 그려진 그림을 음미해 보갰습니다.
이 창의 왼쪽 패널에는
지구의에 손을 얹은 '콜럼버스'(Christopher Columbus)가 그려져 있습니다.
'콜럼버스'는 '콜럼버스의 달걀' 일화를 남긴 탐험가로서.
지구가 둥글다는 신념으로, 머나먼 바닷길을 항해하여
마침내 신대륙 아메리카를 발견한 인물입니다.
오른 쪽 패널에는
칼을 든 '블레이크 제독'(Admiral Robert Blake)이 묘사되어 있습니다.
'블레이크 제독'은 영국의 시민혁명 시기에
의회군의 편에 서서 브리스틀 등의 전투에서 공을 세웠고.
'실리' 군도에서 왕당파 해군을 격파한 인물입니다.
그는 영국 해군의 아버지라고 불릴만큼
영국 해군사에 큰 족적을 남기기도 하였습니다.
이 그림에는 해양, 즉 미지의 세계를 향한 탐구 정신과
자유민주주의의 승리를 기원하는 의미가 담겼을 것입니다.
이번에는, 네번째 창 그림을, 음미해 보겠습니다.
이 창의 왼쪽 패널에는
책을 펼치고 서 있는 '단테'(Dante Alighieri)가 그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신곡’의 캐릭터들이 단테의 주변에 묘사되어 있습니다.
'단테'는 영원불멸의 거작,'신곡'을 쓰고 문예부흥의 선구자가 되어
인류문화가 지향해야할 목표를 제시한 인물입니다.
오른 쪽 패널에는
책과 두루마리를 든 '초서'(Geoffrey Chaucer)가 서있고
그 주변으로 "캔터베리 이야기"에 등장하는 것으로 보이는
캐릭터들이 에워싸고 있습니다.
'초서'는 기발한 구상으로
개개의 이야기를 하나의 장대한 드라마로 만들어
중세 영국의 종교, 세계관, 인생관 , 사회제도 등을 선명하게 묘사한
'캔터베리 이야기'의 작가입니다.
이 그림은 위대한 지성인이 되어
인류문화에 공헌하기를 기원하는 메시지를 담았을 것입니다.
다섯번째 창의 그림을 음미해 보겠습니다.
이 창의 왼쪽 패널에는
엘리자베스 1세 시대의 시인, '시드니 경'(Sir Philip Sidney)이
라틴어로 쓰인 5줄의 글귀가 적혀 있는 종이를 들고 있습니다.
시드니 경은 전쟁터에서 치명상을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생명수와 같은 자신의 물을 병사에게 건네 준 이야기로 유명합니다.
시드니 경은 이상적인 신사 및 기사도 정신의 전형으로 추앙받는 인물입니다.
오른쪽 패널에는 '테베'의 장군이자 정치가였던
'에파미논다스'(Epaminōndas)가 그려져 있습니다.
'에파미논다스'는 독창적인 전법으로 '스파르타'군을 무찌르고,
테베를 그리스의 패자로 만들었던 인물입니다.
그는 또한 뛰어난 웅변 솜씨와 기지의 소유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섯번째 창의 그림에는 신사의 기품과 기사도 정신,
그리고 독창적 지혜를 겸비한 인물이 되라는 메시지를 담았을 것입니다.
그밖에 일곱번째 창에는
'샤를마뉴대제'(Charlemagne, the Great)와
'토마스모어'(Thomas More, St.)의 그림이 그려져 있습니다.
프랑크왕국의 왕, '샤를마뉴대제는 원래 문맹이었지만
낮에는 통치에 임하고 밤에는 학업에 몰두하여
당대 최고의 지성인이 되었던 인물입니다
그는 또한 서유럽을 하나의 운명 공동체로 엮는 토대를 마련하였습니다.
샤를마뉴 전기를 쓴 '아인하르트'(Einhard)는
샤를마뉴대제를 아래와 같이 평가했습니다.
"그는 당대의 그 어떤 지배자보다도 유능하고 출중했다.
무엇이든 한번 손댄 일이면 무슨 일이 있어도 끝을 보았으며,
궁지에 처해서도 절망하지 않고 행운 앞에서도 교만해지지 않았다."
'토마스모어'는 스콜라주의적 인문주의자로 덕망이 높았던 인물입니다.
이상적 국가상을 그린 명저, '유토피아'는 그의 저서입니다.
'토마스모어'는 탁월한 수완과 식견으로
헨리 8세의 신임을 얻어 대법관에 임명되었으나,
헨리 8세의 이혼에 끝내 동의하지 않고,
반역죄로 단두대의 이슬로 사라진 소신이 강한 인물이었습니다.
일곱번째 창의 그림은
꾸준히 노력하여 배우고 익힌 지혜로 국가에 대해 성실하게 봉사하되
소신이 강한 인물이 되라는 메시지를 담은 것으로 보입니다.
여덟번째 창 왼쪽 패널에는
그리스 3대 비극 작가의 하나인 '소포클레스'(Sophocles)가 그려져 있습니다.
'소포클레스'는 치밀한 구성, 완벽한 기교, 정교한 대화를 통해
인물의 비극적 상황을 빼어나게 그려냈습니다.
또한 그는 탁월한 식견을 지닌 정치가로서.
아테네 정정이 불안할 때 최고위원 10인의 한 사람으로 선출되어
국가에 공헌하였던 인물입니다.
오른쪽 패널에는
'셰익스피어'(Willam Shakespeare)가 그려져 있습니다.
"인도와도 바꿀 수 없다"는 영국의 자랑, 셰익스피어는
햄릿, 오셀로, 리어 왕, 맥베스등, 4대 비극을 지은이로
영국의 국민시인이자 뛰어난 극작가입니다.
그는 중세의 연극에서 흔하였던 평면적이고 진부한 인물 대신
햄릿, 폴스태프, 이아고, 맥베스 같은 입체적이고 사실적인 인물을 창조함으로써
일대 혁신을 이루어 냈습니다.
평론가 '해럴드 블룸'은 셰익스피어의 등장인물을 가리켜
"그들은 물론 허구의 존재이지만 그 사실성은 우리의 사실성을 능가한다"고
단언했습니다.
무엇보다도 셰익스피어의 가장 큰 업적은
그 당시 공문서나 학술서를 라틴어로 작성하고
최초의 ‘영어 문법책’조차도 라틴어로 되어 있었는데
그의 작품을 통하여 영어의 위상을 크게 높였다는 것입니다.
Видео 하버드 정신 - '베리타스'(Veritas), 그리고 '노블리스 오블리제'(Noblesse Oblige) канала 행복한 삶 A Good Looker
소아적 이기주의자들이 아닙니다.
하버드의 교훈인 베리타스(Veritas), 즉 진리를 추구하는 정신과.
대의를 위해 목숨까지 기꺼이 던질줄 아는
'노블리스 오블리제'(Noblesse Oblige)의 실천자들입니다.
하버드 대학 '메모리얼 홀'(memorial hall)에 있는 동판에는
제1차 세계대전, 제2차 세계대전, 한국전 등에 참전하여 전사한
하버드생들의 이름이 빽빽히 새겨져 있습니다.
한국전에서 전사한 학생만 17명에 이를 정도입니다.
'메모리얼 홀' 창문에는 하버드 정신을 상징하는 캐릭터들의
'스테인드글라스'그림이
'셰익스피어'이전시대의 디자인 형식으로 그려져 있습니다.
이 그림을 살펴 봄으로써
하버드가 추구하는 가치와 세계를 리드하는 미국의 정신을 엿볼 수 있습니다.
먼저 첫번째 창의 그림을 살펴 보갰습니다.
이 창에 그려진 그림은
남북전쟁에서 전사한 사람들을 기리기 위한 작품입니다.
왼쪽 패널에는 전쟁터로 나가는 무장한 젊은이의 그림, 명예(honor)가 있고
오른쪽에는 전쟁 후 귀환한 젊은이의 그림, 평화(Peace)가 있습니다.
" 자유인은 어디서나
사랑하는 고향이나 황량한 전쟁터에서나
하늘이 구한 이 땅의 승리와 평화로 축복받으리.
우리에게 조국을 지켜 준 저 힘을 찬양하라.
우리는, 대의와 믿음의 징표로 승리하였으니,
승리의 성조기는 자유와 용맹의 땅에서 휘날리리라!"
위에 소개한 미국 국가, 4절의 노랫말 같이
대의를 위해 용감하게 출전하는 명예로운 모습과
승리와 평화에 대한, 감사의 모습을 이 창의 좌우에 그려 넣음으로써
조국에 대한 애국심을 고취하고 있습니다.
두번째 창의 그림을 살펴 보겠습니다.
이 창의 왼쪽 패널에는 '캄파냐(Campanian)부인'이,
오른쪽에는 '코넬리아(Cornelia) 부인'이 묘사되어 있습니다.
부유한 캄파냐 부인이 자신의 보석 팔찌와 목걸이를 자랑하자,
'그라쿠스 형제'(Gracchi)의 어머니, 코넬리아 부인은
두 아들이 자기의 가장 소중한 보물이라고 응답하였습니다.
'그라쿠스 형제'(Gracchi)는
로마 공화정 말기의 위대한 정치가였습니다.
제3차 포에니 전쟁과 누만티아 전쟁에 종군한 뒤, 호민관이 되어
국방력의 재건을 위해
대토지소유의 제한과 토지의 재분배에 대한 법안을 통과시키고
자작농 육성책을 펴는 등 개혁운동의 선구자였습니다.
금은보화 보다 인간이 더 소중하다는 교훈과
민주적 개혁사상을 고양하려는 의도에서 이 그림이 안배되었을 것입니다.
세번째 창에 그려진 그림을 음미해 보갰습니다.
이 창의 왼쪽 패널에는
지구의에 손을 얹은 '콜럼버스'(Christopher Columbus)가 그려져 있습니다.
'콜럼버스'는 '콜럼버스의 달걀' 일화를 남긴 탐험가로서.
지구가 둥글다는 신념으로, 머나먼 바닷길을 항해하여
마침내 신대륙 아메리카를 발견한 인물입니다.
오른 쪽 패널에는
칼을 든 '블레이크 제독'(Admiral Robert Blake)이 묘사되어 있습니다.
'블레이크 제독'은 영국의 시민혁명 시기에
의회군의 편에 서서 브리스틀 등의 전투에서 공을 세웠고.
'실리' 군도에서 왕당파 해군을 격파한 인물입니다.
그는 영국 해군의 아버지라고 불릴만큼
영국 해군사에 큰 족적을 남기기도 하였습니다.
이 그림에는 해양, 즉 미지의 세계를 향한 탐구 정신과
자유민주주의의 승리를 기원하는 의미가 담겼을 것입니다.
이번에는, 네번째 창 그림을, 음미해 보겠습니다.
이 창의 왼쪽 패널에는
책을 펼치고 서 있는 '단테'(Dante Alighieri)가 그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신곡’의 캐릭터들이 단테의 주변에 묘사되어 있습니다.
'단테'는 영원불멸의 거작,'신곡'을 쓰고 문예부흥의 선구자가 되어
인류문화가 지향해야할 목표를 제시한 인물입니다.
오른 쪽 패널에는
책과 두루마리를 든 '초서'(Geoffrey Chaucer)가 서있고
그 주변으로 "캔터베리 이야기"에 등장하는 것으로 보이는
캐릭터들이 에워싸고 있습니다.
'초서'는 기발한 구상으로
개개의 이야기를 하나의 장대한 드라마로 만들어
중세 영국의 종교, 세계관, 인생관 , 사회제도 등을 선명하게 묘사한
'캔터베리 이야기'의 작가입니다.
이 그림은 위대한 지성인이 되어
인류문화에 공헌하기를 기원하는 메시지를 담았을 것입니다.
다섯번째 창의 그림을 음미해 보겠습니다.
이 창의 왼쪽 패널에는
엘리자베스 1세 시대의 시인, '시드니 경'(Sir Philip Sidney)이
라틴어로 쓰인 5줄의 글귀가 적혀 있는 종이를 들고 있습니다.
시드니 경은 전쟁터에서 치명상을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생명수와 같은 자신의 물을 병사에게 건네 준 이야기로 유명합니다.
시드니 경은 이상적인 신사 및 기사도 정신의 전형으로 추앙받는 인물입니다.
오른쪽 패널에는 '테베'의 장군이자 정치가였던
'에파미논다스'(Epaminōndas)가 그려져 있습니다.
'에파미논다스'는 독창적인 전법으로 '스파르타'군을 무찌르고,
테베를 그리스의 패자로 만들었던 인물입니다.
그는 또한 뛰어난 웅변 솜씨와 기지의 소유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섯번째 창의 그림에는 신사의 기품과 기사도 정신,
그리고 독창적 지혜를 겸비한 인물이 되라는 메시지를 담았을 것입니다.
그밖에 일곱번째 창에는
'샤를마뉴대제'(Charlemagne, the Great)와
'토마스모어'(Thomas More, St.)의 그림이 그려져 있습니다.
프랑크왕국의 왕, '샤를마뉴대제는 원래 문맹이었지만
낮에는 통치에 임하고 밤에는 학업에 몰두하여
당대 최고의 지성인이 되었던 인물입니다
그는 또한 서유럽을 하나의 운명 공동체로 엮는 토대를 마련하였습니다.
샤를마뉴 전기를 쓴 '아인하르트'(Einhard)는
샤를마뉴대제를 아래와 같이 평가했습니다.
"그는 당대의 그 어떤 지배자보다도 유능하고 출중했다.
무엇이든 한번 손댄 일이면 무슨 일이 있어도 끝을 보았으며,
궁지에 처해서도 절망하지 않고 행운 앞에서도 교만해지지 않았다."
'토마스모어'는 스콜라주의적 인문주의자로 덕망이 높았던 인물입니다.
이상적 국가상을 그린 명저, '유토피아'는 그의 저서입니다.
'토마스모어'는 탁월한 수완과 식견으로
헨리 8세의 신임을 얻어 대법관에 임명되었으나,
헨리 8세의 이혼에 끝내 동의하지 않고,
반역죄로 단두대의 이슬로 사라진 소신이 강한 인물이었습니다.
일곱번째 창의 그림은
꾸준히 노력하여 배우고 익힌 지혜로 국가에 대해 성실하게 봉사하되
소신이 강한 인물이 되라는 메시지를 담은 것으로 보입니다.
여덟번째 창 왼쪽 패널에는
그리스 3대 비극 작가의 하나인 '소포클레스'(Sophocles)가 그려져 있습니다.
'소포클레스'는 치밀한 구성, 완벽한 기교, 정교한 대화를 통해
인물의 비극적 상황을 빼어나게 그려냈습니다.
또한 그는 탁월한 식견을 지닌 정치가로서.
아테네 정정이 불안할 때 최고위원 10인의 한 사람으로 선출되어
국가에 공헌하였던 인물입니다.
오른쪽 패널에는
'셰익스피어'(Willam Shakespeare)가 그려져 있습니다.
"인도와도 바꿀 수 없다"는 영국의 자랑, 셰익스피어는
햄릿, 오셀로, 리어 왕, 맥베스등, 4대 비극을 지은이로
영국의 국민시인이자 뛰어난 극작가입니다.
그는 중세의 연극에서 흔하였던 평면적이고 진부한 인물 대신
햄릿, 폴스태프, 이아고, 맥베스 같은 입체적이고 사실적인 인물을 창조함으로써
일대 혁신을 이루어 냈습니다.
평론가 '해럴드 블룸'은 셰익스피어의 등장인물을 가리켜
"그들은 물론 허구의 존재이지만 그 사실성은 우리의 사실성을 능가한다"고
단언했습니다.
무엇보다도 셰익스피어의 가장 큰 업적은
그 당시 공문서나 학술서를 라틴어로 작성하고
최초의 ‘영어 문법책’조차도 라틴어로 되어 있었는데
그의 작품을 통하여 영어의 위상을 크게 높였다는 것입니다.
Видео 하버드 정신 - '베리타스'(Veritas), 그리고 '노블리스 오블리제'(Noblesse Oblige) канала 행복한 삶 A Good Looker
하버드 정신 '베리타스'(Veritas) 노블리스 오블리제'(Noblesse Oblige 하버드의 공부벌레 메모리얼 홀'(memorial hall) 하버드가 추구하는 가치 세계를 리드하는 미국의 정신 명예(honor) 평화(Peace) 미국 국가 4절의 노랫말 '캄파냐(Campanian)부인'이 오른쪽에는 '코넬리아(Cornelia) 그라쿠스 형제의 어머니 개혁운동의 선구자 '콜럼버스'(Christopher Columbus) 콜럼버스의 달걀 블레이크'제독(Admiral Robert Blake) 단테'(Dante Alighieri) '신곡 초서'(Geoffrey Chaucer) 캔터베리 이야기 시드니 경'(Sir Philip Sidney) 이상적인 신사 및 기사도 정신 에파미논다스' 샤를마뉴대제 토마스모어 소포클레스 셰익스피어'(Willam Shakespeare) 햄릿 오셀로 리어 왕 맥베스 4대 비극
Комментарии отсутствуют
Информация о видео
5 июля 2021 г. 4:15:00
00:08:51
Другие видео канала